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trient Transfer in the Application of the Swine Slurry Liquid Fertilizer in Rice Paddy

벼 재배에서 양돈분뇨 액비 시용시 양분이동

  • Kwon, Soon-Ik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 Kim, Kwon-Rae (Korea University) ;
  • Kim, Min-Kyeo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 Jung, Goo-Bok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 Hong, Seung-Gil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 Shin, Joong-Du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 Park, Woo-Kyu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 Seong, Ki-Seog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 Lee, Deog-Bae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권순익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김권래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 김민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정구복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홍승길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신중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박우균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성기석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이덕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Received : 2010.12.15
  • Accepted : 2010.12.2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Pig slurry has been considered as environmental waste to be treated in an appropriate manner. Recently, there has been the movement toward reusing the pig slurry as an alternative fertilizer sources for agricultural lands. For instance, SCB(Slurry Composting &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has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in Korea. However, the impacts of swine slurry liquid fertilizers on both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crop yield have not been investigated yet. Therefore,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accumulate the basic data which can be subsequently used to determine appropriate application amount of swine slurry liquid fertilizers (SCB liquid fertilizer and storage liquid fertilizer) as well as the application method for each liquid fertilizer. For this, growth of rice was cultivated under the treatment of SCB liquid fertilizer, storage liquid fertilizer, and chemical fertilizer. Also, control treatment (no fertilizer) was included for comparison and all treatments were conducted in five replication. Rice growth was good with the treatment in the order of chemical fertilizer>storage liquid fertilizer>SCB liquid fertilizer>control and likewise, the yield amount of rice straw was in the same order of rice growth. The rice yield amount appeared to be no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 except control which showed the least yield amount.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nitrogen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rice among the treatment except control which showed the least concentration.

양돈분뇨의 처리는 환경문제 해결과 자원으로서의 이용 등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돈분뇨의 처리 및 자원화 방법으로 개발된 SCB 액비를 토양에 시용했을 때 양분이 작물에 흡수 이용되는 양과 토양중에 잔류하는 양을 조사하여 SCB 시용량 및 시용방법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무비, 화학비료, 저장액비, SCB 액비를 완전임의배치 5반복으로 처리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벼의 생육은 화학비료구에서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저장액비, SCB 액비, 무비구 순이었다. 볏짚 수량 역시 화학비료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저장액비, SCB 액비, 무비구 순이었다. 생육상황은 수량까지 이어져 무비구는 처리구보다 감수 경향을 보였으며, 다른 처리구 간에는 대동소이하였다. 식물체의 무기성분 흡수량에서도 화학비료를 비롯한 처리구의 질소, 인산 등 각종 무기성분 흡수량이 무비구에 비하여 많았으나, 이를 제외한 처리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 "가축분뇨 처리와 자원화". 표준영농교본 109. p. 224 (2007).
  2. 임태준, 홍순달, 김승희, 박진면, "고추에서 SCB 액비 시용량 설정을 위한 수량 및 품질 평가", 한국환경농학회지 27(2), pp. 171-177 (2008).
  3. 박정현, 여진기, 구영본, 이원우, 김현철, 박치호, "간척지 성토지 식재 포플러의 SCB액비 처리에 따른 클론별 생장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1(5), pp. 318-323 (2008).
  4.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연구조사분석기준", (2003).
  5. 농업과학기술원,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2000).
  6. 농업과학기술원, "가축분뇨 액비 사용 매뉴얼", (1999).
  7. Summer, M. E., and Miller, W. P.,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exchangeable coefficients", pp. 1201-1230. In D. L. Sparks et al. (ed). Method of soil analysis. part 3 Chemical methods. SSSA Book Ser. 5. SSSA and ASA. Madison. WI. (1996).
  8. 전원태, 박향미, 박창영, 박기도, 조영손, 윤을수, 강위금, "돈분뇨 액비 시용이 벼의 생육 및 논 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6(5), pp. 333-343 (2003).
  9. 김종구, 이경보, 이덕배, 이상복, 나승용, "배수조건이 다른 논에서 돈부뇨 액비시용이 벼 생육 및 양분이동에 미 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7(2), pp. 97-103 (2004).
  10. 이상복, 양창휴, 안승현, 김선, 유진희, 김택겸, "SCD 액비를 이용한 벼 재배기술 개발", pp. 90-116. "양돈분뇨 경지순환 및 이용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3년차 완결보고서" 농촌진흥청 발간등록번호 11-1390000-002310-01 (2009).
  11. 강보구, 김현주, 이경자, 박성규, "고추에 대한 돈분액비 시용기준 설정",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7(6), pp. 388-395 (2004).
  12. 이종태, 이찬중, 김희대, "벼.양파 작부체계에서 화학비료 절감을 위한 돈분뇨 액비의 활용",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7(3), pp. 149-155 (2004).
  13. 황선웅, 성좌경, 강보구, 이춘수, 윤승길, 김태완, 엄기철, "돈분뇨 액비시용에 의한 고추 및 배추의 polyamine 생합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7(3), pp. 171-176 (2004).
  14. 박진면, 임태준, 강석범, 이인복, 강윤임, "돈분액비 관비가 토마토의 수량 및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3(5), pp. 488-493 (2010).
  15. 이종태, 하인종, 김희대, 문진성, 김우일, 송원두, "돈분뇨 액비 시용이 앙파의 생육, 양분흡수량 및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Kor. J. Hort. Sci. Technol. 24(2), pp. 148-156 (2006).
  16. 양창휴, 이상복, 김택겸, 유진희, 류철현, 이정준, 김재덕, 정광용, "동분액비 시용 논에서 경운방법이 청보리 생육 및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1(5), pp. 285-292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