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Science Textbooks in Korea, Singapore, and Taiwan - Focus on the field of Biology -

우리나라, 싱가포르, 대만의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0.03.04
  • Accepted : 2010.05.0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scheme and the levels of core concepts in science textbooks used in Korea, Singapore, and Taiwan, which have shown superior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IMSS 2007. Science textbooks in Korea clearly divide the fields of Energy, Matter, Biology, and Earth, presenting the fields in nearly equal proportion in each grade. In the case of Singapore, science textbooks take an integrated content approach, combining concepts from several fields under a single theme. Science textbooks in Taiwan present a single content field in each unit. Also, because each grade engages in a specific field intensively,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concepts related to a single field are studied in a single grade. In view of levels of core concepts, Singapore or Taiwan showed higher achievement than Korea in themes of 'Cell and their Functions', 'Ecosystems', and 'Human Health' under the TIMSS 2007 biology field. Singapore introduces core concepts for these themes in lower grades compared to Korea and presents them repeatedly in several grades. In Taiwa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se core concepts are taught only once during the course of $3^{rd}$ to $8^{th}$ grade, but the explanations are presented at a level that is suitable to TIMSS 2007 assessment objective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the division of content fields and methods of presenting core concepts in the science textbooks of Korea.

본 연구에서는 TIMSS 2007결과 우수한 성취를 보인 우리나라, 싱가포르, 대만의 과학 교과서의 구성체제와 핵심 개념들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과학 교과서는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 영역을 뚜렷하게 구분하여 각 학년별로 거의 동등한 비율로 제시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는 각 내용 영역이 분리되지 않고 한 주제 안에서 여러 영역의 개념을 포함하는 내용 통합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 대만의 과학 교과서는 한 단원에 각각 한 가지 내용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또 각 학년별로 특정 내용 영역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한 영역의 관련 개념을 한 학년에서 학습하는 경우가 많다. 다음으로 핵심 개념들의 수준을 살펴보면, TIMSS 2007 생명 영역에서 싱가포르나 대만이 우리나라보다 높은 성취를 보인 주제는 '세포와 그 기능', ' 생태계', ' 건강'이었다. 이 주제의 핵심 개념들에 대해 싱가포르는 우리나라보다 저학년 때 도입하고, 여러 학년에서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대만의 경우는 이 핵심 개념들을 3학년에서 8학년까지의 과정 중 1회만 다루는 경우가 많지만, TIMSS 2007 평가 목표에 적합한 수준으로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 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 과학 교과서에서 내용 영역의 구분과 핵심 개념들의 제시 방식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 이미경, 최혁준, 정은영, 심재호, 신일용, 최원호, 김동영, 김범기, 이범홍, 김찬종, 이병언 (2007). 초∙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7-16.
  2.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 (2008).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07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PRE 2008-3-3.
  3. 김경희, 김수진, 김미영, 김선희, 강민경, 박효희, 정송 (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PRE 2009-7-2.
  4. 교육부 (1997). 초∙중등 학교 교육과정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별책 1].
  5. 교육 인적 자원부 (2001). 과학 3-1.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6. 교육 인적 자원부 (2001). 과학 3-2.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7. 교육 인적 자원부 (2001). 과학 4-1.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8. 교육 인적 자원부 (2001). 과학 4-2.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9. 교육 인적 자원부 (2002). 과학 5-1.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0. 교육 인적 자원부 (2002). 과학 5-2.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1. 교육 인적 자원부 (2002). 과학 5-2.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2. 교육 인적 자원부 (2002). 과학 5-2.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3. 박윤배 (1998).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국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19-34.
  14. 박정, 정은영, 김경희, 한경혜 (2004). 수학${\cdot}$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03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PRE2004-3-2.
  15. 심소진, 최영준 (2005). 한국과 일본의 초${\cdot}$${\cdot}$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 물리 영역을 중심 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480-493.
  16. 유준희 (2001). 제3차 수학${\cdot}$과학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반복 연구(TIMSS-R) 결과 중 물리 영역 성취도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 연구 과제의 추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757-772.
  17.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문호, 방태철, 이기성, 안태근, 정상윤, 복완근, 정익현, 박병훈, 박정일, 정수도, 김경수, 박지극, 송양호, 이천기 (2001). 중학교 과학 1. 서울: (주) 지학사.
  18.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문호, 방태철, 이기성, 안태근, 정상윤, 복완근, 정익현, 박병훈, 박정일, 정수도, 김경수, 박지극, 송양호, 이천기 (2002). 중학교 과학 2. 서울: (주) 지학사.
  19. 이범홍, 김주훈, 이양락, 홍미영, 이미경, 이창훈, 신일용, 심재호, 곽영순, 노태희, 최승언 (2006).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5-10.
  20. 정완호 (1995).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자율학습의 교과서. 교과서 연구 21호.
  21. 정은영 (2005). TIMSS 2003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생물 영역 성취도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3), 277-290.
  22. 정충덕, 오홍식, 최진석, 강경희 (2007).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3 -6학년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639-644.
  23. 함수곤 (1995). 앞으로의 교과서의 기능. 교과서 연구 23호.
  24. 홍미영 (2006). TIMSS 2003 성취 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46-257.
  25. Heyworth, R. M. (2004a). Explore your world with science discovery 1, Pearson Education South Asia Pte Ltd.
  26. Heyworth, R. M. (2004a). Explore your world with science discovery 2, Pearson Education South Asia Pte Ltd.
  27. Kim, C.-J. (2001). The Contents of Primary Science in the National curricula of Korea, Chin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1(5), 924-943.
  28. Leng, H. P., Yusoff, A. R., & Nanda, A. (2004). i∙Science 3, Panpac Education Private Ltd.
  29. Leng, H. P., Yusoff, A. R., & Nanda, A. (2004). i∙Science 4, Panpac Education Private Ltd.
  30. Leng, H. P., Yusoff, A. R., & Nanda, A. (2004). i∙Science 5, Panpac Education Private Ltd.
  31. Leng, H. P., Yusoff, A. R., & Nanda, A. (2004). i∙Science 6, Panpac Education Private Ltd.
  32. Martin, M. O., Mullis, I. V.S., & Foy, P. (2008). TIMSS 2007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33. 史家瑩等(2008). 國民小學 自然與 生活科技. 3上. 臺南:翰林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34. 史家瑩等(2009). 國民小學 自然與 生活科技. 3下. 臺南:翰林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35. 史家瑩等(2008). 國民小學 自然與 生活科技. 4上. 臺南:翰林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36. 史家瑩等(2009). 國民小學 自然與 生活科技. 4下. 臺南:翰林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37. 史家瑩等(2008). 國民小學 自然與 生活科技. 5上. 臺南:翰林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38. 史家瑩等(2009). 國民小學 自然與 生活科技. 5下. 臺南:翰林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39. 史家瑩等(2008). 國民小學 自然與 生活科技. 6上. 臺南:翰林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40. 史家瑩等(2009). 國民小學 自然與 生活科技. 6下. 臺南:翰林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41. 史家瑩等(2008). 國民中學 自然與 生活科技. 1上. 臺南:翰林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42. 史家瑩等(2009). 國民中學 自然與 生活科技. 1下. 臺南:翰林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43. 史家瑩等(2008). 國民中學 自然與 生活科技. 2上. 臺南:翰林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44. 史家瑩等(2009). 國民中學 自然與 生活科技. 2下. 臺南:翰林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Cited by

  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quations of the Contribution Degree on the Brain Compatibleness Index - Focused on ‘Structures and Functions of Cells' Unit in the 7th Grade Science Textbooks- vol.38, pp.4,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0.38.4.531
  2. 학생 활동 중심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적용: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vol.9, pp.1, 2010,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15
  3. 학생 활동 중심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적용: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vol.9, pp.2, 2016,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2.139
  4. The Analysis of Question between Multicultura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fter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vol.23, pp.6, 2010, https://doi.org/10.24159/joec.2017.23.6.495
  5.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개념 및 탐구활동 요소 비교 분석: 지질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vol.11, pp.1, 2018,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