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oFlux 타워에서 관측된 토양수분 값을 이용한 가뭄지수 활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Application of Drought Index Using Measured Soil Moisture at KoFlux Tower

  • 김수영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
  • 조환범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
  • 이승오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
  • 최민하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투고 : 2010.03.08
  • 심사 : 2010.06.15
  • 발행 : 2010.12.31

초록

현재 우리나라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하여 평균 강우량은 증가하는 반면에 강우일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하면, 강우가 특정한 기간에 집중되어 내려 홍수에 의한 피해도 심각하지만 가뭄에 의한 피해 또한 심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홍수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은 편이지만 가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과 강수량으로 가뭄지수를 산정하여 비교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가뭄의 경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은 전라남도 해남이며, 토양수분자료로 Soil Moisture Index(SMI)를 산정하였고, 기상 자료로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SPI)와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PDSI)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oFlux 타워에서 측정된 토양수분 값을 이용하여 보다 실질적인 가뭄지수를 산정할 수 있었다. 각 가뭄지수를 월 단위로 산정하였고, 비교분석 결과 세 가지 가뭄지수는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KoFlux 타워에서 측정된 토양수분 값으로 가뭄지수를 산정하는 것은 적절하다고 판단되고 토양수분 값은 모든 기상학적 요인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While the number of rainy days is decreasing, the mean annual precipitation is increasing due to abnormal climate changes caused by the global warming in Korea. Owing to the biased-concentration of rainfall during specific short terms, not only flood but also drought becomes more and more serious. From the literature, it is easily found that previous studies about flood have been intensively conducted. However, previous studies about drought have been performed rarely. This study conducted the comparison between two representative drought indexes calculated from soil moisture and precipitation. Study area was Haenam-gun, Jeollanam-do in Korea. Soil Moisture Index(SMI) was calculated from soil moisture data while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SPI) and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PDSI) were calculated from meteorological data. All monthly data utilized in this study were observed at the KoFlux Tower. After the comparative analysis, three indexes showed similar tendency.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drought index using soil moisture measured at the KoFlux Tower is reasonable, which is because the soil moisture is immediately affected by all the meteorological factors.

키워드

참고문헌

  1. 기상연구소(1993) 우리나라 가뭄에 관한 연구.
  2. 김민석, 오태석, 문영일, 권현한(2009)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비교분석, 2009년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3398-3401.
  3. 김상민(1999) 우리나라 주묘지점에 대한 가뭄지수의 산정과 비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4. 류재희, 이동률, 안재현, 윤용남(2002) 가뭄평가를 위한 가뭄지수의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4호, pp. 397-410.
  5. 박창서, 엄기태(1990) 우리나라 토양의 토성별 유효수분 함량, 제46차 학술발표회, 한국토양비료학회, pp. 19
  6. 안국현, 이경택, 김영오(2009) 토양수분지수를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가뭄심도 분석, 2009년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542-2545.
  7. 이재수(2006) 수문학, 구미서관.
  8. Choi, M. and Jacobs, J.M. (2007) Soil moisture variability of root zone profiles within SMEX02 remote sensing footprint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30, No. 4, pp. 883-896. https://doi.org/10.1016/j.advwatres.2006.07.007
  9. Choi, M., Lee, S.O., and Kwon, H. (2010) Understanding of the Common Land Model performance for water and energy fluxes in a farmland during the growing season in Korea. Hydrological Processes. Vol. 24, pp. 1063-1071. https://doi.org/10.1002/hyp.7567
  10. Helsel, D.R. and Hirsch, R.M. (2002) Statistical Methods in Water Resources. U.S.GEOLOGICAL SURVEY : Chapter A3, pp. 218-219.
  11. Hong, J., Lee, H.C., Kim, J., Kim, B., Cho, C., and Lee, S. (2003) Inferring regional scale surface heat flux around FK KoFlux sit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I. 5, pp.138-149.
  12. Jacobs, J.M., Mohanty, B.P., Hsu, E., and Miller, D. (2004) SMEX02 : Field scale variability, time stability and similarity of soil moistur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92, No. 4, pp. 436-446. https://doi.org/10.1016/j.rse.2004.02.017
  13. Thomas B. McKee, Nolan, J. Doesken and John Kleist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Eigh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pp. 17-22.
  14. Thornthwaite, C.W. and Mather, J.R. (1955) The water balance, Publications in Climatology.
  15.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US. Weather Bureau, No.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