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MORPG 이용자 충성도에 대한 영향요인간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Factors Impacting on e-Loyalty to MMORPG

  • 김정호 ((주)팩커드코리아) ;
  • 김유정 (호서대학교 디지털비즈니스학부) ;
  • 강소라 (호서대학교 디지털비즈니스학부)
  • 투고 : 2010.10.07
  • 심사 : 2010.12.09
  • 발행 : 2010.12.28

초록

MMORPG은 국내 게임시장의 25.9%를 차지하는 게임 장르로 최근에 다양한 게임이 출시되어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 산업이다. 이에 따라 게임업체에서는 충성도 높은 게임이용자 확보를 위해 다각도로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MMORPG 게임 장르의 특성과 부합되는 MMORPG에 대한 이용자 충성도의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이러한 결정요인 간 구조적 관계가 이용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 게임 및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상호작용성, 공동체의식, 보상, 재미를 이용자 충성도의 결정요인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들 연구변수 간 구조적 관계를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상호작용성, 공동체의식 및 보상이 재미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재미는 이용자 충성도와 매우 강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성과 보상은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주었으며,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재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MORPG makes up 25.9% of domestic market share in game industry, and it has become increasingly fierce in competition. Game developer and publisher make every effort to build customer e-loyalty to sustain their competitiveness. Thus,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e-loyalty that reflect the features of MMORPG such as intensive and real-time interactivity.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interactivity, sense of community, reward and fun as the key antecedents of e-loyalty based on the extensive review of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online game and Internet service usage. A total of 202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The findings show that interactivity, sense of community and reward influence significantly on fun, then fun is positively related to e-loyalty. Also, interactivity and reward are prove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ense of community, and sense of community mediates the effect of interactivity and reward on fun.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게임산업진흥원, 2008 대한민국 게임백서 上, pp.165-175, 2008.
  2. MBC, from MBC Newsdesk, 2007.
  3. Gamechart, available at www.gamechart.co.kr, 2007. 4. 11.
  4. B. Woodcock, "Building Massively Multiplayer Games on a Budget," (Panelist), Austin Game Conference, 2004(9).
  5. N. Yee, "The Psychology of MMORPGs: Emotional investment, motivations, relationship formation, and problematic usage." In R. Schroeder & A. Axelsson (Eds.), Avatars at work and play: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in shared virtual environment. London: Springer-Verlag. 2006.
  6. S. D. Freitas and M. Griffiths, “Online gaming as an educational tool in learning and train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28, No.3, pp.535-537, 2007.
  7. N. Ducheneaut, N. Yee, E. Nickell, and R. J. Moore, "Alone together? exploring the social dynamics of massively multiplayer games," In conference proceeding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CHI, pp.407-416, 2006.
  8. 김양은, 박상호, “온라인게임 이용이 게임 몰입 및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과 충족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1호, pp.355-377, 2007.
  9. 나은영, 송종현, “어린이의 인터넷, 컴퓨터게임 몰입에 미치는 자기통제성의 매개 역할과 어머니의 개방적 커뮤니케이션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2호, pp.223-251, 2006.
  10. 김성벽, “웹미디어의 중독적 이용 경험과 개인의 자아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28권, pp.7-41, 2005.
  11. 송수현, “MMORPG [아이온] 플레이어 유형과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의 관계분석 : 리차드 바틀의 플레이어유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09.
  12. 김영용,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pp.89-110, 2007.
  13. 남궁명선, “온라인 게임 세계 속의 공동체 의식과 인간관계의 심리 - 온라이 공동체 경험이 있는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p.9, 2002.
  14. 맹소희, "MMORPG 리니지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리니지 커뮤니티(Lineage Community)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15. 라도삼, “가상공간의 전경과 삶의 단편들 : ‘리니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추계학술발표회논문, 한국언론학회, p.10, 1999.
  16. H. Rheingold, The virtual Community: Homesteading on the Electronic Frontier, Reading, MA: Addison-Weasley, 1993.
  17. 박유진, 김재휘, "사이버커뮤니티의 몰입과 정체성이 친커뮤니티행동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19권, pp.42-77, 2006.
  18. B. E. Ashforth and F. Mael, "Social identity theory and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4, pp.20-39, 1989. https://doi.org/10.2307/258189
  19. 김홍천, "온라인게임 이용자의 중독적 이용에 관한 연구 : 온라인게임 '리니지' 이용자의 이용유형에 따른 충족욕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20. M. Lombard, J. Snyder-Duch, and C. C. Bracken, "Content Analysis in Mass Communication Assessment and Reporting of Intercoder Reliability,"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28, No.4, pp.587-604, 2002. https://doi.org/10.1111/j.1468-2958.2002.tb00826.x
  21. J. Steuer, "Defining Virtual Reality :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in F. Biocca and M. Levy(eds.), Communication in the Age of Virtual Reality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5.
  22. 이주호, “게임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효율성 연구 - 롤플레잉 게임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23. 전경란, “상호작용 텍스트의 구체화 과정 연구:다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MMORPG)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5호, pp.188-213, 2004.
  24. 백기복, 조직행동연구, 창민사, 2007.
  25. J. Baron, "Glory and Shame: Powerful Psychology in Multiplyer Online Games," Proceedings of the Computer Game Develop's Conference(GDC), Gamasutra, 1999.
  26. Dongseung, Choi and Jinwoo Kim, Why People Continue to Play Online Games: In Search of Critical Design Factors to Increase Customer Loyalty to Online Contents, Cyber Psychology & Behavior, Vol.7, No.1, pp.11-24, 2004. https://doi.org/10.1089/109493104322820066
  27. 최동성, 김호영, 김진우, "인간의 인지 및 감성을 고려한 게임 디자인 전략", 경영정보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65-187, 2000.
  28. 유승호, 정의준, "게임이용이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구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청소년연구 통권 제34호, pp.35-64, 2001.
  29. 홍마리아, “개인의 자발적 행위 관점에서 본 컴퓨터 게임의 재미요소 분석”,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30. M. Csikszentmihalyi. Creativity, Harper perennial, 1997.
  31. 조남재, 류경문, 김석규, "온라인게임 몰입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453-456, 2001.
  32. 엄명용, 이우헌, 오준환, "청소년들의 온라인 게임 몰입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개인적 재미와 사회적 재미를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제13권, 제1호, pp.165-179, 2006.
  33. 황상민, 허미연, 김지연, "온라인 게임에서의 재미경험의 심리적 분석," 정보와 사회, 제8권, pp.39-50, 2005.
  34. B. Laurel, Computer as theatre. New York: Addison-Wesley, 1993.
  35. M. M. Long and L. G. Shiffman, “Consumption Values and Relation-ships: Segmenting the Market for Frequency Program,”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 17, No.3, pp.214-232, 2000. https://doi.org/10.1108/07363760010329201
  36. D. L. Hoffman and T. P. Novak,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 Mediated Environments," Journal of Marketing. Vol.60, pp.50-68, 1996. https://doi.org/10.2307/1251841
  37. D. Cyr, M. Head, and A. Ivanov, "Design aesthetics leading to m- loyalty in mobile commerce,"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43, No.8, pp.950-963, 2006. https://doi.org/10.1016/j.im.2006.08.009
  38. D. Cyr, M., Head, and A. Ivanov, "Perceived interactivity leading to e-loyalty: Development of a model for cognitive–affective user responses," Int. J. Human-Computer Studies, Vol.67, pp.850–869, 2009.
  39. 문영주, 이종호, "온라인 커뮤니티 명성,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성, 즐거움이 성과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뢰와 몰입을 매개로", e-비즈니스 연구, 제9권, 제1호, pp.75-99, 2008.
  40. T. J. Glynn,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Measurement and application," Human Relations, Vol.34, pp.789-818, 1981. https://doi.org/10.1177/001872678103400904
  41. 김성호, "동일시의 선행변수와 후행변수에 관한 연구: 온라인 게임을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제8권, 제2호, pp.185-206, 2007.
  42. 유철우, 최영찬, "인터넷 쇼핑몰에서 충성도와 동일시, 지각된 즐거움, 신뢰, 상호작용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0권, 제3호, pp.3-24, 2009.
  43. 박승배, 유병우,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이 온라인 게임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 연구, Vol.7 No.5, pp.83-107, 2006.
  44. 이상철, 문재영, 정종덕, 서영호, "온라인게임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중독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1, pp.1479-1501, 2005.
  45. C. Flavian, M. Guinaliu, and R. Gurrea, "The role played by perceived usability, satisfaction and consumer trust on website loyalty,"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43, No.1, pp.1-14, 2006. https://doi.org/10.1016/j.im.2005.01.002
  46. C. L. Hsu and H. P. Lu, "Consumer behavior in online game communities: A motivational factor perspectiv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3, No.3, pp.1642-1659, 2007. https://doi.org/10.1016/j.chb.2005.09.001
  47. J. Hagel and A. Armstrong, "Net Gain-Expanding Markets through Virtual communities,"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7.
  48. V. Venkatesh and F. D.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46, pp.186-204, 2000. https://doi.org/10.1287/mnsc.46.2.186.11926
  49. J. Hair, R. Anderson, R. Tatham, and W.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5th ed.,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1998.
  50. J.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NewYork, 1978.
  51. J. Steiger and J. Lind, "Statistically 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annual meeting of the Psychometric Society, IOWA City, IA, 1980.
  52. C. Fornell, "Issues in the Application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A Com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9, No.3, pp.443-448, 1983. https://doi.org/10.1086/208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