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n Reducing the Shadow Region for Extending the Service Area of TBN-Jeonju Broadcasting

전주교통방송 가청권 확대를 위한 음영 지역 해소 방안

  • Kim, Tae-Hoon (Division of Electronics & Information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Moon-Ho (Division of Electronics & Information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Mi-Sung (Division of Electronics & Information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Kye-Mun (Division of Electronics & Information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태훈 (전북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
  • 이문호 (전북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
  • 이미성 (전북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
  • 조계문 (전북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shadow area of radio programs which are currently being broadcast via FM 102.5 MHz in Jeollabuk-do consisting of 6 cities and 8-guns. The field strength data of FM 102.5 MHz was used with criterion of shadow area. As a result, the field strength of the eastern mountainous area in Jeollabuk-do was very low. We also measured, compared and analyzed the field strength of 102.5 MHz(TBN-Jeonju), 100.7 MHz(KBS) and 99.1 MHz (MBC) in Jeollabuk-do. Based on the field strength data, we tried to find what correlation exists and how much influence is between difference of antenna output power and solution of shadow area. In result, enhancement of antenna output power is not solution in terms of reducing the shadow Area of 102.5 MHz(TBN-Jeonju). In addition, we measured, compared and analyzed the field strength of 102.5 MHz(TBN-Jeonju) and 106.9 MHz(EBS). In fact, the relay stations with 104.1 MHz, 104.9 MHz, 105.3 MHz and 107.5 MHz of EBS FM has a number of FM relay stations in the eastern mountainous area of Jeollabuk-do.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EBS almost did not have shadow area in the eastern mountainous area of Jeollabuk-do based on the field strength data. As in the case of EBS and KBS, we suggest installing TBN-Jeonju FM relay station with the best solution to reducing the shadow area to extend the audible range of TBN-Jeonju.

본 논문은 전북권내 6개 시, 8개 군에 대하여 전주교통방송 FM 102.5 MHz의 전계 강도 실측 데이터를 통해 현재 송출되는 프로그램들의 방송 수신에 관한 음영 지역들을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전북권내 동부 산악 지역(남원, 순창, 무주, 진안, 장수)의 전계 강도 측정치가 매우 낮았다. 아울러 102.5 MHz(전주교통방송)과 100.7 MHz(전주 KBS) 및 99.1 MHz(전주 MBC), 라디오 채널 3사 간의 전계 강도를 측정 및 비교, 분석한 자료를 통해 방송국 송신 공중선 출력의 차이가 음영 지역 해소에 있어서 어떤 상관 관계가 있고, 어느 정도의 영향력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그 결과, 전주교통방송의 공중선 출력 증강의 안은 동부 산악 지역의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없었다. 또한, 본 논문은 전주교통방송과 전북권내 동부 산악 지역 및 고창군에 다수의 FM 중계소를 확보하고 있는 EBS 106.9 MHz(중계 주파수는 이와 다름)와의 전계 강도 데이터를 측정 및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했다. 그 결과, 다수의 중계소를 확보하고 있는 EBS의 경우, 동부 산악 지역에서 음영 지역 발생이 거의 없음을 전계 강도 측정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EBS와 KBS의 사례에서 확인했듯이 전주교통방송의 가청권(기준 48 $dB{\mu}V/m$) 확대를 위한 동부 산악 지역의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최적의 방법으로써 전주교통방송 FM 팔공산 중계소 설치를 제안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일로, 방송기술의 이해, 도서출판 우신, 2002 년.
  2. 전라북도, 제49회 주민등록인구통계, 2009년.
  3. 전라북도, 제47회 전북통계연보, 2008년.
  4. 관광통계 데이터베이스, http://www.tour.go.kr
  5. 건설교통통계연보, 건설교통부, 2002년.
  6. 건설교통통계연보, 건설교통부, 2007년.
  7. 방송통신위원회 고시 제2008-17호, 방송 구역전계 강도 기준, 작성요령 및 표시 방법, 2008년 5 월.
  8. 장현준, 전주교통방송 FM 102.5 MHz 전계 강도 및 service area에 관한 분석,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년.
  9. 하이게인 안테나(주), http://www.highgain.co.kr
  10. 전파기술용어사전, 한국전파진흥협회, 2001년.
  11. 정만영, 노홍조, 실용 무선공학, 문운당, 1966년.
  12. 민병기, 권홍재, 임필선, 방송기술, 한국전기통신산업연구소, 1975년.
  13. 이문호, 제주지역 중파방송의 전계 강도 분석, 전북대학교, 197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