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시군별 지역농업 특성화 품목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Agricultural Specialization Items in Daegu and Kyungpook Region

  • 권중섭 (경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 장우환 (경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Kwon, Chung-Sub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ang, Woo-Wha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7.06
  • 심사 : 2010.09.09
  • 발행 : 2010.09.30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priority and selection of agricultural specialization items from Daegu and Gyeongbuk region by using analytical tools such a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nd the Scor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ive major items were selected for each region based on Daegu and Gyeongbuk regional agricultural performances. 2) The results of AHP analysis, Daegu and Gyeongbuk's agricultural experts evaluated the weight of three decision-elements(objectiveness 0.35, efficiency 0.341, identity 0.309) and seven decision-elements. 3) Results of AHP and Scoring Method analysis, Investigated a priority of agricultural specialization 3 items in 25 cities and districts Daegu and Gyeongbuk regional agricultural performances. 4)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agricultural specialization policy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승규, 2008. GIS에 의한 지역농업 특화지대 구분,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재서, 1967. 한국농업의 지역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 국제농업자원연구소.
  3. 김기혁, 1985. 작물특화도에 의한 한국의 농업지역 구분, 지리학연구, 제10집.
  4. 김두관, 2007. AHP를 이용한 특성화 고등학교로 전환을 위한 성공요인 중요도 분석. 경성대학교.
  5. 김석철, 2004. 토지입지평가를 위한 AHP 및 퍼지 이론의 적용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6. 김완배, 1998. 지역별 농업생산 최적배분 모형에 관한 연구 : 도단위 모형, 농업경제연구, 39(2),
  7. 김정호, 2004.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가능성과 과제, 농업경영.정책연구, 31(3).
  8. 김정호, 2005. 지역농업클러스터 구축의 의의와 발전과제, 제2회 지역토론회 발표 자료집, 지역재단.
  9. 김정호 외, 1990.1995.2000년 농업총조사로 본 시.군 농업통계지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김충실, 1990. 경북지역농업의 영농유형 및 지대구분, 농업경제연구, 31(4).
  11. 김충실, 2008. FTA 대응 지역농업특화 모델구축, 농촌진흥청.
  12. 김충실.이현근, 2010. 대구 경북 지역농업의 특화 분석, 농촌경제, 33(1).
  13. 김태완 외, 계층분석과정(AHP)에 의한 지역농업정책의 우선순위 결정:창녕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2(1).
  14. 김태준, 2006. GIS 기반 AHP기법을 적용한 작물재배 적지분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15. 나준엽, 2005. 정보계측기법에 의한 공공시설의 적지선정, 서울대학교.
  16. 나준엽, 2006. 정보편익에 의한 농촌생활환경시설의 계획 모델개발, 농촌계획, 12권.
  17. 농림수산식품부, 2009. 2009년 향토사업육성 추진계획.
  18. 농림수산식품부, 2009. 2009년도 광역 클러스터 활성화 지원 지침.
  19. 농업경영연구소, 1973. 농업지대의 설정과 작부체계 개선방향, 중간보고자료.
  20. 농촌진흥청, 2009. 지역농업 특성화사업 추진 매뉴얼.
  21. 농촌진흥청, 2009.12. 경북 시군지역농업특성화 중장기 목표수립 연구.
  22. 박문호 외, 2004. 지방농정과 지역농업개발 성공사례연구 성공 유형과 요인, 농촌경제연구원.
  23. 박성재, 2004. 시 지역 공공도서관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4. 성진근, 1997. 충북지방 원예작물의 특화방향, 농촌경제연구, 1997.
  25. 손승휘, 2007. AHP기반의 공간가중치를 활용한 주거환경개선 적지 선정, 경북대학교.
  26. 이재형, 2009. 입지선정요인에 대한 가중치부여 기법에 관한연구, 안양대학교.
  27. 양원식 외, 2009. AHP기법을 이용한 농촌지역 유형 구분, 농업생명과학연구, 43(1).
  28. 이정면, 1966. 한국농업지역 설정에 대한 연구(상), 지리학, 2, pp.1-13.
  29. 이정환, 1987. 일본의 지역농업진흥론 그 배경과 발전과정, 농촌경제.
  30. 임형백, 2006. 농촌지역의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위한 모형연구-특화산업과 지역내총생산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12(3).
  31. 정남수, 2003. 농촌시설 입지 및 어메니티 평가를 위한 정보계측 기법의 개발, 서울대학교.
  32. 전성용, 2003. 계층분석과정(AHP)FFM 이용한 지식 경영 시스템평가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33. 최수명 외, 1998.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농촌지역 시설 적정입지선정 모델, 농촌계획, 4(1).
  34. 통계청 홈페이지, 농림수산업총조사, 1995, 2000, 2005, 2007.
  35. 하서현 외, 2003. 개방화 시대의 지역농업, 강원대학교.
  3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농가의 경제사회적 성격 변화와 전망.
  37. F. Kaiser. 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39(1), 325-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