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n the Working Environment by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환경의 인식 차이

  • Hyung, Keun-Hy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
  • Park, Ok-Im (Division of Social Welfa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Kang, Hee-Soon (Sexual Harassment.Violence Counseling Center,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형근혜 (전남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
  • 박옥임 (순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 강희순 (순천대학교 성희롱성폭력상담실)
  • Received : 2010.04.01
  • Accepted : 2010.08.19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f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and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s of the working environment relate to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rried teache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job itself, supervision, and colleague relations compared to teachers who are not married. Teachers with certificate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job itself compared to teachers without certificates. Second, teachers's job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salary, welfare, and colleague relations. Also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correlated with responsibility in the case that teachers have a good relation with their principal and child-care parents.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eachers consider substitute teachers, vacation systems, day care systems, compliant with the ratio of teacher and children, job security, order of legal status as important. With regard to external compensation, teachers want salary increase, payment on overtime labor, flexible work-time, use of both full-time and part-time teachers, expansion of educational materials, increase on purchasing cost for textbooks and material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ir satisfaction, practical policies need to be implemented.

Keywords

References

  1. 경규혜(1995) 보육교사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자춘(2003) 영유아 보육시설의 보육환경과 보육교사 만족도의 관계연구. 대전 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권기태(199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조사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 웅(2002)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난희(2005) 대구광역시 국공립 법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운대학교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범준(2000)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관련변수에 대한 Meta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재순(2003) 영.유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현미(2005)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남호순(2001) 국공립과 사립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문미선(2007).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문정아(2007)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영희(2001) 보육교사 직무환경과 자아정체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은정(2003)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환경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현정(2000)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배혜자(2008) 영유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변삼례(2002)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보건복지부(2005) 보육사업안내. 전국 어린이집 연합회.
  18. 신혜영(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안주섭(2001) 보육교사의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양승희.염순교(2007) 보육교사 직무만족도와보육시설 직무환경간의 관계분석. 한국보육학회지 7(4), 45-67.
  21. 양은희(1997) 어린이집 교사와 부모의 프로그램 참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귀애(2003) 민간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후생복지에 따른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기향(2001)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연승.조미나(2005)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41- 67.
  25. 이영순(2004)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정희.조성연(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4), 559-570.
  27. 이희자(1996) 보육교사의 관심사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 121-143.
  28. 임옥희(2004) 보육교사의 교육신념과 직무만족. 한국가정과학회지 7(1), 101-111.
  29. 임정숙(1998) 보육교사 직무만족에 관한 조사연구;충남지역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임주희(2007)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혜영.박영준(2007) 보육시설 기관장의 리더십과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의 인과모형 구축. 영유아보육학 41, 21-39.
  32. 정효정(200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조직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조방제(200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요구분석을 통한 양성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보육학 35, 23-44.
  35. 조은영(200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중앙보육정보센터(2009) 2008 보육통계. http://www.educare.or.kr.
  37. 통계청(2005) 경제활동 인구 연보.
  38. Bloom PA(1989) A great place to work : Improving conditions for staff in young children's programs,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39. Dunn L(1993) Proximal and distal features of day care quality and children's develop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167-192.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89-4
  40. Pence AR, Goelman H(1991) The relationship of regulation, training and motivation to quality of care in family day care. Child & Youth Care Forum 20(2), 83-101. https://doi.org/10.1007/BF00756691
  41. Manlove EE(1993) Multiple correlates of burnout in child care work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4), 499-518.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82-1
  42. Quinn R, Sraines G(1979) Quality of employment survey : Cross-Section Ann Arbor. MI :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University of Michig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