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urriculum Desig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dergraduate School

창업교육의 대학교과과정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 Mok, Young-Du (Department of Entrepreneurship,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
  • Choi, Myeong-Gil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 목영두 (중앙대학교 대학원 창업학과) ;
  • 최명길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상경학부)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jobless growth, the problem of employment is becoming an important social issue. Fostering potential entrepreneurs with systematic education can be an alternative for resolving the jobless growth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entrepreneurship subjects which are needed for designing a curriculum of the systema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study develops a questionnaire based on prior researches, and executes the survey of two focused groups comprised with a group of researchers lecturing subjects related with entrepreneurship and a group of executing an entrepreneurship consulting.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applied to design and run the curriculum in the universities, which consider introducing stag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study help a entrepreneurship department to bear the curriculum, and a direction of specialization.

글로벌 경제위기와 고용 없는 성장으로 일자리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잠재적인 창업가 육성은 고용 없는 성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계적인 창업 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설계를 위해 필요한 창업 교과목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설문지를 개발하고, 대학에서 창업학 관련 과목을 강의하는 연구자 그룹과 현업에서 창업교육 및 컨설팅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실무 전문가 그룹을 두 개의 포커스 그룹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창업교과과정을 공통기초과목, 전공필수과목, 전공선택과목에 적합한 창업 교과목을 제시하고, 대학교의 창업 교육 과정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대학의 창업학 도입단계, 학과가 설치될 학부, 특성화 방향 등 각 대학의 상황에 따라 교과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아, 손주연, 김희정, "통합연구방법 적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 연구: 지역보건정책 결정을 위한 주민의견 조사에 설문조사와 포커스 그룹 방법의 통합적 적용", 한국행정학보, 제41권, 제4호, pp.415-437. 2007.
  2. 김주미, 오상훈, 양재경, "우리나라 창업교육 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창업대학원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원, 2007.
  3. 박윤희, "실업계 고등학교 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제", 직업교육연구 제23권, 제3호. pp.83-110, 2004.
  4. 반성식, "창업전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진주산업대논문집 제42권, pp.129-147, 2003.
  5. 이상문.장대성, "벤처창업 교육과 창업정신 행상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비교", 경영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7-25, 2004.
  6. 조병주, "창업교육의 교과내용결정모형과 전공과정의 개발방향", 한국중소기업회지, 제18권 제2호 pp. 157-184, 1996.
  7. 조병주, "창업교육 : 교육과정 전개와 효과적 교수방법", 경영교육연구 제2권, 제2호. pp. 27-48, 1998.
  8. 조형래, "새로운 창업교육의 방향", 경영교육연구 제2권, 제2호. pp. 49-74, 1998.
  9. 주인중.박윤희.오영미,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 체제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요구분석", 직업교육연구 제21권 제1호 pp. 169-181, 2002.
  10. 한길석, "창업교육체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 경영교육논총 제47집, pp. 379-405, 2007.
  11. 한정화.이명자, "창업교육실태와 개선방안", 경영교육연구 제2권, 제2호, pp.5-26, 1998.
  12. 한주희.고언정, "창업학 대학원의 교과과정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비교연구" 직업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pp.105-131, 2007.
  13. Krueger, Richard A.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Thousand Oaks, Calif: Sage publications, 1994.
  14. McMullan, W. Ed and Wayne A. Long, Developing New Ventures: The Entrepreneurial Option, New York, N. Y.:Harcourt Brace Jovanovich, 1990.
  15. Ronstadt, R, "The Educated Entrepreneurs: A New Era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is Beginning", American Journal of Small Business, pp.7-23, summer 1985.
  16. Shapero, Albert and L. Sokol, The Social Dimensions of Entrepreneurship in Encylopedia of Entrepreneurship, edited by Calvin A. Kent, Donald L. Sexton, and Karl H. Vesper, Englewood Gliffs, N. J.: Prentice-Hall, pp.72-87, 1982.
  17. Vesper, K. H. and W. Ed McMull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from Courses to Degree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 13, No.1, pp.7-14, 1988.
  18. Vesper, K. H., Entrepreneurship Education, Babson College Center for Entrepreneurship Research, 1985.
  19. Vesper, K. H., Research on Education for Entrepreneurship in Encyclopedia of Entrepreneur ship, p.327, 1982.
  20. http://www3.babson.edu
  21. http://www.wichita.edu
  22. http://www.baylor.edu
  23. http://www.us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