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Trial of Taeeumjowui-Tang(Taiyintiaowei-tang) on Obese Patients -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

비만 환자에 대한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 임상연구 -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임상시험 -

  • Li, Ji-Eun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 Song, Yun-Kyung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 Lim, Hyung-Ho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이지은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송윤경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임형호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Received : 2010.09.16
  • Accepted : 2010.10.13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Objectives : The clinical trial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afety and effects of Taeeumjowui-tang(Taiyintiaowei-tang) extracts on the change of the weight, body compositions, serum in obese patients. Methods : This was a 12-weeks,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Patients with a body mass index of either greater than $30kg/m^2$ or between 27 and $30kg/m^2$ with controlled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were considered eligible. Participants of 41 obese patients were randomized either to Taeeumjowui-tang(Taiyintiaowei-tang)(23) or placebo(18). After 12 weeks of treatment, we measured anthropometric factors(weight, height, waist circumference, BMI(body mass index) etc.), abdominal fat area by CT(computed tomography)scanning, serum lipid(total cholesterol, try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blood lever of variety(AST, ALT, BUN, creatinine etc.). Adverse events also evaluated. Results : After 12 weeks of treatment mean weight, waist-circumferenc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score of KEAT-26 were significant changed in Taeeumjowui-tang(Taiyintiaowei-tang). There were no serious adverse events in either groups. Conclusions : There were limited in this study that is conducted within a short period of 12 weeks. but its weight and WC(waist circumference), WHR(waist hip ratio),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score of KEAT-26 loss effect was significant and it had few adverse events.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보건복지가족부

References

  1. 대한비만학회. 임상비만학. 제 3판. 고려의학. 2008;3:143-50.
  2. 이광재. 비만관리를 위한 건강 길잡이. 서울:한미의학. 2003:6-7, 98-121.
  3. 보건복지부.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진편. 서울. 1999.
  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서울. 2009.
  5. Jean-Pierre D, Isabelle L, Jean B, Pilippe P, et al. Abdominal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contribution to global cardiometabolic risk.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8;28:1039-49. https://doi.org/10.1161/ATVBAHA.107.159228
  6. 김철희. 비만치료의 최신지견. 비만의 약물치료. 대한당뇨병학회. 임상당뇨병. 2008:173-7.
  7. 박혜순. 비만 약물의 특성과 상황에 따른 처방 요령. 대한비만학회지. 2002;11(1):25-33.
  8. 박철영. 비만의 최신 약물치료제. 경희의학. 2002;18(2):77-85.
  9. 황미자, 신현대, 송미연. 2000년 이후 비만치료에 사용되는 처방 및 본초에 대한 문헌연구(麻黃을 중심으로). 한방비만학회지. 2007;7(1):39-54.
  10. 이기주, 전병훈, 김경요. 太陰調胃湯이 백서의 비만증 및 유도비만세포에 미치는 효과. 사상체질의학회지. 1996;8(2):219-38.
  11. 신동준, 김달래, 김선형. 太陰調胃湯과 麻黃이 비만백서의 Leptin에 미치는 영향. 사상체질의학회지. 2001;13(1):79-87.
  12. 윤진환, 류성환, 정경훈, 최덕구, 정일규, 이회혁, 김종오, 임은미. 12주간 太陰調胃湯 투여가 흰쥐의 간기능 효소와 간내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운동과학. 2002;11(1):53-65.
  13. 윤진환, 류성환, 정경훈, 최덕구, 정일규, 이회혁, 김종오, 정진욱. 운동과 太陰調胃湯 투여가 흰쥐의 간기능효소와 간내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운동과학. 2002;11(2):345-57.
  14. 이재익, 박용권, 김용정, 김경수, 김강산. 太陰調胃湯 전탕액이 비만 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3;24(3):497-507.
  15. 조세왕, 박성식. 太陰調胃湯이 비만유발 흰쥐의 체중감량, 혈청지절 및 UCP1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4;25(2):87-97.
  16. 이준무, 임윤택. 太陰調胃湯 약침이 고지방 급여 흰쥐의 혈장 및 간장의 지질구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5;22(2):151-61.
  17. 한정석, 신영오, 오재근, 금동호. 太陰調胃湯 투여가 비만유전자 쥐의 식욕억제에 미치는 효과.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15(4):131-45.
  18. 김길수, 이동웅, 김용래, 황문제, 김근우, 구병수. 太陰調胃湯과 그 加減方의 항비만 및 항고지혈증 효과에 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7;18(2):57-74.
  19. 송미연, 이종수, 김성수, 신현대. 절식요법 시행 후 태음인비만에 대한 淸肺瀉肝湯과 太陰調胃湯의 임상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8;8(1):34-56.
  20. 서남준, 남동우, 이은욱, 심범상, 안규석, 김성훈. 加味太陰調胃湯 전탕액을 활용한 비만 환자에 대한 임상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2):446-52.
  21. 장영주, 조정훈, 송병재. 太陰調胃湯과 전기침 병행 치료의 비만에 대한 효과. 한방비만학회지. 2001;1(1):1-11.
  22. 장문석, 심경준, 김휴영, 박은화, 고은빛, 최봉재, 양웅모, 임형호, 이명종, 박성규. SD계 흰쥐에 대한 太陰調胃湯의 급성 경구 독성 시험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6):1439-43.
  23. 이영미, 박혜순, 천병철, 김현수. 복부지방의 지표로서 부위별 허리둘레 측정값의 신뢰도. 대한비만학회지. 2002;11(2):123-30.
  24. Fujioka S, Matsuzawa Y, Tokunaga K, Tarui S. Contribution of intra-abdominal fat accumulation to the impairment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human obesity. Metabolism. 1987;36:54-9. https://doi.org/10.1016/0026-0495(87)90063-1
  25. 박혜순, 선우성, 오상우 등. 한국형 비만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대한비만학회지. 2003;12(4):280-93.
  26. 이민규, 이영호, 박세현, 손창호, 홍성국, 이병관. 한국판 식사태도검사-26(The Korean 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신뢰도 및 요인분석. 정신신체의학. 1998;6(2):155-74.
  27. 이주아, 공경환, 고호연, 배광호, 박선영, 박경무, 송윤경, 박정현, 김호준, 박선주, 박정수, 고성규. 비만과 대사증후군에 관한 임상시험의 최근 경향. 한방비만학회지. 2009;9(1):15-22.
  28. 楊維傑. 內經素問譯解. 서울:대성문화사. 1990:235-43, 356-61.
  29. 張仲景. 金匱要略方論. 서울:성보사. 1985:35.
  30. 박성수, 염태환. 현대한방강좌. 서울:행림의원. 1975:473.
  31. 楊維傑. 內經靈樞譯解. 서울:성보사. 1990:303-9.
  32. 허준. 동의보감. 서울:남산당. 1971:367, 420, 426, 557, 569.
  33. 이제마. 東醫壽世保元. 서울:대성문화사. 1993.
  34.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회. 사상의학. 서울:집문당. 1997:413, 436-8, 482-3, 553-5.
  35. 신민교. 원색임상본초학. 서울:남산당. 1986:232, 374, 392, 516.
  36. 이상인 외. 한약임상응용. 서울:성보사. 1982:53, 73, 130, 182, 431.
  37. Rotblatt, Ziment. 원장원, 안세영 편역. Evidence-based herbal medicine. 한우리. 2002:127-30.
  38. White LM, Gardner SF, Gurley BJ, et al. Pharmacokinetics and cardiovascular effects of Ma-huang(Ephedra Sinica) in normotensive adults. J Clin Pharmac. 1997;37:116-22. https://doi.org/10.1002/j.1552-4604.1997.tb04769.x
  39. Max HP, Edzard E. Dietary supplements for body-weight reduction: a systematic review. Am J Clin Nutr. 2004;79:529-36.
  40. http://www.fda.gov/oc/initiatives/ephedra/february2004/finalsummary.html.
  41. 김호준, 한창호, 이의주, 송윤경, 신병철, 김윤경. 비만치료 및 체중감량에서의 적절한 마황 사용에 대한 임상 진료지침 개발. 한방비만학회지. 2007;7(2):27-37.
  42. 송문구. 마황이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제 2형 당뇨병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대학원. 석사논문. 2009.
  43. 원찬욱. 고지방식이 수컷 마우스 비만모델을 이용한 麻黃, 魔芋의 비만조절효과. 동국대대학원. 석사논문. 2008.
  44. 주준성, 윤대환, 나창수, 조명래, 채우석. 풍륭, 음릉천에 대한 약침(창출, 의이인)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21(2):131-53.
  45. 이영종, 손영종, 임덕빈, 이은섭, 박중수, 김성기. 13과당 유도 고지혈증 흰쥐에 대한 의이인의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5;20(1):85-92.
  46. 김성옥. 지방세포 3T3-L1에 인삼 사포닌 Re와 의이인 추출액 처리시 비만관련 유전자인 TNF-${\alpha}$, lipoprotein lipase, leptin 및 resistin 발현 조절에 미치는 영향. 생명과학회지. 2007;17(11):1523-32.
  47. 박태용. 체감의이인탕의 항비만효과 연구. 원광대대학원. 박사논문. 2008.
  48. 김중화. 사상체질별 약물의 lipase 저해 활성을 통한 항비만 효능에 관한 실험 연구. 동의대대학원. 석사논문. 2005.
  49. 문세희, 신수환, 김희준, 김정연. 사상체질별 체성분분석과 이를 통한 비만과의 상관관계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8;8(1):267-76.
  50. 김달래, 백태현. 사상체질과 비만의 상관성에 관한 임상적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996;8(1):319-34.
  51. 김은영, 김종원. 사상체질과 비만에 관한 임상적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3):100-11.
  52. 임진희, 이임순, 고병희, 송일병, 이수경. 중년 비만여성의 사상체질별 특성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3):59-69.
  53. 류수민, 신승우, 김길수, 문진석, 윤유식. 사상 체질별 비만도 분석과 체지방 감량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방비만학회지. 2005;5(1):21-9.
  54. 김경요, 한종현, 홍순용. 태음인 남학생의 혈액변화에 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991;3(1):151-72.
  55. 김경준, 김달래. 체질별 혈청 지질성분의 분석에 관한 실험적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1993;5(1):139-44.
  56. 김기진, 안나영, 황문영. 성인의 허리둘레와 비만관련 특성의 관련성.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6;27:135-45.
  57. 심우진, 류수진, 신승우, 김길수. 비만치료에 유용한 단순비만지표의 선별. 한방비만학회지. 2006;6(1):69-80.
  58. 이영훈. 일부 지역사회의 정상 체질량지수 여성에서 허리둘레, 허리둘레/신장비와 대사성 위험요인과의 연관성.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009;13(1):12-23.
  59. Zhu S, Wang Z, Heshka S, Heo MS, Faith M, Heymsfiled S. Waist circumference and obesity-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whites i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linical action thresholds. Am J Clin Nutr. 2002;76:743-9.
  60. 김상만, 김성수, 윤수진, 심경원, 최희정, 김광민, 이득주. 복부 내장지방량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단순비만지표는? 대한비만학회지. 1998;7(2):157-68.
  61. 이형우. 대사증후군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2006;71(4):463-7.
  62. 고진호, 김기진. 성인여성의 체지방률, BMI 및 허리둘레로 구분한 비만유형간 신체구성의 비교.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007;15:1-7.
  63. Garner DM, Olmsted MP, Bohr Y, Garfinkel PE. The eating attitudes test: psychometric features and clinical correlates. Psychol Med. 1982;12(4):871-8. https://doi.org/10.1017/S0033291700049163
  64. http://ezdrug.kfda.go.kr/kfda2.
  65. 김효정, 김종열. 太陰調胃湯을 복용한 태음인 소음인 소양인의 반응에 대한 임상보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6):1600-5.
  66. 서동민, 이상훈, 이재동. 비만환자에 대한 조위승청탕의 효과 및 부작용에 관한 임상적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2005;22(3):145-53.
  67. James WP, Astrup A, Finer N, Hilsted J, Kopelman P, Rossner S, Saris WH, Van Gaal LF. Effect of sibutramine on weight maintenance after weight loss: a randomised trial. STROM Study Group. Sibutramine Trial Obesity Reduction and Maintenance. Lancet. 2000;356:2119-25. https://doi.org/10.1016/S0140-6736(00)034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