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NPS Pollution from a Coal Mining

가행광산 지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 Seo, Jiyeon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hin, Minhwan (Geum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
  • Won, Chul-hee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Yong-hun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ung, Myung-suk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
  • Lim, Kyoung Jae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Joongdae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서지연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 신민환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 원철희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 최용훈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 정명숙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 임경재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 최중대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Received : 2009.12.07
  • Accepted : 2010.03.22
  • Published : 2010.05.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NPS) Pollution discharge from a coal mining area in Korea. The study areas is located on the Dogye site, Samchuk, Kangwon Province Coal Corporation and the Jangsung site, Taebaek, Kangwon Province Coal Corporation. The monitoring system was installed at a drainage channel and water samples and rainfall events were collected during March 2008 to February 2009. The collected water sample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SS, BOD, $COD_{Cr}$, $COD_{Mn}$, T-N, T-P, and TOC, respectively. It was observed that the runoff and water quality were largely influenced by mine drainage. Also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served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flow and water quality, flow and NPS. And estimated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NPS pollution loads were Dogey coal mine and Taeback coal mine respectively. As the study progresses in the future, runoff and pollution loads will be updated.

Keywords

References

  1. 강신권, 김태균(2008). 지역별 강우분포를 고려한 블록포장 지역의 유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4), pp. 111-119.
  2. 광해방지사업단(2009). http://www.kmrc.or.kr/.
  3. 국립환경과학원(2009). 강우유출수 조사방법.
  4. 김상단, 강두기, 김문수, 신현석(2007). 유역모형 구축을 위한 8일 간격 유량측정자료의 일유량 확장 가능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1), pp. 64-71.
  5. 김이형, 강주현(2004). 강우시 발생하는 고속도로 유출수의 초기우수 특성 및 기준.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0(6), pp. 641-646.
  6. 신민환, 신용철, 허성구, 임경재, 최중대(2007). 농업 및 산림유역의 강우유출수 유량가중평균농도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9(6), pp. 3-9.
  7. 신용철, 류창원, 최예환, 임경재, 최중대(2006). 농업소하천 유역의 기저유출에 의한 오염부하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2(2), pp. 244-249.
  8. 신은성, 최지용, 이동훈(2001). 토지용도와 유역특성을 고려한 비점오염물질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17(2), pp. 137-146.
  9. 엄미정, 문영훈, 안병구, 신용규(2008). 전북지역 농업용 하천유역의 수질과 부하량 특성. 한국환경농학회지, 27(2), pp. 111-119.
  10. 오재일, 조인성, 안남규, 김태형(2005). 석탄폐광석 적치장의 비점오염 수질조사 및 사면 안정성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5(4B), pp. 317-324.
  11. 원철희, 최용훈, 서지연, 김기철, 신민환, 최중대(2009) 산림과 밭 지역 강우 유출수의 EMC 및 원단위 산정.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5(4), pp. 615-623.
  12. 이치타오, 허진휴, 김영철(2008). 농촌지역에서 유출시간에 따른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평가.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4(6), pp. 773-783.
  13. 이현준, 김효진, 오현주, 정진호(2006). 광산배수의 몰리화학적 특성과 생물독성간의 상관관계 해석.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pp. 534-540.
  14. 임길재(2002). 폐탄광 광산배수 자연정화처리시설 정화효율성 평가 사례 연구.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39(2), pp. 112-118.
  15. 정동환, 신동석, 류덕희, 정동일(2007). 도시지역 강우유출수에서 비점원 오염물질 EMC 분석. 추계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대한환경공학회, pp. 318-320.
  16. 조영도, 김형석, 안지환(2007). 석탄광산배수에 함유된 중금속 이용의 침전 특성. 한국광물학회지, 20(2), pp. 125-134.
  17. 주진호, 정영상, 양재의, 옥용식, 오상은, 유경렬, 양수찬(2007). 낙동강 수계 고령지 밭의 비점오염 물질 유출 특성 조사 및 단위 유출량 산정. 한국환경농학회지, 26(3), pp. 233-238.
  18. 최중대(1999). 토지이용이 농업소유역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2(4), pp. 501-510.
  19. 환경부(2003). 환경백서.
  20. 환경부(2005). 수질오염공정시험법.
  21. U. S. EPA. (1983). Result of the Nationwide Urban Runoff Program, Water Planning Division, U. S EPA. Washington DC. 1, Final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