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Flood Risk Index using causal relationships of Flood Indicators

홍수지표의 인과관계를 이용한 홍수위험지수 개발

  • 임광섭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 최시중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문장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Received : 2009.08.26
  • Accepted : 2009.12.08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is research presents a methodology to define and apply appropriate index that can measure the risk of regional flood damage. Pressure-State-Response structure has been used to develop the Flood Risk Index(FRI), which allows for a comparative analysis of flood risk assessment between different sub-basins. FRI is a rational assessment method available to improve disaster preparedness and the prevention of losses. The pressure and state index for flood at 117 sub-basins from the year 1980s until the t 10s showed proportional relations, but state index did not decrease even though response index increased. This shows that pressures for flood damage relatively exceed countermeasure for flood. Thus this means we need to strengthen design criteria for flood countermeasure in the future. The FRI is gradually going down in consequence of continuous flood control projects. Flood risk of Han River and Nakdong River area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Geum, Seumjin, and Youngsan River area.

본 연구에서는 치수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세부지표를 선정하여 유역별 치수 관련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세부지표를 P-S-R(Pressure-State-Response) 구성 체계로 구성하여 각 치수특성평가 지수인 압력, 현상, 및 대책 지수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들 지수를 통합하여 유역의 치수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홍수위험지수를 개발하였다. 1980년대 이후 2000년대까지 117개 중권역에서 산정된 홍수의 발생에 대한 압력지수와 피해의 현황지수는 비례관계로 나타났으나 대책지수의 증가에도 현황지수는 감소하고 있지 않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피해의 압력요인들이 홍수대응력을 초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홍수대책에서는 설계기준을 더욱 강화시킬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홍수위험지수는 지속적인 치수사업의 성과에 의해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있고 한강과 낙동강 권역이 금강, 섬진강 및 영산강 권역보다 상대적으로 홍수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수사업의 성과의 평가와 함께 유역 간 홍수의 상대적인 위험도를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여 치수 관련 정책 및 대책 수립에서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국토해양부.
  2. 국토해양부(2007) 물이용특성평가체계연구. 국토해양부.
  3. 국토해양부(2008a) 국가수자원관리지표. 국토해양부.
  4. 국토해양부(2008b) 치수특성평가체계연구. 국토해양부.
  5. 국토해양부(2009) 하천환경특성평가체계연구. 국토해양부.
  6. 김호석 등(2007) 환경평가와 지속가능발전지표 연계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7. 박태선 등(2005) 홍수피해특성 분석 및 홍수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국토연 2005-6, 국토연구원.
  8. 윤하연 등(1999) 인천광역시 환경지표의 개발과 적용.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99-13, 인천발전연구원.
  9. 이창희 등(2006)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연구. 연구보고서, 시정연 2006-R-37,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0. 임광섭, 이동률, 최시중(2008) 수자원정책지원을 위한 지수개발- 치수특성지수 중심으로.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53-60.
  11. 채미옥, 오용준(2003) 토지적성평가의 지표추출 및 지표별 가중치 분석방법 고찰. 대한지리학회 논문집, 대한지리학회, 제38권, 제5호, pp. 725-740.
  12. 최시중, 이동률(2005) 지속가능한 수자원 개발과 관리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9호, pp. 779-790.
  13. Bollin, C. and Hidajat, R. (2006) Community-based disaster risk index: pilot implementation in Indonesia. In: J. Birkmann, Editor, Measuring Vulnerability to Natural Hazards-Towards Disaster Resilient Societies, UNU-Press, Tokyo, New York, Paris.
  14. Connor, R.F. and Hiroki, K. (2005) Development of a method for assessing flood vulnerability. Water Science & Technology, Vol. 51, No. 5, pp. 61-67.
  15. Dilley, M., Chen, R.S., Deichmann, U., Lerner-Lam, A., and Arnold, M. (2005) Natural disaster hotspots. A global risk analysis. The World Bank, Hazard Management Unit, Washington, DC.
  16. Jenks, G.F. and Caspell, F.G. (1971) Error on choropleth maps: Definitions, measurement, and reduct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Vol. 61, No. 2, pp. 217-244. https://doi.org/10.1111/j.1467-8306.1971.tb00779.x
  17. Levy, M. (2001) Corruption and the 2001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In: Hodess, R. (Ed.) Global Corruption Report 2001. pp. 300-302. Berlin, Germany: Transparency International.
  18. Matthew S. Westfall and Victoria A. de Villa (2001) Urban indicators for managing cities: Cities Data Book, Asian Development Bank.
  19. OECD (1998)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OECD Expert Workshop.
  20. OECD (2001) OECD environmental indicators 2001-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21. TRIAMS (2006) TRIAMS working paper - Risk Reduction Indicators.
  22. UNCSD (2001) Indica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Guidelines and Methodologies.
  23. UNDP (2004) Reducing disaster risk: a challenge for development. New York, NY: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4. UNDP (2007) Fighting climate change: Human solidarity in a divided world
  25. UNEP (2000) Insight on common/key indicators for global vulnerability mapp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