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ation of Not-Permitted Entrance/Exit Section at Curb Areas

단지 내 진출입 불허구간의 적정길이 산정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06.01
  • Accepted : 2010.06.06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At present, many problems in traffic operation and safety occurs since there is no clear design criteria on designating the not-permitted entrance/exit section at curb areas within complex areas. Even, there is no specific and detailed researches on the not-permitted entrance/exit section by now. This research calculated the proper length of the entrance/exit section at curb areas by dividing the access not-permitted section into the two sections. First, the calculation of the entrance section was done by considering the location of crosswalks, stop line clearance, the queue length of vehicles approaching to second lanes, and marginal distance for safety have been considered. Second, the calculation of the exit section was don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of the entrance section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point and the distance considering the location of crosswalks, the behavior of exit vehicles and the length of vehicles. In conclusion, by presenting the proper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traffic operation and safety on the access not-permitted section within complex areas, it can be used as a traffic safety improvement alternative and will be contributed in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proper installation criteria for the access not-permitted section within complex areas.

현재, 단지 내 진출입 불허구간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명확한 설치기준이 없어 교통소통과 안전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나, 단지 내 진출입 불허구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여 합리적인 설계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지 내 진출입 불허구간을 진입부와 진출부로 분류하여 진 출입부 적정길이를 산정하였다. 진입부 적정길이 산정은 횡단보도 위치 및 정지선 이격거리와 2차로 진입차량 대기행렬 길이, 안전을 고려한 여유거리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였으며, 진출부 적정길이 산정은 횡단보도 위치 및 차량길이와 가로교차로 진출차량의 행태를 고려하여, 조사지점과 거리별로 진출부 차간간격을 비교 분석하여 산정하였다. 이와 같이 단지 내 진출입 불허구간을 대상으로 차량행태 조사와 교통소통 및 안전을 고려한 진출입 불허구간의 적정길이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단지 내 진출입 불허구간의 적합한 설치기준 및 운영에 이바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0)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
  2. 건설교통부(2008) 도로설계편람.
  3. 건설교통부(2008) 도로의 기준.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4. 경찰청(2008) 교통안전시설 실무편람.
  5. 국토해양부(2008) 도시계획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6. 김동녕, 신진철(2004) 우회전공용차로 운영 교차로의 횡단보도 적정위치 선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2D호, pp. 175-186.
  7. 도로교통안전협회(1993) 외국도로교통법규의 비교 분석 연구.
  8. 원제무, 최재성(2000) 교통공학, 박영사.
  9. 하태준, 박제진, 이형무(2003) 신호교차로 횡단보도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1권 제4호, pp.47-56.
  10. Denos C. Gazis (1997) Traffic Science, John Wiley & Sons, Inc.
  11. May, A.D (1990) Traffic Flow Fundamentals, Prentice Hall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