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알아 본 과학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A Study on School-level Scienc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Through Science Teacher Interviews

  • 투고 : 2010.01.28
  • 심사 : 2010.06.29
  • 발행 : 2010.08.31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서울과 경기 지역 과학 교사 12명과의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학생들은 과학 선택 과목의 성격이나 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안내가 미흡한 상태에서 과목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며, 자연계열 과목을 우선적으로 개설한 다음 교사 수급 및 시수 균등 배분을 고려해서 인문계열 과목을 개설하는 경향이 있어 특히 인문계열 학생의 과목 선택이 제한을 받고 있었다. 소수 희망 선택 과목의 경우, 인문계열에서는 학생들의 과목 선택에 대한 낮은 관심, 자연계열에서는 내신 산출에서 불이익 등 입시에서의 유 불리로 인하여 과목이 개설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조사에 참여한 12개 학교 중에서 계열을 통합하여 내신을 산출하는 학교는 6개교였으며, 그 밖의 6개교에서는 이수 단위, 이수 학년이나 과목명을 달리하여 계열별로 따로 내신 성적을 산출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평가에서의 제한, 별도 지도안 작성에 따른 부담 등으로 인해 계열별 학생 집단의 특성을 수업에 반영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인문 계열에서는 입시 영향이 적은 것으로 인한 낮은 학습 동기와 인문계열 학생에게 부적합한 개념 위주의 과목 성격, 자연계열에서는 대입 전형에서의 유불리와 관련한 과목 선택 편중화 등이 지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chool-level scienc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instruction of elective-centered science co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12 science teachers in 12 high schools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through semi-constructed interview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ere supposed to select science subjects under insufficient guidance and their choices on subject were also restricted due to school administrative processes such as teacher's instructional time allocation. Participants were well-perceived different group characteristics among humanities course and science course students toward science learning, still, they felt difficulties in valuing students' variety by differentiat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ologies due to school assessment system and workload of extra instructional material preparation. Influenced by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low motivation for humanities course students and students' choice concentrated in chemistry and life science for science course students, were pointed out as main problems. As a way to improve science education for 11th - 12th graders, developing customized science curriculum for humanities course and science course respectively, changing of entrance system into increasing importance of science for students who will major in non-science fields, and designations of essential prerequisite science subject for students who will major in engineering & science fields, were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1998).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인적자원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교육과학기술부(2009, 12월).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고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 - 41 호. (검색일 2009. 12.25. http://cutis.mest.go.kr/NTC).
  4.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2004). 우수 이공계 인력 확보 방안 공청회 자료집.
  5. 김성열, 이양락, 조용기, 이창훈, 박순경, 정영근, 이명애, 시기자, 심재호, 김동영, 신항수, 박영수, 강 현석, 김재춘, 박종배, 백순근, 홍후조, 이영호, 신호 근(2008). 2012학년도 수능 탐구 및 제2외국어/한문 영역 응시과목 축소 방안 공청회. 연구자료 ORM 2008-2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김양분, 남궁지영, 김정아(2006). 학교 교육 수준 및 실태 분석 연구(II): 일반계 고등학교. 연구보고 RR 2006-2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7. 김주훈, 홍미영, 이미경, 정은영, 곽영순, 심재호, 이창훈, 최원호, 박순경(2006).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6-7.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박순경, 이양락, 이광우, 김평국, 이미숙, 정영근 (2004). 제7차 교육과정의 쟁점 분석 연구. 연구보고 RRC 99-8.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서혜애, 장수명, Pereira-Mendoza, L.(2004). 초∙중등 우수학생 이공계 진출을 위한 과학교육 정책방안 수립 연구. 연구보고 RR 2004-4. 서울: 한국 교육개발원
  10. 서혜애, 손정우, 정현철, 송진웅, 이봉우, 정진수, 송성수(2007). 창의적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과학교육 개선 방안 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11. 세계일보(2009, 12월). 고교생 대학과목 선이수제 폐강 위기(검색일 2009. 12.13. http://www.segye. com/Articles/NEWS/SOCIETY/)
  12. 송희성, 문광순, 박승재, 이규석, 유준희, 정선양, 정완호, 한효순(2005). 초.중.고등학교 과학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과학기술한림원.
  13. 오희균과 박종원 (2009). 사범대학생의 역학과 전 자기 개념 이해 분석 - 다양한 분석과 해석 방법을 중 심으로 -. 새물리, 59(1), 27-38.
  14. 이규석, 조희형, 김주훈, 정병훈, 이면우, 곽영순 (2002). 학교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입시제도 개선-이공계 대학 우수 학생 유치를 위한 대학 입학 제도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 정책연구보고서.
  15. 이보경, 장수철(2008). 고등학교 과학 심화선택과목 이수여부와 대학 과학 교과목의 학업성취도. 교육 과정연구. 26(2), 191-210.
  16. 이양락, 노은희, 박기범, 남진영, 서보억, 김용명, 박태준, 박진동, 장의선, 황인표, 서민철, 이정우, 신 항수, 강대현, 신일용, 최혁준, 김동영, 동효관, 구자 옥, 김현경, 김진구, 함승연, 박영수, 김영준, 김영춘, 이용백, 손민정, 장호성, 윤영순, 김새환(2009).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 문항 분석, 연구자료 ORM 2009- 46.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이영무(2001). 청소년의 이공계 대학 진학률 감소에 따른 대책 방안.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18. 정광희, 조석희, 소경희, 권순한(2006). 일반계 고교 운영체제 다양화 연구. 연구보고 RR 2006-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 조향숙, 조광희, 이용래, 최지선(2008). 수학.과학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0. 최경희, 송성수(2002). 과학교육 이슈 및 발전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1. 홍후조(2001). 선택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에서 과 목 선택과 영역 선택, 교육과정 연구, 19(2), 53-76.
  22.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3. Patton, M. Q. (2001).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4. Schwartz, M., Sadler, P.M., Sonnert, G., & Tai, R.H. (2009). Depth versus breadth: how content coverage in high school science relates to later success in college science coursework. Science Education, 93(4), 798-826.
  25. Stake, R. E. (2000). Case studies.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I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435-454).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6. Tai, R. H., Sadler, P. M., & Mintzes, J. J. (2006).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cience succes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6(1), 52-56.
  27. Trusty, J. (2002). Effect of high school courses-taking and other variables on choice of science and mathematics college major.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0(4), 464-474. https://doi.org/10.1002/j.1556-6678.2002.tb00213.x

피인용 문헌

  1.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과학 선택 과목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조사 vol.39, pp.2, 2015, https://doi.org/10.21796/jse.2015.39.2.133
  2.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Management of High School Science Elective Curriculum vol.55, pp.4, 2010, https://doi.org/10.15812/ter.55.4.201612.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