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s of Groundwater Quality in the Areas with a High Possibility of Pollution

국내 오염우려지역의 지하수 수질 추세 특성

  • 김규범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 최두형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 윤필선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 김기영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Received : 2009.09.24
  • Accepted : 2010.01.07
  • Published : 2010.03.01

Abstract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wells, which is over 2,000 in South Korea, were managed to observe groundwater quality since the early 1990s. Groundwater was sampled and analyzed biannually from 781 monitoring wells located in the areas with a high possibility of pollution.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cyanide, mercury, phenols, hexavalent chromium, tri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 and 1.1.1-trichloroethane for 12 years' data of detected cases were above the groundwater quality standard, but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the general quality items such as pH, electric conductivity, nitrate-nitrogen, and chloride, are below the standard. To compare a quality trend for each land-use type of the monitoring site, Sen's method is used for four quality items; chloride, nitrate-nitrogen, pH, and electric conductivity. The upward trend for these items is remarkable in urbideareas and industrial complexes and this trend continues still strongly after 2001. The deviation in a trend slopes of monitoring wells becomes bigger in the mid-2000s. In conclusion, trend analysis using existing monitoring data cidebe effective to forecast the future water quality condition and the solid action to protect groundwater quality should be done in advance using a result of trend analysis.

국내 지하수 오염을 감시 관측하기 위하여 1990년대 초부터 2,000개 이상의 지하수수질측정망이 설치 운영중에 있으며, 지하수오염우려가 높은 지점에 설치된 781개소의 1996년부터 2007년까지 연 2회 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오염우려지역에서의 지하수 수질 현황과 추세특성을 분석하였다. 건강상 유해물질이 검출된 경우의 평균 농도는 시안, 수은, 페놀, 6가 크롬, 트리클로로에틸렌, 데트라클로로에틸렌, 1.1.1-트리클로로에탄 등에서 생활용 지하수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오염물질의 평균 농도는 기준 이하로 나타났으나 이는 상대적으로 비오염지역에 설치된 국가지하수관측정의 수질 보다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en의 방법을 이용하여 토지용도별로 일반오염물질(염소이온농도, 질산성질소, 수소이온농도)과 전기전도도의 추세를 평가한 결과, 도시지역과 공단지역 등에서 수질 악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2000년대 중반에도 수질 악화는 더욱 가속화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수질이 개선되는 지역이 있는 반면 수질악화가 심화되는 등 추세의 편차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계속되는 수질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질 악화 추세가 높은 지역에 대해서 보다 세밀한 감시 관측을 수행하고 보다 정밀한 분석을 통하여 개선 대책을 수립, 시행하는 것이 필요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토양 및 지하수 오염노출 실시간 관측망 시스템 개발 및 적용성 평가

Supported by : 환경부

References

  1. 유순영, 윤성택, 소칠섭, 채기탁, 이평구 (2001), 서울 대도시 지하수 수질의 공간적 변화 특성,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pp. 139-142.
  2. 이병대, 윤욱, 성익환 (2007), 울산지역 토지이용도에 따른 지하수 수질 및 오염특성,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Vol. 12, No. 6, pp. 78-91.
  3. 이진용, 구민호 (2007), 도시화가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 및 도시지역 지하수 문제 고찰, 지질학회지, Vol. 43, No. 4, pp. 517-528.
  4. 정상용, 강동환, 박희영, 심병완 (2000), 부산지역 지하수 오염현황 분석을 위한 지구통계 기법의 응용, 지질공학, Vol. 10, No. 3, pp. 247-261.
  5. 정상용, 권해우, 이강근, 김윤영 (1997), 부산 석대 폐기물 매립지 일원의 수질 환경, 지하수환경, Vol. 4, No. 4, pp. 175-184.
  6. 정찬호 (2005), 대전지역 지하수의 수질화학 및 오염에 대한 토지이용의 영향과 관리방안, 2005년도 워크샾,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pp. 111-121.
  7. 함세영, 김광성, 이정환, 정재열, 성익환, 장성 (2006), 부산시 사상공단지역의 지하수 수질특성, 자원환경지질, Vol. 39, No. 6, pp. 753-770.
  8. 함세영, 조명희, 성익환, 김정숙, 이병대, 조병욱, 한석종 (1999), 부산 북서부 화강암 지역 지하수의 화학적 특성, 수처리기술, Vol. 7, No. 2, pp. 57-68.
  9. 환경부 (2007), 2006년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pp. 1-47.
  10. Bruce, B.W. and McMahon, P.B. (1996), Shallow Groundwater Quality beneath a Major Urban Center: Denver, Colorado, USA, J. Hydrology, Vol. 186, No. 1, pp. 129-151. https://doi.org/10.1016/S0022-1694(96)03031-4
  11. Gibbons, R.D. (1994), Statistical Methods for Groundwater Monitoring,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175-178.
  12. Hem, J.D. (1989), Study and Interpretation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ater, 3rd ed. U.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2254, U.S. Geological Survey, pp. 1-263.
  13. Kendall, M.G. (1975), Rank Correlation Methods, 4th edition, Charles Griffin, London, pp. 1-202.
  14. Taylor, C.J. and Alley, W.M. (2001), Groundwater Level Monitoring and the Importance of Long-term Water-level Data. USGS Circular 1217,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pp. 1-68.
  15. Zhou, Y. (1992), Design and Analysis of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s, Delft, Netherlands, pp. 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