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ng a Load Limit on Heavy Vehicles in Flexible Pavements

아스팔트 포장구조체에 대한 중차량 제한하중 평가

  • 박성완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황정준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09.09.23
  • Accepted : 2010.01.05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a performance-based load zoning procedure in flexible pavements. Long-term performance in flexible pavements will be evaluated using VESYS type rutting model and Miner s theory on fatigue cracking. Permanent deformation properties such as alpha and gnu, and fatigue cracking properties such as k1 and k2 in asphalt concrete were used respectively. The data from the literatures were also used in predicting performance in flexible pavements for evaluating load restrictions as well as parametric study. Finally, a performance-based load zoning procedure and a simple load limit procedure for load zoning were assessed.

본 논문은 포장 공용성에 근거하여 연성포장체를 주된 대상으로 트럭의 하중제한을 하기 위한 방법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의 적용을 위하여 연성포장에 대한 장기공용성은 VESYS 형태의 소성변형 모형과 Miner 이론을 적용한 피로균열을 각각 활용하여 예측하였다. 소성변형은 Alpha와 Gnu와 같은 소성변형 모형상수를, 그리고 피로균열은 $k_1$$k_2$를 피로균열 모형 상수를 각각 적용하였고 기존 국내문헌에서 활용 가능한 범위에서 연성포장에 대한 하중제한 평가를 위한 공용성 예측 및 민감도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적절하게 활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에서는 공용성에 근거한 하중제한방법과 하중제한을 위한 간편한 제한하중법을 평가하여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4) 한국형 포장설계법 개발과 포장성능 개선방안연구, 1단계 3차년도 최종보고서.
  2. 건설교통부(2005) 아스팔트 포장체의 구조적 적정성 및 상태평가 시스템 개발, 건설기술혁신사업 최종보고서.
  3. 박희문, 최지영, 박성완(2005) 19mm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예측 모델 개발,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한국도로학회, 제7권, 제4호, pp. 1-8.
  4. Park, S.W. (2000) Evaluation of accelerated rut development in unbound pavement foundations and load limits on load-zoned pavements, Doctoral Dissertation, Texas A&M University.
  5. Fernando, E.G., Tseng, K.H., and Lytton, R.L. (1989) Flexible Pavement Analysis Structural System User Guide.,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 Texas A&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