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ideration on Royal Guards of Early Chosun Dynasty

조선전기(朝鮮前期) 호위제도(護衛制度)에 관(關)한 고찰(考察)

  • 송상욱 (포항대학 경찰경호행정과) ;
  • 권정훈 (경산1대학 경호무도과)
  • Received : 2010.08.30
  • Accepted : 2010.11.12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consideration is to present fundamental data for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the historical approach of Korea Protection by re-examining Royal guarding system through the history in Early Chosun Dynasty. This paper initiated from this critical mind seeking to understand the changing phase of Korea Guarding system, and fundamentally to find the future-oriented ways for the Guarding system. The main materials of history in Early Chosun Dynasty were re-examined,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the main references are a code of laws and official as well as private documents such as Kukjo-Oreyeui. Guards system for Royal prince has been found in Byung-jeon of Kyungguk-daejon. he Guards organization has dual system, one was Gumgun which was a private military man and the other was Wuibyung which was a Central military man. On the contrary, central military man were normally protected the royale palaces, but when the King come and go they accompanied and protected the King in safety zone. But just in case they did a job as a member of capital protection military affairs. A question of finance was the reason why there had been dual protection system due to financial matter. If it increased number of man it would pay much money, therefore central military man who has no relevance to national finance were supplied as members of military affairs for the protection of king.

Keywords

References

  1. 고동영(1993). 한국상고무예사, 서울 : 한뿌리.
  2. 국사편찬위원회(1975). 조선조의 연구, 서울: 탐구당.
  3. 국방군사연구소(1994). 한국무기발달사, 국방부.
  4. 김광기(1998). 조선시대 무예사를 통한 경호제도의 고찰, 건국대 박사학위논문.
  5. 김두현(1995). "조선왕조 시대의 경호법원 및 제도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공안 행정학회.
  6. 김두현(1996). 경호학개론, 서울: 쟁기출판사.
  7. 김두현(1995). "우리나라 경호제도의 사적고찰을 통한 현행 경호행적조직의 발전방안 모색", 한국체육대학교 논문집
  8. 김재형(1999). 조선시대 황실호위군의 사적 고찰, 용인대 석사학위논문.
  9. 나영일(1999). 조선조의 무사체육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0. 법제처(1981). 국조오례의, 서울 : 신흥인쇄주식회사.
  11.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1977). 서울 육백년사, 제1권, 서울: 삼화인쇄주식회사.
  12. 송영성(1997). 고려초기 시위군에 대한 소고,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13. 송인주(1997). 고려시대 금군 연구, 경북대 박사학위논문.
  14. 신철호(1981). 한국무술의 기원, 서울 : 한국무술연구원.
  15. 육군사관학교 한국군사연구원(1978). 한국군제사 : 근세조선후기편, 육군본부.
  16. 이민형 외(2008). 한국경호사강의, 서울 : 진영출판사.
  17. 이상철 외(2005). "견룡군과 금군에 관한 사적 고찰", 용인대학교논문집
  18. 이상철(2005). 경호현장운용론, 서울 : 진영출판사.
  19. 이충수(1997). 조선왕조시대 시위제도의 사적고찰,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 이충수(2005). 조선시대 시위제도 변천에 관한 연구,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21. 임동규(1991). 무예사연구, 서울 : 학민사.
  22. 장철원(2003). 한국 경호제도 변천사 연구, 우석대 박사학위논문.
  23. 전철기(1999). 여말선초의 사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정신문화연구원(1995), 경국대전 역주본1, 서울 : 정신문화연구원출판부.
  25. 차문섭(1995), 조선시대 군제연구, 서울 : 단국대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