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C 방법적용을 위한 논 대표 유출률 산정

Estimation of Representative Runoff Ratio from Paddy Field for the Application of EMC Method

  • 최동호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정재운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윤광식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진소현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최우영 (한국수자원공사) ;
  • 최우정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김상돈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임병진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최유진 (국립환경과학원 수질총량관리센터)
  • Choi, Dongho (Departmen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Jung, Jaewoon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
  • Yoon, Kwangsik (Departmen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Jin, Sohyun (Departmen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Wooyoung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Choi, Woojung (Departmen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do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Laboratory) ;
  • Yim, Byungji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Laboratory) ;
  • Choi, Yuji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 투고 : 2010.07.20
  • 심사 : 2010.10.06
  • 발행 : 2010.11.30

초록

Runoff ratio of paddy fields for the application of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method was studied. To measure actual runoff ratio of paddy fields, a field monitoring was conducted for 2008 ~ 2009 period. Long-term rainfall data of four cities in major river basins were analyzed and weighting factors were developed to consider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rainfall distribution of Korean peninsula. The observed runoff ratio ranged 0.00 ~ 1.20 and arithmetic mean were 0.25, respectively. However, the representative runoff ratio for paddy fields was determined as 0.41 according to the method suggested b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2001). 비점오염원 관리방안.
  2. 국립환경과학원 (2009). 강우유출수 조사방법.
  3. 김성수, 김종석, 방기연, 권은미, 정욱진(2002). 경안천 유역의 강우사상별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및 원단위 조사. 대한환경공학회지, 24(11), pp.2,019-2,027.
  4. 김이형, 이선하(2005). 주차장 및 교량지역의 강우유출수내 비점오염물질의 특성 비교 및 동적 EMCs.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1(3), pp. 248-255.
  5. 농림부(2007).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통계연보.
  6. 서지연, 신민환, 원철희, 최용훈, 정명숙, 임경재, 최중대(2010). 가행광산 지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6(3), pp. 474-481.
  7. 신민환, 신용철, 허성구, 임경재, 최중대(2007). 농업 및 산림유역의 강우유출수 유량가중평균농도 분석. 한국농공학회 논문집, 49(6), pp. 3-9.
  8. 윤광식, 한국헌, 조재영, 최창현, 손재권, 최진규(2002). 양수장 지구 광역논으로부터 영농기간 영양물질의 유출 및 물질수지. 농촌계획, 8(1), pp. 3-14.
  9. 윤용남(2007). 수문학, 청문각.
  10. 윤춘경, 황하선, 전지홍, 함종화(2003). 수도재배시 논에서의 영양물질 수지 분것. 한국육수학회지, 36( 1). pp. 66-73.
  11. 이병수, 정용준, 박무종, 길경익(2008). 경안천 유역 농촌지역의 비점오염원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4(2). pp. 169-173.
  12. 이소영, 이은주, 김철민, 손현근, Marla C. M., 김이형(2007). 누적강우량을 고려한 포장지역 비점오염물질 유출량 평가. 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pp. C-148-153.
  13. 이소영, Marla C. Maniquiz, 최지연, 김이형(2009). 교통관련 토지이용에서의 강우계급별 EMC 산정. 한국습지학회지, 11(2). pp. 67-76.
  14. 이은주, 고석오, 강희만, 이주광, 이병식, 임경호, 김이형(2006). 포장지역에서의 강우사상별 EMC 산정 및 단순샘플농도와의 비교.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2(1), pp. 104-109.
  15. 전지홍, 윤춘경, 황하선, 윤광식(2003). 논에서의 오염부하 예측을 위한 범용모형 개발. 한국육수학회지, 36(3), pp. 344-355.
  16. 조재영, 한강완, 최진규, 손재권(2000). 논에서 강우에 의한 질소와 인산의 유출특성. 한국농화학회지, 43(4), pp. 285-290.
  17. 최용훈, 원철희, 서지연, 신민환, 양희정, 임경재, 최중대(2009). 평지밭과 고랭지밭의 비점오염에 대한 분석과 비교.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5(5). pp. 682-688.
  18. 한국헌, 김진호, 이종식, 이정택, 조정영, 윤광식(2005). 강우시 채수빈도가 논 오염부하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24(1), pp. 17-23.
  19. Cerdan, O., Le Bissonnais, Y., Govers. G., Leconte, V., van Oost, K., Couturier, A., King, C., and Dubreuil, N. (2004). Scale effects on runoff from experimental plots to catchments in agricultural areas in Normandy. J. Hydrol., 299, pp. 4-14. https://doi.org/10.1016/j.jhydrol.2004.02.017
  20. Merz, R., Bloshp, G., and Parajka, J. (2006). Spatio - temporal variability of event runoff coefficients. Journal of Hydrology, 331, pp. 591-604. https://doi.org/10.1016/j.jhydrol.2006.06.008
  21. Schwab, G. O., Feeveet, R. K., Barnes. K. K., and Edminster, T. W. (1971). Elementary soil and water engineering. Soil Science, 84(5), pp.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