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ment of Wind Energy Potential around Jeju Coastal Area

제주 연안지역 주변의 잠재 풍력에너지 평가

  • 김남형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해양과환경연구소) ;
  • 진정운 (제주대학교 대학원 풍력특성화협동과정)
  • Received : 2010.05.20
  • Accepted : 2010.10.06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selection of a site where strong wind blows is important to increase effectively the electricity of wind power in proportion to the cube of the wind speed. It is advisable to establish the wind turbine in the coastal area with strong wind speed rather than in the inland. And the development of offshore wind energy is expected to solve the noise problem that is one of the important weaknesses in the wind turbine.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business of wind energy, knowing forehead the wind power possibility in any area is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to choose the most optimum site of wind power. In this paper, the potential of wind power around JeJu coastal area is examined by using the wind data tha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as surveyed for 10 years in 14 observation points. Wind speed data is revised to wind speed in 80 meters assuming installation height of the wind turbine, and wind power density and annual wind energy are also calculated. And annual electricity generation and percent of energy efficiency in all the observation points are estimated by using the information about 3,000 KW wind turbine.

풍속의 세제곱에 비례하는 풍력발전기의 전기발전량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풍속이 강한 부지 선정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내륙지역보다 풍속이 강한 연안지역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해상풍력개발은 풍력발전기의 중요한 단점 중 하나인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대된다. 풍력개발 사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어떤 지역의 풍력발전 가능성을 미리 파악하는 것은 풍력발전의 최적지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기상청이 10년간 관측한 제주도 14개 지역의 풍향 및 풍속데이터를 가지고 제주 연안지역의 풍력발전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풍력발전기의 설치높이를 80 m로 가정하고 풍속데이터를 보정하였으며, 이 값을 가지고 풍력에너지 밀도와 연간 풍력에너지량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모든 관측지점의 연간 전기발전량과 에너지취득률은 3,000 KW 풍력발전기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남호, 윤정은, 장문석, 장동순(2003) 한반도해역의 해상 풍력자원 평가.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한국태양에너지학회, Vol. 23, No. 2, pp. 35-41.
  2. 김현구, 송규봉, 환선영, 윤진호, 황효정(2009) 국가 바람지도 및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해상풍력단 지입지 전략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한국환경과학회, 제18권, 제8호, pp. 877-883.
  3. 김현구, 장문석, 이은정(2008) 제주도 풍력자원 데이 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기상통계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한국환경과학회, 제17권, 제6호, pp. 591-599.
  4. 대한건축학회(2009) 건축구조설계기준.
  5. 문채주, 정의헌, 심관식, 정권성, 장영학(2008) 우리 나라 지형특성을 고려한 풍력발전 타당성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한국태양에너지학회, Vol. 28, No. 6, pp. 24-32.
  6. 永井紀彦, 勝海務, 岡島伸行, 隅田耕二, 久高將信(2001) NOWPHAS データより推定した洋上沿岸域 での風力電の可能性, 海洋開發論文集, 第17巻, pp. 19-24.
  7. 構造工學委員會(2007) 風力發電設備支持物構造設計 指針 同解, 日本土木學會.
  8. Park, J.W., Kim, J.G., Shin, Y.H., Lee, J.H., and Park, J.P. (2009) 3MW class offshore wind turbine development, Current Applied Physics, pp. 307-310.
  9. Musual, W. and Butterfield, S. (2004) Future for offshore wind energy in the united states, NREL/CP-500-36313.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Colora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