유휴농지의 활용방안 모색 및 사례 계획

Exploring Practical Use and Case Planning of the Abandoned Farmlands

  • 투고 : 2010.08.05
  • 심사 : 2010.09.16
  • 발행 : 2010.09.30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practical use of the abandoned farmland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main tasks of this research are : 1) investigating the precedent researches and several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2) examining the devices of managing and revitalizing of the abandoned farmlands, and 3) designing the abandoned farmlands revitalization cases in study areas. This research proposed several development directions and action 'plans for agricultural reuse and non-agricultural reuse of abandoned farmland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use the basic policy information of the abandoned farmlands revitalization project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번호 : 유휴지 등을 활용한 밭기반정비사업 모델개발 연구용역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농어촌공사

참고문헌

  1. 김수석, 허주녕, 2007a, 농지유동화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 김수석, 황의식, 허주녕, 2007b, 농지은행 활성화 및 유휴농지 관리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 김재경, 안소은, 2005, 한계농지의 산지전용을 위한 정책제언 : 전용규제에 대한 법제도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Vol 46, 3-19.
  4. 김현호, 오은주, 2007c, 어메니티를 활용한 지역발전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5. 김홍상, 이광, 이을경, 2001, 밭기반정비사업의 중장기 추진방향 : 사회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농림수산식품부, 2010, 농림수산사업시행지침서.
  7. 박석두, 김수석, 2005, 휴경농지의 실태와 정책방향.
  8. 리신호, 윤성수, 김시환, 2008, 농촌체험마을의 협력적 관광개발 모텔 사업의 추진과 발전방향,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0(6), 83-91
  9. 이상영, 강현경, 이승주, 2009, 우리나라 농촌지역 휴경지.유휴지 현황 및 활용방안, 농촌계획, 15(1), 15-29.
  10. 최혁재, 지대식, 최수, 김승종, 2005, 유휴농지의 효율적 활용.관리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1. 한경수, 구승모, 2005, 농외소득 향상을 위한 한계농지 개발모형 정립 및 실용화 방안, 한국농어촌공사.
  12. 한국농어촌공사, 2008, 유휴(휴경)농지 실태조사 보고서.
  13. 農林水産省, 2008a. 耕作放棄地全体調査要領.
  14. 農林水産省, 2008b. 耕作放棄地全体調査の實施マニュア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