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tress of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Demented Elderly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10.29
  • Accepted : 2010.12.1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ind stress related factors to reduce stress level of family caregivers for demented elderly. Subjects were 72 family caregivers for demented elderly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Stress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ccording to gender, age, residence, marital status, number of family members, number of children, religion, education level, occupation, monthly income, relation with the demented elderly, caring years of the demented elderly and symptom of family caregivers for demented elder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for demented elderly were significantly high in number of family members who live alone with demented elderly, education level with elementary school or below, monthly income with below 2,000,000 won, and the ones who have symptom by taking care of demented elderly. Second, stress related factors of family caregivers for the demented elderly were women, age between 60-69, number of family members that live alone with demented elderly, education level with elementary school or below, monthly income with between 1,000,000 - below 2,990,000 won, daughter-in-law and son of demented elderly. The family who live alone with demented elderly, family with low education level and low monthly income were important variables of family caregivers' stress for the demented elderly.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support for family who living alone with demented elderly, family with low education level and low monthly income can reduce th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for the demented elderly.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를 파악하고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의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 72명이었다.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성, 연령, 거주지, 결혼상태, 동거가족수, 자녀수, 종교유무, 교육수준, 직업유무, 가계월수입, 치매노인과의 관계, 치매노인 수발년수, 치매노인수발로 인한 증상유무에 따른 스트레스를 t-test, ANOVA, Scheffe test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는 동거가족수가 1인인 치매노인과 단둘이 사는 경우, 교육수준이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 한 달 월수입이 200만원 이하인 경우, 치매노인을 돌보면서 증상이 생긴 경우이었다. 본 연구에서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변수는 여자, 나이가 60-69세인 경우, 동거가족수가 1명으로 치매노인과 단둘이 사는 경우, 교육수준이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 한 달 월수입이 100-299만원인 경우, 며느리와 아들인 경우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치매노인과 단둘이 사는 경우,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가계 월 수입이 적은 경우가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스트레스에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이면서 관련요인이 되는 주요변수임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치매노인을 홀로 돌보는 가정, 교육수준이 낮은 가정, 가계 월 수입이 적은 가정에 대한 지원이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스트레스 줄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창제, "치매 노인의 비공식 보호비용에 관한 평가",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 Parks, S. M., Novielli, K. D., "A practical guide to caring for caregivers". American Family Physician, Vol.62, pp. 2613-2620, 2000.
  3.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2009.
  4. Eisdorfer C., "Families in disrtess: Caring is more than loving", Psychiatric Annals, Vol.26, pp. 285-288, 1996. https://doi.org/10.3928/0048-5713-19960501-10
  5. 홍여신, 이선자, 박현애, 조남옥, 오진주, "노인성 치매환자 가족 간호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효과에 관한연구", 간호학회지, 제25권 제1호, pp. 45-60, 1995.
  6. Knight, B. G., Lutzky, S. M., Macofsky-Urban F., "A mata-analytic review of interventions for caregiver distres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Gerontologist, Vol.33, No.2, pp. 240-248, 1993. https://doi.org/10.1093/geront/33.2.240
  7. Gwyther, L. P., George, L. K., "Caregivers for dementia patient: Complex determinants of well-being and burden". The Gerontologist, Vol.26, pp. 245-247, 1986. https://doi.org/10.1093/geront/26.3.245
  8. 홍여신, 이선자, 박현애, 조남옥, 오진주, "노인성 치매발생요인과 돌보는 가족원의 스트레스에 관한 조사연구", 간호학회지, 제24권, 제3호, pp. 448-460, 1994.
  9. Sporinger, D., Brubaker, T. H., "Family caregivers and dependent elderly : minimizing stress and maximizing undependence", Beverly Hills : SAGE Publication, 1984.
  10. Chenoweth, B., Spencer B., "Dementia: The experience of family caregiver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21, 1986.
  11. 김혜숙,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부양 부담과 사회복지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2. Fengler, A. P., Goodrich, N., "Wives of elderly disabled men : the hidden patients", The Gerontologist, Vol.19, No.2, pp. 175-183, 1979. https://doi.org/10.1093/geront/19.2.175
  13. 김태순, "치매노인의 기능장애 유형과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4. Robins, P. V., Mace, N. L., Lucas, M., "The impact of dementia on the family",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48, pp. 333-335, 1993.
  15. Lezak, M. D., "Living with the characterlogically altered brain injured patient",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Vol.39, No.7, pp. 592-598, 1978.
  16. George, L. K., Gwyther, L. P., "Caregiver well-being: A multidimensional examination of family caregivers of demented adults", The Gerontologists, vol. 26, No.3, pp. 253-259, 1990.
  17. 정혜원, "입원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관한연구-성인자녀 부양자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8. Zarit, S. H., Todd, P. A., Zarit, J. M., "Subjective burden of husbands and wives as caregivers : a longitudinal study", The Gerontologists, vol. 26, No.3, pp. 260-266, 1986. https://doi.org/10.1093/geront/26.3.260
  19. 유희진, "치매노인 주수발자의 사회적 지지와 수발부담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0. 송현애, "시부모 부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부양자원과 부양스트레스 인지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3권, 제3호, pp.115-124, 1994.
  21. 이은희, "치매노인 부양가족원의 부담 감소를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 전략",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22. 장덕민,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 ; 정상노인부양자와의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23. 유세단,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사회복지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24. Stommel, M., "Depression as an overriding variable explaining caregiver burden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 2, pp. 81-102, 1990. https://doi.org/10.1177/089826439000200106
  25. Green J. G., "Measuring behavioral disturbance of elderly demented patients in the community and its effects on relatives: a factor analytic study", Age & Aging, Vol.11, pp. 121-126, 1982. https://doi.org/10.1093/ageing/11.2.121
  26. 김태현, 전길양,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상황과 적응자원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34권, 제4호, pp.145-160, 1996.
  27. 장영애, "치매 노인 부양자를 위한 사회적 지지 집단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8. 서문경애, "치매노인 가족의 누적 스트레스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제25권, 제2호, pp. 195-209, 2005.
  29. 고정자, "맞벌이 가족부부의 가족자원, 스트레스 인지수준 및 디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제32권, 제4호, pp. 97-116, 1994.
  30. 고정자, 김갑숙, "가족응집성, 적응성 및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맞벌이 부부의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34권, 제1호, pp. 65-78, 1996.
  31. 전세경, "가족스트레스와 가족자원 및 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32. Greenberg J. S., Seltzer, M. M., Greenley R., "Aging parents of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gratifications and frustrations of later-life caregiving", The Gerontologist, Vol.33, No.4, pp. 542-550, 1993. https://doi.org/10.1093/geront/33.4.542
  33. 이강오,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원의 스트레스와 건강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pp.384-398, 1999.
  34. 서미혜, 오가실, "만성질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관한연구", 간호학회지, 제23권, pp. 467-486, 1993.
  35. Pruchno, R. A., Resch, N. L., "Husband and wives as caregivers : Antecedents of depression and burden". The Gerontologist, Vol.29, No.2, pp. 159-165, 1989. https://doi.org/10.1093/geront/29.2.159
  36. 마정수, 김초강,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이 가족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교육학회지, 제12권, 제1호, pp. 83-110, 1995.
  37. 권중돈, "치매노인 부양부담사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