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pproach to Determining Rural Rooftop Color by Environmental Color Extraction

환경색채 추출을 통한 농촌마을 지붕 개선색채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 Lee, 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 ;
  • Ahn, Tong-Mah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 이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안동만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09.05.11
  • Accepted : 2010.05.17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lor preference on rural rooftop color. Today, public profit value of a rural community has been heavily recognized in the areas of preservation of pro-environmental and traditional life styles and foundation of collective community. Comparatively with urban, rural town conserves the scenic of those days when the historic landscape existed. Therefore, elements of historic and tradition in rural town are interesting resources to people who want traditional experience. Color is one of the most influenced elements for the image of Landscape. On the other hand, radical modernization has brought conflicting color element that does not blend with existing environmental color. Among others, roof represents one of the important traits of rapidly developing rural community due to vast amount of space it covers. In order to come up with more appropriate coloring scheme, it is necessary determine color that forms a balance with present conditions of rural life and historic landscape. This study provides more objective rooftop coloring selection process by employing additional surveys regarding color image adjective. I justified necessity of the balance between environmental color and roof color through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color of the rural town and Color Image Scale of the preliminary selection of roofs.

Keywords

References

  1. 김길홍, 1978, 가로경관색채조절.조화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연구원논총, 265-311.
  2. 김길홍, 2001, 환경색채계획론, 이화여자대학교 색채디자인연구소.
  3. 김대수, 2003, 도시경관의 통합적 개선을 위한 색채 관리 제도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미경, 2003, 도시의 지역성을 고려한 환경색채계획의 필요성과 방법-서울시 중구 청계천변 환경색채계획을 중심으로,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0(2), 90.
  5. 김수경, 2002, 문화재 보존지역의 환경색채조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선수, 1994, 아파트 외장색채와 환경요인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0(2), 66-67.
  7. 김한나, 2003, 환경색채의 시지각적 특성과 행태지원성에 관한 연구-테마파크 도입부의 이미지 형성과 동선유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8. 농촌진흥청, 2005, 어메니티 창조를 위한 농촌 경관 관리 지침서.
  9. 민경우, 1997, 디자인의 이해, 미진사.
  10. 문은배, 2000, 안동하회마을의 경관색채 추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도양, 1987, 실용색채학, 이우출판사, 159.
  12. 박명원, 2004, 한국전통색채미감의 현대적 구현, 한국색채학회지, 16(3), 79.
  13. 박필제, 백숙자, 2001, 컬러코디네이터를 위한 색채학 입문, 형설출판사, 124.
  14. 서주환, 진승범, 1994, 경관색채학, 명보문화사.
  15. 서주환, 최현상, 이선화, 2000, 농촌경관계획 수립을 위한 계획과정의 설정, 디자인연구원.
  16. 성기혁, 2005, 색은 色이다-농어촌 지붕은 자연색을 입어야, 동아일보, 2005.04.14.
  17. 이 영, 2006, 환경색채 추출에 의한 농촌마을 지붕 색채선정기법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일본건축학회(윤혜림 역), 2001, 빛과 색의 환경디자인, 성안당, 23-24.
  19. 윤일주, 1971, 서울상가 지역 환경색채 분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5(2), 3-6.
  20. 정미란, 1995, 자연색채계에 의한 환경색채방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21. 정승혜, 2005, 색채이론에 근거한 공간과 오브제의 관계연구-색채대비와 조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정철수, 이재진, 김기환, 2001, 산업용 건축물 지붕 색채의 개선을 위한 현황조사연구, 한국색채학회, 90-96.
  23. 최영훈, 손계중, 유대석, 2004, 색채의 원리와 활용, 미진사.
  24. 최형석, 2001, 역사경관보전을 위한 건축물 높이규제에 관한 연구(1), 국토계획, 36(1).
  25. 한승호, 2003, 농촌마을 경관계획에 있어 경관정보의 수집과 가시화 기법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26. Antal Nemcsics; D.H.Sharp, 1993, Colour Dynamics: environmental colour design, Newyork: Ellis Horwood, 8.
  27. Hayashi Nagumo(김상두편역), 2000, Color Image Chart, 조형사.
  28. Narumi Kunihiro(김덕삼 외 2인 편역), 2008, 도시경관의 형성수법, 대우출판사.
  29. OECD, 2001,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42.
  30. Porter, Tom, 1982, Architectural Color: The Outside Color in Architecture, Whitney Library of Design.
  31. Berry, Susan and Judy Marine, 1991, Designing with Color, B.T.Batsford Ltd, 11.
  32. http://urban.daegu.go.kr(대구광역시 도시주택국 홈페이지)
  33. http://EnCyber.com(두산대백과사전)
  34. http://www.koreacolor.net(문은배 색채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