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운동과 발전을 동반하는 학습게임 설계 및 구현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Game to Accompany Exercising and Generating

  • 이경호 (한라대학교 정보통신방송공학부)
  • 투고 : 2010.08.19
  • 심사 : 2010.10.08
  • 발행 : 2010.12.3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게임의 부작용을 막기 위한 운동과 발전을 동반하는 학습용 기능성 게임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기능성 게임 시스템은 운동부와 게임부로 나누어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전신 운동을 하기 위한 운동부는 하체 운동을 위해 헬스 자전거를 부착하고 헬스자전거의 뒷부분에 상체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구성하여 부착하고, 각 힘점마다 발전기를 부착하였다. 그리고 회로 보드와 논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힘점에 부착된 발전기를 통하여 운동 강도 조절과 운동량을 측정하고, 컴퓨터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게임부는 폭력성을 배제하고 재미를 유지하면서 교육적인 효과를 살릴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구성한 게임 시스템은 가르노의 재미의 14가지 요소를 통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serious game system for study to accompany exercising and generating to keep on computer game side effect. The implemented serious game system was divided into the game part and the athletic part. The athletic part for whole body exercising was composed of health bicycle for lower body exercise and additional apparatus for upper body exercise, that was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health bicycle and several generator was attached to the power point of athletic part. The circuit board and logic program was composed to adjust the exercise strength control, to get data and to communicate with the computer. The game part was composed to promote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whole system emphasized on amusement side while avoided violence side. W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serious game system with the fourteen fun form which Garneau insist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게임산업개발원, "대한민국 게임백서," (재)한국게임산업개발원은, 88쪽, 2004년
  2. 김교헌, 최훈석, "인터넷 게임중독: 자기조절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 13권, 제 3호, 551-569쪽, 2008년. 9월.
  3. Colin T. McCarty, "Playing with Computer Games: An Exploration of Computer Game Simulations and Learning," Dissertation of the MA Degree of the University of London. p22, 2001
  4. 권정혜,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 시간에 따른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 24권, 제 2호, 267-280쪽, 2005년. 5월.
  5. 박형성, "Serious Games 활용을 위한 이해와 동향,"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 8권, 제 2호, 107-118쪽, 2008년. 5월.
  6. 서정만, "교육용 문제 풀기 게임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 15권, 제 2호, 83-89쪽, 2010년 2월. https://doi.org/10.9708/jksci.2010.15.2.083
  7. 이원희, "게임 산업의 신조류, 기능성," 삼성 경제 연구소, SERI 경영노트, 2009년. 6월. 25일.
  8. 이경호, "분할 가중치 테이블 역전파 신경망을 이용한 구구단 학습 기능성 게임 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제14권, 제10호, 233-240쪽, 2009년 10월
  9. 김성호; 채부경, "체감형 게임을 위한 3축 가속도 센서 기반 게임 인터페이스 개발,"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제 19권, 제 4호, 538-544쪽, 2009년. 8월. https://doi.org/10.5391/JKIIS.2009.19.4.538
  10. 정병기, 차병래, "체험형 게임콘텐츠를 위한 움직임 관성센서 기반의 제스처 인식," 한국항행학회 논문지, 제13권, 제 2호, 262-271쪽, 2009년. 4월,
  11. 김치중, 황민철, 박강령, 김종화, 이의철, 우진철, 김용우, 김지혜, 정용무, "멀티모달 인터렉션을 이용한 증강 현실 게임 플랫폼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87-90쪽, 2009년. 11월.
  12. 박종승; 전영준, "증강현실 게임에서의 동작 기반 상호작용 설계 및 구현",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 9권, 제 5호, 105-115쪽, 2009년. 10월.
  13. 박화정, 한태화, 전준철, 김광훈, "증강현실 기반 E-Learning 기술동향," 한국인터넷정보학회지, 제 10권, 제 2호, 12-22쪽, 2009년. 6월.
  14. 옥수열, 감달현, "적외선 펜을 이용한 재활 훈련 기능성 게임 콘텐츠의 설계,"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 9권, 제 6호, 151-161쪽, 2009년. 12월.
  15. 정현목, "뇌졸중 환자엔 게임기 'Wii'가 치료기?," 중앙일보사기사, 2010년 6월 30일
  16. 류완석, 강한수, 김휴정, 임창주, 정성택, "재활훈련 기능성 게임 콘텐츠를 이용한 Personal Training System 개발,"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2009년 6월, 121-128쪽
  17. 이범로, 박찬일, 김상중, "스포츠/헬스 기능성 게임 사례," 정보처리학회지, 제17권 제1호, 104-110쪽, 2010년 1월
  18. 엔드류 롤링스 저, 송기범 역, "게임 기획 개론," 제우미디어, 197쪽, 2004년 1월
  19.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http://100.naver.com/100.nhn?docid=753952
  20.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http://100.naver.com/100.nhn?docid=757132
  21. 이경호, 양룡, "인력 발전 장치를 이용한 운동을 유도하는 기능성 게임 제작," 한국컴퓨터정보학회동계학술대회논문집, 제18권 제1호, 83-86쪽, 2010년 1월
  22. Pierre Alexandre Garneau, http: / /www.gamasutra.com/ features/ 20011012 /garneau_01.htm

피인용 문헌

  1. 사각형 개수로에서의 수차 흘수 변화에 따른 회전 효율 파악을 위한 시뮬레이션 vol.18, pp.4, 2010, https://doi.org/10.9708/jksci.2013.18.4.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