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Long-Term Seepage Behaviour of Fill Dam by the Monitoring Data Analysis

계측자료 분석에 의한 필댐의 장기 침투거동 연구

  • 정규정 (한국시설안전공단 상하수도팀) ;
  • 이송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05.04
  • Accepted : 2010.08.17
  • Published : 2010.09.01

Abstract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ffer informations about long-term seepag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o find a leakage safety management method for Juam Dam and Imha Dam, a central cored rockfill dams in Korea by the evaluating the automatically monitored leakage data. In the water leakage monitoring of fill dam, the generation of abnormal water leakage is difficult to directly detect due to the effect of outside factors such as the component of rainfall inherent in the observation value. Therefore, conventionally estimation methods of water leakage quantity were appli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reservoir water level, rainfall, etc.. However, the estimated error of rainfall component is relatively big in these method. This paper identifies the seepage characteristic of each dams which is not directly affected by rainfall through the hydrograph separation analysis and 3 dimensional analytical method, and thinks a leakage management method. It was noticed that two dams had site specific seepage behaviour features and were in stable state with the decreasing leakage quantity. It was also found that hydrograph separation method might be applicable to leakage safety management method.

본 연구는 중앙심벽형 필댐인 주암댐과 임하댐을 대상으로 자동계측에 의해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침투수량 계측자료에 대하여 분석을 통하여 필댐 고유의 특성에 따른 장기 침투특성과 댐의 안전관리 방법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필댐의 침투수량 계측값에는 내재 하는 강우 성분 등의 외부 요인의 영향으로 직접적으로 이상 누수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종래 저수위와 강우량을 고려하는 중회귀분석 등에 의해 누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이 적용되어 왔으나, 강우 성분의 추정 오차가 상대적으로 크고 정밀도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강우 성분의 분리해석을 통해 직접적으로 강우 성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저수지 수위에 연동하는 댐별 침투거동을 평가함과 아울러 분석대상 댐의 지형적,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반영한 3차원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계측 침투수량 자료와 비교하였다. 2개 대상댐의 침투거동은 각각의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침투수량의 감소를 보여주고 있어 안정적인 상태로 나타났다. 또한, 수문곡선분리법은 침투수 안전관리 방법으로 적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부(1994), 댐 시설 유지관리 기준, pp. 70-99
  2. 박영목, 우문정, 이영휘(2004), 흙댐의 장기침투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 24, No. 2C, pp. 97-104.
  3. 박한규, 장봉석(2005), 국내 대댐의 현황, 대한토목학회지, Vol. 53, No. 10, pp. 206-218.
  4. 이규탁, 임희대(2007), 중앙심벽형 필댐의 침투량 및 침하량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 27, No. 6C, pp. 383-392.
  5. 이진용, 이명재, 이재명, 안경환, 원종호, 문상호, 조민조 (2006), 국가 지하수 관측소 지하수위, 전기전도도 및 수온 자료에 대한 모수적 및 비모수적 변동 경향성 분석, 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Vol. 11, No. 2, pp. 56-67.
  6. 한국수자원공사(2004), 댐 계측기기 설치운영관리지침, pp. 1-10.
  7. 坂本忠彦(1998), ロックフイルダムの力學挙動と安全性評価に関する 硏究, 博士學位論文, 京都大學校, pp. 134-214.
  8. Amano Takuzo, Kikkawa Kazunari and Kadowaki Yuji(2005), New Water Leakage Quantity Management Method of Fill Dam by Component Separation Analysis, Electric Power Civil Engineering, Vol. 10, No. 319, pp. 38-41.
  9. Box, G.E.P. and Jenkins, G.M.(1976), Time Series Analysis Forecasting and Control, Holden-Day, San Francisco, CA, pp. 560-575.
  10. Foster, M.A., Fell, R. and Spangle, M.(1998), Analysis of Embankment Dam Incidents,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Australia, UNICIV Report No.R-374, pp. 3-40.
  11. Linsley, R.K., Jr., Kohler, M.A., and Paulhus, J.L.H. (1982), Hydrology for Engineers (3d ed.), McGraw-Hill, New York, pp. 500-508.
  12. Sloto, R.A., Crouse, M.Y.(1996), HYSEP: A Computer Program for Streamflow Hydrograph Separation and Analysis, U.S. Geological Surve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96-4040, pp. 3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