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2006년 9월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내 백미속 약용작물, 큰조롱과 넓은잎 큰조롱 시험포장에서 바이러스병 조사를 수행하였다. 각 시험구별 바이러스 발병률은 20-80%의 범위였으며, 뿌리로 번식한 경우가 종자로 번식한 경우보다 발병률이 두 배 정도로 높았다. 두 약용식물에서는 모자이크, 얼룩, 괴저, 황화, 퇴록반점, 기형 등 매우다양한 바이러스 병징이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 분석결과 대부분의 시료에서 390-730 nm 길이의 사상형 입자가 관찰되었으며, 바이러스 병징을 보인 시료 중 일부에서는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지 않은 것도 있었다. 전형적인 모자이크 증상을 보이는 큰조롱 잎을 순화하여 약 430-845 nm 길이의 사상형 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순화한 바이러스로부터 분리된 RNA를 이용하여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한 결과 포티바이러스속 P3과 외피단백질 유전자의염기서열을 얻을 수 있었으며, BLAST 분석결과 포티바이러스속 바이러스들과 각각 약 26-38%와 62-72%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순화한 바이러스의 SDS-PAGE 분석에서 염기서열 분석으로 예상되는 약 30kDa의 외피단백질을 확인하였다. 7과 21종의 지표식물을 사용한 생물검정에서 Chenopodium quinoa에서 접종엽의 국부병반과 함께 전신적 황화반점 증상을 나타냈으며, 나머지 지표식물에서는 감염되지 않았다. 채집된 큰조롱과 넓은잎 큰조롱시료를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 방법으로 진단한 결과 병징을 보인 모든 시료에서 양성반응이 나타났으며, 병징을 보이지 않는 7점 중 5점의 시료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본 바이러스는 포티바이러스속의 새로운 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큰조롱에서 최초로 발견된 바이러스인 점에서 Keunjorong mosaic virus(KjMV)로 명명하고자 한다.
In 2006 fall, a preliminary survey of viruses in two important medicinal plants, Cynanchum wilfordii and C. auriculatum,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fields at the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of Chungbuk province in Korea. On each experimental fields, percentage of virus infection was ranged from 20 to 80%, and especially an average of disease incidence propagated by roots was twice higher than that by seeds. The various symptoms were observed in Cynanchum spp. plants, such as mosaic, mottle, necrosis, yellowing, chlorotic spot and malformation etc. In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of crude sap extracts, filamentous rod particles with 390-730 nm were observed in most samples. The virus particles were purified from the leaves of C. wilfordii with typical mosaic symptom, and the viral RNA was extracted from this sample containing 430-845 nm long filamentous rod. To identify the viruses, reverse transcription followed by PCR with random primers was carried out. The putative sequences of P3 and coat protein of potyvirus were obtained. From a BLAST of the two sequences, they showed 26-38% and 62-72% identities to potyviruses, respectively. In SDS-PAGE analysis, the subunit of coat protein was approximately 30.3 kDa, close to the coat protein of potyvirus. In bioassay with 21 species in 7 families, Chenopodium quinoa showed local lesion on inoculated leave and chlorotic spot on upper leave, but the others were not infected. RT-PCR detection using specific primer of C. wilfordii and C. auriculatum samples, all of 24 samples with virus symptom was positive, and five out of seven samples without virus symptom were also positive. On the basis of these data, the virus could be considered as a new member of potyvirus. We suggested that the name of the virus was Keunjorong mosaic virus (KjMV) after the common Korean name of C. wilford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