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ructual Restoration on Gyeongju-Style Piled Stone-Type Wooden Chamber Tombs

경주식 적석목곽묘의 구조복원 재고

  • 권용대 (울산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과)
  • Received : 2009.07.28
  • Accepted : 2009.09.10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definition of the structure of wooden chamber tomb(piled stone-type) is as follows. It is a tomb with wooden chamber, and stones were piled on top of the wooden chamber, and then a wooden structure was placed on top of the piled stones, and more stones were piled on top of the wooden structure, and sealed with clay. Of course this definition can vary according to periods, the buried, etc. Gyeongju-style piled stone type wooden chamber tombs have some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compared to general definition of piled stone type wooden chamber tombs. Outside the wooden chamber, either stone embankments or filled-in stones were layed out, and pilet-in stones are positioned right above the wooden chamber, and almost every class used this type, and finally, it is exclusively found in Gyeongju area. First generations of this Gyeongju-style piled stone type wooden chamber tombs appeared in first half of 5th century. These tombs inherited characteristics like ground plan, wooden chamber, double chamber(inner chamber and outer chamber), piled stones,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piled stones, from precedent wooden chamber tombs. However these tombs have explicit new characteristics which are not found in the precedent wooden chamber tombs such as stone embankments, wooden pillars, piled stones(above ground level), soil tumuluses. stone embankments and wooden pillars are exclusively found on great piled stone type above-ground level wooden chamber tombs such as the Hwangnamdaechong(皇南大塚). Stone embankments, wooden pillars, piled stones(above ground level) are all elements of building process of soil tumuluses. stone embankments support outer wall of above-ground level wooden chambers and disperse the weight of tumuluses. Wooden pillars functioned as auxiliary supports with wooden structures to prevent the collapse of stone embankments. Piled stones are consists of stones of regular size, placed on the wooden structure. And after the piled stones were sealed with clay, tumulus was built with soil. Piled stones are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reflects the environment of Gyeongju area. Piled stone type wooden chamber tombs are located on the vast and plain river basin of Hyeongsan river(兄山江). Which makes vast source of sands and pebbles. Therefore, tumulus of these tombs contains large amount of sands and are prone to collapse if soil tumulus was built directly on the wooden structure. Consequently, to maintain external shape of the tumulus and to prevent collapse of inner structure, piled stones and clay-sealing was made. In this way, they can prevent total collapse of the tombs even if the tumulus was washed away. The soil tumulus is a characteristic which emerges when a nation or political entity reaches certain growing stage. It can be said that after birth of a nation, growing stage follows and social structure will change, and a newly emerged ruling class starts building new tombs, instead of precedent wooden chamber tombs. In this process, soil tumulus was built and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tombs differ according to the ruling class. Ground plan, stone embankments, number of the persons buried alive with the dead, quantity and quality of artifacts reflect social status of the ruling class. In conclusion, Gyeongju-style piled stone type wooden chamber tombs emerged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precedent wooden chamber tombs when Shilla reached growing stage.

적석목곽묘는 목곽 외부에 석재를 쌓거나 채운 다음 목개 위에 일정한 두께로 적석하고 점토로 밀봉한 구조이다. 경주 중심부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 거의 모든 지배자가 지속적으로 한 묘제를 사용하였다는 점, 타 지역에서 확인되는 적석 형태와 전혀 다르다는 점 등에서 경주식 적석목곽묘로 정의하고자 한다. 적석목곽묘는 경주 중심부에서 5C 전반대부터 축조되기 시작한다. 평면형태, 목곽, 이중곽, 석재충전, 석단, 순장 등은 이전시기의 목곽묘에서 계보를 잇고 있다. 이외에 석축과 목주, 적석, 성토분구는 적석목곽묘의 출현과 함께 새롭게 나타나는 요소이다. 특히 석축과 목주는 황남대총을 비롯한 지상식 초대형분에서만 확인된다. 석축과 목주, 적석은 모두 성토 분구 축조과정 속에서 하나의 공정을 이루고 있다. 석축은 지상에 설치된 목곽의 외벽을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면서 성토 분구의 하중을 분산 수용한다. 목주는 석축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보조장치로서 횡가목, 버팀목 등과 함께 사용되었다. 적석은 일정 크기의 석재를 갖고 일정한 두께로 목개 상부에 덮었다. 그리고 그 위에 점토로 밀봉한 다음 분구를 성토하였다. 적석은 경주지역의 입지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경주 중심부의 적석목곽묘는 하천부지가 넓고 평탄한 형산강 동안을 따라 분포한다. 기반층은 대부분 모래와 냇돌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성토분구는 모래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목개를 횡가한 다음 바로 성토할 경우 유수에 의한 붕괴 가능성 또한 크다. 고분의 외형을 유지하면서 내부구조물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석과 점토밀봉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상부의 봉토가 유실되더라도 하부의 적석은 형태를 어느 정도 유지할 것이기 때문이다. 성토분구는 국가 혹은 단위정치체가 성장단계에 진입하면서 나타나는 하나의 특징이다. 국가 출현단계 이후 성장단계에 진입하면서 사회구조에 변화가 나타나고 이와 맞물려 새롭게 출현한 지배등급에서 전대의 목곽묘와는 다른 적석목곽묘를 축조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과정에서 분구를 함께 성토한 것으로 파악되며, 지배등급의 성격에 따라 규모와 구조에서 차이를 보인다. 평면형태, 곽과 석단, 순장자의 수, 유물의 양과 질 등은 지배등급의 사회적 지위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적석목곽묘는 신라가 성장단계에 접어든 시점에 전대의 묘제로부터 분화 발전된 양상을 보이면서 나타난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