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한 음악 재생 목록 생성 시스템

A Playlist Generation System based on Musical Preferences

  • 방성우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 김태연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 정혜욱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 이지형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 김용세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 투고 : 2010.04.03
  • 심사 : 2010.05.17
  • 발행 : 2010.06.25

초록

음악의 생산과 수요 증가와 함께 사용자의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을 관리하기 위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음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생 목록을 작성하고 이를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재생 목록의 작성 방법은 음악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따라서 재생 목록을 자동으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음악사용의 상황과 취향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재생 목록을 생성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음악적 무드 (Musical mood) 분류 시스템과 음악 추천 시스템, 두 가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음악을 추천 받기 위해 단지 하나의 음악을 선택한다. 그러면 시스템은 자동으로 재생 목록을 생성하기 위해 선택된 음악과 유사한 무드의 음악을 재생 목록에 추가한다. 사용자는 재생 목록에 추가된 음악 중 자신의 취향에 맞지 않는 음악을 제거하여 취향에 적합한 음악을 반복적으로 추천 받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의 실험과 평가를 위해 실제 음악을 수집하였으며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재생 목록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취향이 보다 정확히 반영된 것을 확인하였다.

The rise of music resources has led to a parallel rise in the need to manage thousands of songs on user devices. So users are tend to build play-list for manage songs. However the manual selection of songs for creating play-list is bothersome task. This paper proposes an auto play-list recommendation system considering user's context of use and preference. This system has two separate systems: mood and emo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Users need to choose just one seed song for reflection their context of use and preference. The system recommends songs before the current song ends in order to fill up user play-list. User also can remove unsatisfied songs from recommended song list to adapt user preferences of the system for the next recommendation precess. The generated play-lists show well defined mood and emotion of music and provide songs that user preferences are reflected.

키워드

참고문헌

  1. John C. Platt, C. Burges, S. Swenson, C. Weare and A. Zheng, “Learning a Gaussian Process Prior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Music Playlist,” In Proc. NIPS, vol. 14, pp. 1425-1423, 2002.
  2. F. Deliege, T. B. Pedersen, "Using Fuzzy Lists for Playlist Management," In Proc. MMM, pp. 198-209, 2007.
  3. R. E. Thayer, The Biopsychology of Mood and Arousal,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4. L. R. Rabiner, Fundamentals of Speech Recognition, Prentice Hall, 1993.
  5. C. M. Bishop, Pattern Recognition and Machine Learning, New York: Springer, 2006.
  6. X. Shao C. Xu and M.S. Kankanhalli,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f Music Genre Using Hidden Markov Model,” IEEE Trans. on Multimedia and Exop, vol. 3, pp. 2023-2026, 2004.
  7. K. Kim, D. Lee, T. Yoon and J. Lee, "A Music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Preference Analysis," In Proc. ICADIWT, pp. 102-106, 2008.
  8. J. J. Aucouturier and Francois Pachet, “Music Similarity Measures: What’s the Us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usic Information Retrieval, pp. 157-163, 2002.
  9. S. V. Dongen, "Graph Clustering by Flow Simulation," PhD thesis, University of Utrecht, 2000.
  10. http://jAudio.sourceforg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