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acility for Domestic Waste Problems of high Temperatured Combustion and the Alteration of heating surface

폐기물소각로의 고온 연소에 따른 문제와 연소실 전열면 변경에 대한 연구

  • 김성중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Received : 2010.08.17
  • Accepted : 2010.09.27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Korea's large-scale incinerating facilities of domestic waste were built in the late 1980'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incinerators were designed during the period and even the ones constructed afterwards have been built without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However, the nature of waste fed into incinerators is undergoing a radical change due to government policies on waste collection, which is upheld by a research into changes in the heating value of domestic wastes. As a result, refractories and stokers are being damaged in many of the facilities due to overheating. On the other hand, the formation of clinkers on boilers' heating surface, which curbs he at transfer, results in problems such as a fall in used heating value and a rise in the temperature of combustion chambers. Methods are being deployed to resolve the problems-such as spraying water on piles of waste, incinerating food waste by mixing together what has been separately collected, spraying water on combustion chambers, etc. Such actions are not a fundamental solution, nor redesigning and rebuilding incineration facilities is cost-effective. This research seeks to develop a fundamental solution to address the situation.

우리나라의 대형 생활폐기물소각시설의 건설시기를 보면 상당수가 1980년대 후반인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시설들은 이 시기에 설계되었으며 그 후에 건설된 소각로 역시 변경이나 조정 없이 시설해온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나 소각로에 반입되는 폐기물의 성상은 정부의 폐기물수거 정책에 의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는 생활폐기물의 발열량변화를 조사해 봄으로도 쉽게 알 수 있다. 그 결과 많은 소각시설에서 과열에 의해 내화물과 화격자가 손상되고 있다. 한편 보일러 전열면에 클링커가 생성되어 열전달에 방해를 줌으로 이용열량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연소실의 온도가 상승되는 등 원하지 않는 현상이 연속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폐기물저장고에 물을 뿌리거나, 분리수거해 온 음식물류 폐기물을 다시금 혼합하여 혼소하거나 연소실에 물을 분사하는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으며, 설계부터 다시 하여 새로 시설하는 것 또한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위와 같은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 하기위한 방법을 도출해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중, 폐기물성상 변화에 따른 소각시설의 발열량 관리방안, 연구보고서, 인천지역환경기술센터, (2009).
  2. 김성중, 소각로 운전조건과 설계인자의 비교평가, 연구보고서, 한국과학기술원 (1995).
  3. 환경부, 전국 생활폐기물소각시설 운영현황, (2003-2007)
  4. 환경부, 전국 폐기물발생 및 처리현황 (2003-2007)
  5. 이정임외 1인, 생활폐기물 대형소각시설 발열량 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07).
  6. VDI-Waermeatlas, Berechnungsblaetter fuer den Waermeuebergang, Germany,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