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Analysis of Support Working Expenses for Yongdam Dam Area Considering the Resolution of Digital Topographic Map

수치지형도 해상도를 고려한 용담댐 주변지역 지원사업비 영향 분석

  • 이근상 (전주비전대학 지적부동산과)
  • Received : 2010.05.31
  • Accepted : 2010.07.30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A dam is effective in stable supply of water required in daily life and reduced damage from floods, but there are problems as a lot of land or houses are submerged. Therefore many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and support daily life environment surrounding a dam. This study has focused on analyzing how to calculate support working expenses for Dam area by using GIS spatial overlay in addition to effects of scale of a topographic map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as a result of areal error in submerged area by scale based on a 1/3,000 digital topographic map, it has been found that a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is 9.5 times more accurate than a 1/25,000 digital topographic map in the total of areal error. Second, as a result of areal error in area surrounding a dam, it has been found that a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is 7.4 times more accurate than a 1/25,000 digital topographic map in the total of areal error. Third, as a result of error of support expense for submerged area, it has been found that a 1/5,000 digital topographic is 15.9 times, 14.7 times and 15.9 times more effective than a 1/25,000 digital topographic map in terms of the total error of support expense, standard error and the total support expense error on the entire project costs in submerged area.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n error of support expense for area surrounding a dam, it has been found that a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was 10.7 times, 9.6 times and 10.6 times more effective, respectively, in the total error of support expense, standard error and the total error of support expense for the entire project costs in area surrounding a dam compared to a 1/25,000 digital topographic map. Lastly, as a result of error of the entire project costs for area surrounding a dam, it has been found that a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was 1.4 times, 1.3 times and 1.4 times more effective, respectively, in the total error of support expense, standard error and the total error of the entire project costs compared to a 1/25,000 digital topographic map, but i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result of calculating areal error in submerged area or area surrounding a dam because population item didn't consider areal concept.

댐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해주고 홍수피해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지만 많은 토지와 가옥이 수몰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댐주변지역의 생활환경 개선과 지원을 위해 많은 사업들이 시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중첩 기능을 이용하여 댐주변지역 지원사업비를 산정하는 기법과 함께 수치지형도의 해상도에 따른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1/3,000 수치지형도를 기준으로 각 해상도별 수몰지역 면적오차를 분석한 결과, 1/5,000 수치 지형도가 1/25,000 수치지형도에 비해 면적오차의 합의 비율이 9.5배로 정확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댐주변지역 면적오차의 합을 분석한 결과 1/5,000 수치지형도가 1/25,000 수치지형도에 비해 면적오차의 합의 비율이 7.4배로 정확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몰지역 면적에 대한 지원사업비 오차를 분석한 결과, 1/5,000 수치지형도가 1/25,000 수치지형도에 비해 지원사업비 오차의 합과 표준오차 그리고 수몰지역 총사업비에 대한 지원 사업비 오차의 합의 비율에서 각각 15.9배, 14.7배, 15.9배로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댐주변지역 면적에 대한 지원사업비 오차 분석 결과에서도 1/5,000 수치지형도가 1/25,000 수치지형도에 비해 지원사업비 오차의 합과 표준오차 그리고 댐주변지역 총사업비에 대한 지원사업비 오차의 합의 비율에서 각각 10.7배, 9.6, 10.6배로 정확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댐주변지역 전체사업비 오차를 분석한 결과, 1/5,000 수치지형도가 1/25,000 수치지형도에 비해 전체 지원사업비 오차의 합과 표준오차 그리고 전체사업비에 대한 전체사업비 오차의 합의 비율에서 각각 1.4배, 1.3배, 1.4배로 정확도 측면에서 효과적이나 인구항목이 면적개념을 고려하고 있지 않아 수몰지역이나 댐주변지역 면적 오차산정 결과보다는 비교적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기웅, 박지만(2004) 주암댐 주변지역의 친환경농업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유기농업학회지, 한국유기농업학회, 제12권, 제4호, pp. 377-397.
  2. 이승복(1995)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을 위한 정책방향, 국토, pp 77-84.
  3. 이승호, 허인혜(2003) 대형 댐 건설이 주변 지역의 안개 특성에 미친 영향 - 주암댐과 충주댐을 사례로, 환경영향평가학회지,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제12권, 제2호, pp. 109-120.
  4. 한국수자원공사(1995) 다목적댐 주변지역지원사업 업무편람, pp. 3-27.
  5. 한국수자원공사 용담댐관리단(2009) 용담댐 관리연보.
  6. 허승욱, 우장병(2005) 대청 . 충주댐 주변지역의 친환경농업 발전 전략, 한국유기농업학회지, 한국유기농업학회, 제13권, 제1호, pp. 53-68.
  7. 황의호, 이근상, 채효석, 고덕구(2005) GIS 공간분석을 이용한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비 산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8권, 제4호, pp. 24-32.
  8. Akima and Hiroshin (1978) Bivariate interpolation and smooth surface fitting for irregularly distributed data points, ACM Transactions for Mathematical Software, pp. 148-159. https://doi.org/10.1145/355780.355786
  9. Ayeni, O. O. (1982), Optimum sampling for digital terrain models: A trend towards automation, PE & RS, Vol. 48, pp. 1687-1694.
  10. Brown, D. G. and Bara, T. J. (1994) Recognition and reduction of systematic error in elevation and derivative surfaces from 7.5 minute DEMs., PE&RS, Vol. 60, pp. 189-194.
  11. Helio Pedrini (2000) An adaptive method for terrain surface approximation based on triangular meshes, Ph.D thesis, Rensselaer Institute Troy, New York.
  12. Lee, G.-S. and Lee, K.-H. (2009) Comparison between a soft and crisp geographic boundary of the soil texture component in hydrologic model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4, No. 6, pp. 640-646. https://doi.org/10.1061/(ASCE)HE.1943-5584.0000031
  13. Prakash, R. S. (1985) River Dam Construction and Resettlement of Affected Villages, India.
  14. Tenessee Valley Authority (TVA) (1972) Environmental Statement, Tellico Project, Vol. 1,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15. Vincent Chaplot, Frederic Darboux, Hocine Bourennance, Sophie Leguedois, Norbert Silvera, Konngkeo Phachomphon (2006) Accuracy of interpolation techniques for the deriv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s in relation to landform types and data density, Geomorphology, Vol. 77, pp. 126-141.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5.12.010
  16. Zhou, L. and Takashi, O. (2006) DEM analysis on longitudinal and transverse profiles of steep mountainous watersheds, Geomorphology, Vol. 78, pp. 77-89.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6.0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