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Management and Application through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농촌마을 소택형습지 실태 분석을 통한 관리 및 활용방안 연구

  • Kang, Bang-Hu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Son, Jin-Kwan (Relationship of Dankook University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Mi-Heui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Kim, Nam-Choo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ersity)
  • 강방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손진관 (단국대학교-농촌진흥청 학연협동과정) ;
  • 김미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남춘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Received : 2010.08.02
  • Accepted : 2010.09.01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study was accompanied to develop the management and application plans as resources for rural tourism through the analysis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habitants' practical use, need item for management and application, and aesthetic/recreation function of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The 2.3 Palustrine wetland per farm village were located, and 77.5% of total wetland was used by agricultural water, landscape, rural tourism The management and water quality were steadily getting better in used wetland than in unused wetland. Also, 91.8%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is a practical use plan afterward, and much preferred the mode of ecotourism through restoration of ecological wetland. As the results from the appropriateness evaluation of management and application in used wetland for ecotourism, improvement item was required in observation deck, entrance lane, guidance facilities etc. And, insufficient result was deduced in appropriateness of operation program and special learning course, and in participation of inhabitants and experts. The result of evaluation of the aesthetic and recreation functions generally appeared high, but the need improvement item was required in artificial water wall and plantation base that deteriorate biological diversity. These results will be used to data for conservation, management and practical use of wetland, an important natural resource in farm village, which are confronted in crisis of land reclamation by use reduction of use and false manage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방훈, 손진관, 이상화, 김남춘, 2009,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식생특성,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2(3), 33-48.
  2. 강방훈, 손진관, 2010, 농촌마을 소택지의 분포 및 분류특성, 한국습지학회 학회논문지, 470-474.
  3. 강평년, 2005, 도시민의 농촌관광지 선호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18(3), 3-21.
  4. 고종화, 김종은, 이승곤, 이충기, 이태희, 김태균, 2002, 체험관광 실태조사 및 수용예측방안연구, 한국관광공사.
  5. 구본학, 2002, 습지 유형분류 및 도면화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귀곤, 2003, 자연과 인간이 만드는 습지 : 습지와 환경, 아카데미서적.
  7. 김대식, 최현성, 2007, 어메티니자원과 인적자원을 고려한 농촌마을의 관광잠재력 평가기법 개발, 13(2), 7-16.
  8. 김선희, 2006, 국토어메티니의 개념과 정책과제, 국토연구원, 국토, 298, 5-16.
  9. 김성훈, 오경미, 유금환, 박희경, 1998, 소규모 연못의 수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사례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24(3) : 297-304.
  10. 김현아, 허북구, 박윤점, 2008, 자원식물을 이용한 농촌체험관광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30(2), 105-113
  11. 김혜민, 2006, 농촌관광마을의 마을자원 활용 현황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2, 207-210.
  12. 김호섭, 공동수, 정동일, 황순진, 2009, 한강수계 농업용저수지 관리방안, 수질보전, 25(3), 386-393.
  13.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2005,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보고서.
  14.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어메니티 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rural.rda.go.kr/webgis.
  15. 농촌진흥청, 2004, 주민참여계획모델에 의한 농촌어메니티 자원 발굴 및 설계시술 현장적용 연구.
  16. 농촌진흥청, 2005, 농촌지역의 Ecosystem과 Amenity 보전을 위한 Biotop 관리 및 복원 기술개발.
  17. 문선희, 박덕병, 김경희, 2009, 제주 농촌관광 방문객의 체험프로그램 선호 및 만족도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6(4), 795-835.
  18. 박윤호, 2003, 농촌관광 시설 및 서비스의 표준화와 등급화 방안, 농업기반공사 농어촌 연구원.
  19. 변무섭, 오현경, 김재병, 2006, 전주 오송제, 오공제, 신용제, 어두제 소류지의 관속식물상과 훼손 실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4), 24-35.
  20. 변우일, 2006, 자유수면형 인공습지 환경.생태공원 설계 : 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 공원의 구조설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5), 1-9.
  2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서울시 도시공원내 연못 수질관리 방안.
  22. 손진관, 2010,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생육 환경 및 식생특성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손진관, 강방훈, 김남춘, 2010, 농지연못습지의 수질 및 토양환경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3), 46-62.
  24. 신재기, 정선아, 2004, 내륙 연못 생태계의 수질개선기술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25. 신재기, 정선아, 정남정, 황순진, 2005, 국내 인공 연못의 수질관리 실태와 문제점,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6. 오순자, 진국림, 고석찬, 2009, 자연학습장으로의 활용을 위한 제주시 지역 습지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18(4), 411-422.
  27. 오윤경, 최진용, 배승종, 2008, 생활 및 관광자원으로서의 특성을 고려한 농촌어메니티의 지역별 수준 평가, 농촌계획, 14(4), 21-32.
  28. 윤유식, 지경배, 2008, 농촌관광마을 방문객 선호체험프로그램과 방문만족도 및 성과에 관한 연구 : 강원도 농촌관광마을 방문객을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10(1), 327-251.
  29. 이영숙, 2003, 저수지 수변공간의 생태계 복원을 위한 식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시흥시의 6개 저수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은희, 장하경, 2008, 생태연못 조성을 위한 이론적 사례연못 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3(2), 10-23.
  31. 이홍수, 신상일, 최정규, 정세웅, 2008, 소규모 생태 연못의 수질특성과 영양상태 평가,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32. 임유라, 김귀곤, 2009,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유휴농경지의 습지 복원 적지선정에 관한 연구 : 군포시 반월천 유역 사례로, 환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1), 52-66.
  33. 장정렬, 2005, 농업유역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인공습지 설계인자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장정렬, 최선화, 권순국, 2007, 식생습지와 개방수역의 배열에 따른 인공습지의 수처리 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3(1), 122-130.
  35. 정남수, 2005, 농촌어메티니 자원의 평가를 위한 조사표와 항목 개발, 농촌계획, 298, 9-15.
  36. 제주도,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환경운동연합, 2001, 제주의습지, 제주도(환경건설국).
  37. 조강현, 1992,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물질순환과 질소와 인의 순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조동길, 2004, 소택형습지의 복원 및 창출을 위한 생태적 식재 설계 모델 : 생물다양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조록환, 윤용환, 국지하, 손진관, 한송희, 2008, 식재 및 관리현황 분석을 통한 마을숲 활용방안 : 해안 숲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관광학회, 15(2), 47-64.
  40. 진국림, 오순자, 고석찬, 2008, 제주시 지역 중학교 학생들의 환경교육에 대한 의식 조사, 한국환경과학회지, 17(12), 1315-1324.
  41. 최재용, 박소현, 이동근, 2005, 자연환경보전 이용시설의 공간조성 사례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1), 52-62.
  42. 최재용, 박소현, 이동근, 신경준, 홍태식, 2006, 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 가이드라인 및 활성화방안,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4), 36-51.
  43. 최재우, 2007, 오세아니아지역 생태관광자원의 글로벌 교육자료 활용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3), 335-375.
  44. 환경부, 2005a, 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 설치.운영 가이드라인 연구.
  45. 환경부, 2005b, 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 설치.운영 가이드라인 연구 단계별 체크리스트 및 개별 시설물 설계안.
  46. 환경부, 2008,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1.
  47. 홍선기, 김재은, 2007, 서해안 포구의 마을숲 : 생태 관광지 보전을 위한 경관림 관리, 도서문화, 29, 441-473.
  48. 龜山 章, 倉本 宣, 日置佳之, 2005, 自然再生 : 生態工事的 アブロ- チ 編集, ソフトサイエンス祉.
  49. Bergstedt, J., 1992, Handbuch Angewandter Biotopschutz, Okologische und rechtliche Grundlagen, Merkblatter and Arbeitshilfen fur die Praxis (l Ordner mit Loseblatt-Sammlung), Landsberg(Ecomed).
  50. Bujold P., 1995, Community Development-making a better home, Voluntary Action News, 5-8.
  51. Drake, S. P., 1991, Local Participation in Ecotourism Project, in T. Whealn(ed) Nature Tourism : Managing for the Environment, Island Press.
  52. Mitsch W. J., and Gosselink, J. G., 1993, Wetland(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53. Peterjohn, W. t. and Correll D. L., 1984, Nutrient dynamics in an agricultural watershed : Observations on the role of a riparian forest, Ecology, 65, 1466-1475. https://doi.org/10.2307/1939127
  54.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2006, Rarnsar Convention Manual, 4th edition.
  55. Reed S. C., Middlebrooks E. J. and Crities R. W., 1988, Natural System for Waste Management and Treatment, McGraw-Hill.
  56. Sharpley, R., 2002, Rural tourism and the challenge of tourism diversification : The case of Cyprus. Tourism Management, 23(3), 233-244. https://doi.org/10.1016/S0261-5177(01)00078-4
  57. Tilton, D. L., Karen, S., Brian, B. and William, T., 2001, A Wetland Protection Plan for the Lower One Subwatershed of the Rouge River. Aquatic Botany, 28, 227-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