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mative Stages of Establishing Royal Tombs Steles and Kings' Calligraphic Tombstones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능비(陵碑)의 건립과 어필비(御筆碑)의 등장

  • 황정연 (국립문화재 미술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09.06.27
  • Accepted : 2009.12.08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Korean royal tombs steles such as monumental steles and tombstone marks (神道碑, 表石) that are broadly fallen into the following three periods ; the 15~16th centuries, 17th~18th centuries, and 19th century. As a result, the royal tombs steles were built, unlike the private custom, on the heirs to the King's intentions. During the 15~17th centuries the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monumental steles took place. In the late Joseon period, monumental steles had been replaced with a number of tombstone marks were built to appeal to the king's calligraphy carved on stone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Great Empire Han(大韓帝國) when the Joseon state was upgraded the empire, Emperors Gojong and Sunjong devoted to honor ancestors by rebuilding royal tombstone mark. Based on these periodical trends, it would not be exaggerated that the history of establishing the royal tombs steles formed in late Joseon. The type of royal tombs monuments originated from those of the Three Kingdoms era, a shapeless form, the new stele type of the Tang Dynasty (唐碑) has influenced on the building of monuments of the Unified Silla and Buddhist honorable monuments (塔碑) of the Goryeo Dynasty. From the 15th century, successive kings have wished to express the predecessors's achievements, nevertheless, the officials opposed it because the affairs of the King legacy (國史) were all recorded, so there is no need to establish the tombs steles. Although its lack of quantity, each Heonneung and Jereung monumental steles rebuilt in 1695 and 1744 respectively, is valuable to show the royal sculpture of the late Joseon period. Since the 15th century,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tombs monumental steles has been interrupted, the tombstone marks (boulders) with simpler format began to be erected within the tomb precincts. The Yeoneung tombstone mark(寧陵表石), built in 1682, shows the first magnificent scale and delicate sculpture technique. Many tombstone marks were erected since the 1740s on a large scale, largely caused by King Yeongjo's announce to the honorific business for the predecessors. Thanks to King Yeongjo's such appealing effort, over 20 pieces of tombstone marks were established during his reign. The fact that his handwritten calligraphic works first carved on tombstones was a remarkable phenomenon had never been appeared before. Since the 18th century, a double-slab high above the roof(加?石) and rectangular basement of the stele have been accepted as a typical format of the tombstone marks. In front of the stele, generally seal script calligraphic works after a Tang dynasty calligrapher Li Yangbing(李陽氷)'s brushwork were engraved. In 1897 when King Gojong declared the Empire, these tombstone marks were once again produced in large amounts. Because he tried to find the legitimacy of the Empire in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and its four founding fathers in creating the monuments both of the front and back sides by carving his in-person-calligraphy as a ruler representing his symbolic authority. The tombstone marks made during this period, show an abstract sculpture features with the awkward techniques, and long and slim strokes. As mentioned above, the construction of monumental steles and tombstone marks is a historical and remarkable phenonenon to reveal the royal funeral custom, sculpture techniques, and successive kings' efforts to honor the royal predecessors.

본 논문은 조선 초 중기, 조선후기, 대한제국기 세 시기로 나누어 조선왕릉에 건립된 신도비와 표석의 시기별 건립추이와 양식적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왕실 능비(신도비와 표석)는 일반 사대부가와 달리 건립한 시기와 주체, 후계왕의 의도에 따라 시기별 차이를 보이며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15~17세기는 왕릉 신도비의 건립과 재건이 이루어진 시기, 18세기는 신도비가 표석으로 대치되어 다수 건립되었고 국왕의 어필을 직접 돌에 새긴 어필비가 처음으로 등장한 시기이며 대한제국기는 황제국으로 격상됨에 따라 조선 개국자인 태조와 왕후, 선조들에 대한 추숭(追崇) 사업이 활발해지면서 표석 중건이 이루어진 시기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다면, 결국 우리나라 능비의 역사는 조선후기를 기점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해도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왕릉 신도비의 형식은 삼국시대의 부정형한 석비의 초보적인 형태에서 벗어나'귀부이수'형의 당비(唐碑) 형식을 수용한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 말 탑비의 퇴화된 양식에서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15세기 건립 당시부터 선왕에 대한 숭모 예를 표현하고자 하는 국왕과 왕의 치적이 국사(國史)에 모두 기록되어 있으므로 신도비를 별도로 세울 필요가 없다는 신료들의 입장이 대치되면서 건원릉 제릉 헌릉 구 영릉 4곳에만 건립된 채 왕릉에는 한동안 석비가 건립되지 않았다. 신도비 건립이 중단된 이후 17세기에 이르러 왕릉에 아무런 표(表)를 해 둘 수 없다는 의견이 제기됨에 따라 형식이 간소한 표석이 건립되기 시작했으며, 1682년 작 영릉(寧陵)의 표석은 최초로 왕릉에 건립된 표석이자 장대한 규모, 섬세한 조각기법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왕릉의 능표는 영조 재위 기간인 1740년대부터 대규모로 건립되었다. 열성(列聖)에 대한 추숭과 어필간행 등을 통해 자신의 왕위 계승의 전통성을 공표하고자 했던 영조는 제릉의 신도비를 재건하는 한편, 의릉(懿陵)을 비롯하여 총 20곳에 달하는 곳에 표석을 세우는 역사(役事)를 추진했고, 처음 친필 글씨를 돌에 새긴 어필비를 제작하기에 이르렀다. 이 시기 어필비 제작 현상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후 소실된 어필을 보존하려 한 숙종의 신념을 계승한 영조에 의해 제도적으로 추진되면서 어필을 새긴 능비가 등장한 배경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시대사적으로 주목할만하다. 이러한 표석은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다시 한번 다량 제작된 시기를 맞이하게 된다. 특히 고종은 대한제국의 정통성을 태조의 조선 건국에 두고 태조와 그 4대 선조에 대한 추숭과 기념물 제작에 심혈을 기울였고 전면과 후면 모두 자신의 글씨로 채움으로써 역대 어느 왕보다 통치자로서 권한을 상징적으로 드러내었다. 이상 언급한 왕릉의 신도비와 표석의 건립 추이는 동시대 원 묘에 건립된 신도비, 표석과 비교 고찰을 통해 시대별 특징과 왕실 조각품으로서 성격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