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두산백과사전. 교통사고. 2009. Availablefrom: URL:http://101.encyber.com/search_w/ctdeta il.php?gs=ws&gd=&cd=&d=&k=&inqr=&ind me=&p=1&q=%B1%B3%C5%EB%BB%E7%B0 %ED&masterno=20033&contentno=20033.
- 이선미, 김정희. 버스사고 피해자의 심리적 특성 및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발병 관련 변인.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02;21(3):547-63.
- 장세진, 고상백, 최홍열, 우종민, 차봉석, 박종구, 천용희, 정호근. 직무스트레스, 심박동수 변이 및 대사증후군. 대한산업의학회지. 2004;16(1) :71-81.
- 도로교통 공단. 월별 주야별 교통사고. 2009. Availablefrom:URL:http://www.rota.or.kr/taas/report.jsp.
- 국회법률지식정보시스템.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2009. Availablefrom:URL:http://likms. assembly.go.kr/law/jsp/Law. jsp?WORK_TYPE=LAW_BON&LAW_ID=A1510&PROM_NO=09738&P ROM_DT=20090527&HanChk=Y#.
- 신용승, 박종배, 김종훈, 최정림, 김덕호. 교통사고 후유증관리에 대한 한의학적 임상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19(6):1-11.
- 이은지, 오민석, 송태원, 이철완. 교통사고 후유증의 한방요법.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7;7(1):218-27.
-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한방신경정신의학. 제1판. 파주:집문당. 2005:123.
- 우종민. 심박동수 변이 측정법의 개념과 임상적 활용. 정신신체의학. 2004;12(1):3-14.
- Gorman JM, Sloan RP. Heart rate variability in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 Am Heart J. 2000;140(Suppl4):77-83. https://doi.org/10.1067/mhj.2000.109981
- 우종민. 스트레스와 심박동수 변이. 가정의학회지. 2004;25(11):539.
- 서해경. 交通事故로 因해 慢性痛症을 호소하는 患者40例의 臨床硏究. 한약응용학회지. 2001;1(1):135-48.
- 김민정, 김경호, 이수홍. 교통사고 환자 47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1;1(1):135-48.
- 송영상, 김경남, 김융기, 임형호. 교통사고로 인한 경항통 환자에 대한 임상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1;11(4):79-90.
- 이선미, 김동인. 교통사고 후 신체 손상 환자의 만성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신경정신의학. 2000;39(5):797-808.
- 이재영, 기백석, 조순동, 서동수. 교통사고로 인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증상 정도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 정신신체의학. 2003;11(1):36-43.
- 손대용, 김민수, 조성우, 고경훈, 남정훈, 안희덕, 이인선. 한방병원에 내원한 교통사고 환자의 스트레스와 통증 및 유병기간과의 관계.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15(3):45-53.
- 남동현, 박영배. 연령별 맥박변이도 표준화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1;5(2):311-49.
- 박영재, 박영배. 통계기법을 활용한 변증정량화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1;5(2):306-30.
- 김한수, 박칠근. 교통사고 환자의 스트레스와 적응간의 관계 연구. 대구보건대학 논문집. 2000;20:278-80.
- Ehlers A, Mayou R, Bryant B. Psychological predictors of chronic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motor vehicle acciden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998:107, 508-19. https://doi.org/10.1037/0021-843X.107.3.508
- Laederach-Hofmann K, Mussgay L, Ruddel H. Autonomic cardiac autonomic modulation during adolescent obesity. Obes Res. 2003;11(4):541-8. https://doi.org/10.1038/oby.2003.76
- 허수영. 요통환자의 동통평가에 대한 고찰. 동서의학. 1999;24(3):17-29.
- 박재황. 교통사고의 충격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혈중내 코티졸, 글루코오스, 싸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회지. 1998;9(4):611-2.
- 장개빈. 경악전서. 서울:도서출판 한미의학. 2006:434.
- 허준. 동의보감. 하동:동의보감출판사. 2005:1662-75.
- 이천. 의학입문. 서울:법인문화사. 2009:2033-7, 2149-50.
- 김완희. 한의학원론. 서울:성보사. 1995:129.
-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제2판. 서울:성보사. 1989: 443-4.
- 한국한의학연구원. 스트레스의 한의요법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한의학연구원. 1997:79-80.
- 김여진, 박동석, 이윤호. 우울증의 침구치료에 관한 중의문헌의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5; 22(1):223-34.
- 이용제, 김문성, 김범택, 곽태환, 심재용, 이혜리. 대사증후군과 심박동수 변이와의 관계. 가정의학회지. 2002;23(12):1432-3.
- Kageyama T, Nishikido N, Kobayashi T, Kurokawa Y, Kaneko T, Kabuto M. Long commutingtime, extensiveovertime, and sympathodominant state assessed in terms of short-term heart rate variability among lame white collarworkersin the Tokyo megalopolis. Industrial Health. 1998;36:209-17. https://doi.org/10.2486/indhealth.36.209
- 설재욱, 김세진, 정일문, 김수연, 김경옥, 장하정, 최진봉. 교통사고 환자의 다면적 인성검사 결과 -교통사고 유형,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유무 및 성별에 따라.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6;16(3):137-48.
- 송혜란, 김진하, 이용환. 근막통 증후군을 지닌 조선업근로자들에서 스트레스생활사 정도에 따른 통증의 비교. 고신대학교 의과대학학술지. 2006;21(1):236-40.
- 권경남. 심혈관조영술 환자의 스트레스와 통증과의 관계. 한국산업응용학회논문집. 2004;7(4):319-23.
- Haber JD, Moss R, Kuczmierczyk A, Garrett JC. Assessmentand treatment of stressin myofascial pain-dysfunction syndrome: a modelforanalysis. J Oral Rehab. 1983;10:187-96. https://doi.org/10.1111/j.1365-2842.1983.tb00112.x
- Ahles TA, Yunus MB, Riley SD.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primary fibromyalgia syndrome. Arthritis Rheum. 1984;27:1101-6. https://doi.org/10.1002/art.1780271004
- 이영호, 이윤우, 고대관, 한기석, 정영조, 박영수, 정성관, 김재윤. 섬유근통 증후군의 정신의학적 특징에 대한 연구 -우울장애 대 신체형장애. 신경정신의학. 1996;35(5):849-61.
- 김향구, 진중선, 진세일, 박상일, 김민영. 요통 및 경통환자들의 MMPI특성. 대한재활의학회지. 1995;19(3):57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