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환자와 비교통사고 환자의 심박수 변이도와 통증 지수 차이 연구

The Study of Differences between Traffic Accident and Non-traffic Accident Patients in the Early Stage - by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HRV)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

  • 이정민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홍서영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Lee, Jung-Min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Hong, Seo-Young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투고 : 2010.03.16
  • 심사 : 2010.04.10
  • 발행 : 2010.04.30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traffic accident and non-traffic accident patients in the early stage, by analysis of the heart rate variability(HRV)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Methods : This study carried out on 38 patients who complained of nuchal or lower back pain. They have received hospital treatment in Dae-Jeon Univ. Cheonan Oriental Hospital. In the TA(Traffic accident) group, the pain caused by TA and in non-TA group, the pain caused by other reasons. We measured HRV and VAS twice(pre-treatment(Tx.) and post-Tx.). Then we analyzed the data. Results : As time goes by, patients who complained of pain showed the inclination to improve ability to balance autonomic nerve system. And fatigue and pain were improved. But they showed the inclination to increase stress index. At pre-Tx., TA group had more stress and worse ability to balance autonomic nerve system, but showed lower fatigue index than non-TA group. But, as time goes by, in TA group the fatigue and autonomic balance got worse. At pre-Tx., non-TA group complained of more severe pain than TA group, but at post-Tx., TA group complained of more severe pain than non-TA group. In other words, in TA group, the decreasing rate of pain was lower than non-TA group. Conclusions : Results from this investigation showed that TA have a negative effect on stress index, ability to balance autonomic nerve system, fatigue index and decreasing rate of pai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sider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complained of pain caused by TA.

키워드

참고문헌

  1. 두산백과사전. 교통사고. 2009. Availablefrom: URL:http://101.encyber.com/search_w/ctdeta il.php?gs=ws&gd=&cd=&d=&k=&inqr=&ind me=&p=1&q=%B1%B3%C5%EB%BB%E7%B0 %ED&masterno=20033&contentno=20033.
  2. 이선미, 김정희. 버스사고 피해자의 심리적 특성 및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발병 관련 변인.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02;21(3):547-63.
  3. 장세진, 고상백, 최홍열, 우종민, 차봉석, 박종구, 천용희, 정호근. 직무스트레스, 심박동수 변이 및 대사증후군. 대한산업의학회지. 2004;16(1) :71-81.
  4. 도로교통 공단. 월별 주야별 교통사고. 2009. Availablefrom:URL:http://www.rota.or.kr/taas/report.jsp.
  5. 국회법률지식정보시스템.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2009. Availablefrom:URL:http://likms. assembly.go.kr/law/jsp/Law. jsp?WORK_TYPE=LAW_BON&LAW_ID=A1510&PROM_NO=09738&P ROM_DT=20090527&HanChk=Y#.
  6. 신용승, 박종배, 김종훈, 최정림, 김덕호. 교통사고 후유증관리에 대한 한의학적 임상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19(6):1-11.
  7. 이은지, 오민석, 송태원, 이철완. 교통사고 후유증의 한방요법.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7;7(1):218-27.
  8.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한방신경정신의학. 제1판. 파주:집문당. 2005:123.
  9. 우종민. 심박동수 변이 측정법의 개념과 임상적 활용. 정신신체의학. 2004;12(1):3-14.
  10. Gorman JM, Sloan RP. Heart rate variability in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 Am Heart J. 2000;140(Suppl4):77-83. https://doi.org/10.1067/mhj.2000.109981
  11. 우종민. 스트레스와 심박동수 변이. 가정의학회지. 2004;25(11):539.
  12. 서해경. 交通事故로 因해 慢性痛症을 호소하는 患者40例의 臨床硏究. 한약응용학회지. 2001;1(1):135-48.
  13. 김민정, 김경호, 이수홍. 교통사고 환자 47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1;1(1):135-48.
  14. 송영상, 김경남, 김융기, 임형호. 교통사고로 인한 경항통 환자에 대한 임상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1;11(4):79-90.
  15. 이선미, 김동인. 교통사고 후 신체 손상 환자의 만성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신경정신의학. 2000;39(5):797-808.
  16. 이재영, 기백석, 조순동, 서동수. 교통사고로 인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증상 정도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 정신신체의학. 2003;11(1):36-43.
  17. 손대용, 김민수, 조성우, 고경훈, 남정훈, 안희덕, 이인선. 한방병원에 내원한 교통사고 환자의 스트레스와 통증 및 유병기간과의 관계.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15(3):45-53.
  18. 남동현, 박영배. 연령별 맥박변이도 표준화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1;5(2):311-49.
  19. 박영재, 박영배. 통계기법을 활용한 변증정량화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1;5(2):306-30.
  20. 김한수, 박칠근. 교통사고 환자의 스트레스와 적응간의 관계 연구. 대구보건대학 논문집. 2000;20:278-80.
  21. Ehlers A, Mayou R, Bryant B. Psychological predictors of chronic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motor vehicle acciden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998:107, 508-19. https://doi.org/10.1037/0021-843X.107.3.508
  22. Laederach-Hofmann K, Mussgay L, Ruddel H. Autonomic cardiac autonomic modulation during adolescent obesity. Obes Res. 2003;11(4):541-8. https://doi.org/10.1038/oby.2003.76
  23. 허수영. 요통환자의 동통평가에 대한 고찰. 동서의학. 1999;24(3):17-29.
  24. 박재황. 교통사고의 충격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혈중내 코티졸, 글루코오스, 싸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회지. 1998;9(4):611-2.
  25. 장개빈. 경악전서. 서울:도서출판 한미의학. 2006:434.
  26. 허준. 동의보감. 하동:동의보감출판사. 2005:1662-75.
  27. 이천. 의학입문. 서울:법인문화사. 2009:2033-7, 2149-50.
  28. 김완희. 한의학원론. 서울:성보사. 1995:129.
  29.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제2판. 서울:성보사. 1989: 443-4.
  30. 한국한의학연구원. 스트레스의 한의요법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한의학연구원. 1997:79-80.
  31. 김여진, 박동석, 이윤호. 우울증의 침구치료에 관한 중의문헌의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5; 22(1):223-34.
  32. 이용제, 김문성, 김범택, 곽태환, 심재용, 이혜리. 대사증후군과 심박동수 변이와의 관계. 가정의학회지. 2002;23(12):1432-3.
  33. Kageyama T, Nishikido N, Kobayashi T, Kurokawa Y, Kaneko T, Kabuto M. Long commutingtime, extensiveovertime, and sympathodominant state assessed in terms of short-term heart rate variability among lame white collarworkersin the Tokyo megalopolis. Industrial Health. 1998;36:209-17. https://doi.org/10.2486/indhealth.36.209
  34. 설재욱, 김세진, 정일문, 김수연, 김경옥, 장하정, 최진봉. 교통사고 환자의 다면적 인성검사 결과 -교통사고 유형,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유무 및 성별에 따라.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6;16(3):137-48.
  35. 송혜란, 김진하, 이용환. 근막통 증후군을 지닌 조선업근로자들에서 스트레스생활사 정도에 따른 통증의 비교. 고신대학교 의과대학학술지. 2006;21(1):236-40.
  36. 권경남. 심혈관조영술 환자의 스트레스와 통증과의 관계. 한국산업응용학회논문집. 2004;7(4):319-23.
  37. Haber JD, Moss R, Kuczmierczyk A, Garrett JC. Assessmentand treatment of stressin myofascial pain-dysfunction syndrome: a modelforanalysis. J Oral Rehab. 1983;10:187-96. https://doi.org/10.1111/j.1365-2842.1983.tb00112.x
  38. Ahles TA, Yunus MB, Riley SD.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primary fibromyalgia syndrome. Arthritis Rheum. 1984;27:1101-6. https://doi.org/10.1002/art.1780271004
  39. 이영호, 이윤우, 고대관, 한기석, 정영조, 박영수, 정성관, 김재윤. 섬유근통 증후군의 정신의학적 특징에 대한 연구 -우울장애 대 신체형장애. 신경정신의학. 1996;35(5):849-61.
  40. 김향구, 진중선, 진세일, 박상일, 김민영. 요통 및 경통환자들의 MMPI특성. 대한재활의학회지. 1995;19(3):57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