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Iconography of the Twelve Zodiac Signs of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조선왕릉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의 도상(圖像) 원류와 전개 과정

  • Kim, Ji Yeon (Research Division of Artistic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김지연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09.11.03
  • Accepted : 2009.12.15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are the crystallization of history, ideology, culture, art, architecture, and ritual ceremony of Joseon dynasty, all mingled in one. So, they are very significant symbols showing 500 years of dynastic history as a whole. Among various factors comprising a royal tomb, stone figures surrounding grave mound are special factors as a symbol protecting it. Further among them, twelve zodiac images arrayed nearest to the grave mound represent the core of the function. Images of twelve zodiac signs originated from the tombs of the Unified Silla Kingdom are certain to hold important role and position in the construction of royal tombs, judging from huge scale and excellent sculptural art of them. However, both their scale and form had been gradually simplified in Goryeo and Joseon dynasty, thus the importance of them has been underestimated compared to other stone figures Images of twelve zodiac signs were very important factors which decorated royal tombs both as a protective role and as a concept of direction. Their historicity and symbolism cannot be neglected in that they had been transmitted to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images of twelve zodiac signs expressed in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are classified into 3 forms, and reviewed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m for each period.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3 forms ; civil vassals with human body and head, civil vassals with human body and head wearing hat decorated with zodiac animals, Chinese characters of either zodiac signs or either a combination of 10 calendar signs and 8 trigrams. The above 3 forms originated from China and became a favorite motif to decorate the royal tombs from early Joseon period until late Joseon by replacing each other and thus changing along the course of the dynasty. In the meantime, we can see a unique character in the images of twelve zodiac signs of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In some cases, 24 directions are expressed in which 10 calender signs and 8 trigrams are composed altogether. Images of twelve zodiac signs in the royal bombs of Joseon dynasty are very significant as evidences by which we can confirm uniqueness and tradition of Korean tomb system transmitted from Unified Silla period.

조선왕릉은 조선왕조의 역사, 이념, 문화, 미술, 건축, 제례 등이 종합적으로 융합되어 만들어진 결정체이며, 500년 왕조의 역사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산물로서 그 상징적 의의가 매우 크다. 왕릉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 중에서도 특히 능침 주변에 배치된 석물들은 능침을 수호하는 상징적 기능으로서 중요한 요소였으며, 그 중에서도 봉분 가장 가까이에 표현된 십이지는 그 기능의 가장 중심에 놓여져 있는 대상물이었다. 통일신라시대 능묘에서부터 시작된 십이지신상은 전해지는 규모나 뛰어난 조각수법으로 미루어 능묘 축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과 위치를 차지했었음이 확실하나,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왕릉에 이르러서는 규모나 형태에서 매우 간소화된 경향을 띠게 되면서 다른 석물들에 비견하여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다. 십이지신상은 무덤을 수호하는 역할과 방위의 개념으로서 능묘를 장식했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였으며, 시대별로 다양하게 변화되어 나타나며, 조선왕릉까지 그 전통성이 이어진다는 점에서 역사성과 상징성은 간과할 수 없다. 본고에서는 조선왕릉에 표현된 십이지 도상(圖像)을 크게 3가지로 형식 분류하여 그 원류와 시기별 전개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십이지 도상은 사람의 몸과 얼굴을 표현한 인신인수형(人身人首形), 관에 십이지 동물을 표현한 인신인수관형(人身人首冠形), 십이지와 십간 팔괘의 혼합 문자형으로 분류된다. 조선왕릉의 이 3가지 십이지 도상은 그 원류를 중국으로부터 볼 수 있으며, 조선 전기에서 후기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 교체되면서 왕릉을 장식하는 주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로서 애용된다. 조선왕릉 십이지신상은 통일신라 이래 이어온 우리나라 능제의 고유성과 전통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산 증거로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