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거수 활력 측정 및 내부 부후 검출을 위한 비파괴검사법

Nondestructive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Internal Decay and the Vitality Measurement of Old-Giant Trees

  • Gao, Yuliang (Dept. of Plant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a, Byeong Jin (Dept. of Plant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8.12.04
  • 심사 : 2009.03.19
  • 발행 : 2009.05.29

초록

노거수에 큰 피해를 주지 않고 나무의 활력과 내부 부후도를 알아내는 방법에는 목질부의 전기저항치 측정, 음파전달속도 측정(초음파 측정법), 미세천공저항력 측정, 자외선의 이용 등 몇 가지 방법이 있다. 이 중 초음파 측정법은 나무에 전혀 상처를 남기지 않으며, 굵기가 매우 굵은 나무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방법들보다 더 뛰어나다. 그러나 초음파측정기는 아직까지 많이 보급되어 있지 않으며 값이 비싼 것도 단점이다. 반면에 식물조직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Shigometer는 나무의 활력이나 내부 부후 여부를 진단하는 데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이며 매우 정확한 결과를 얻게 하여 준다. 나무의 활력은 형성층의 전기저항치로써 알 수 있으며, 내부의 부후여부는 목질부의 전기전도도를 보고 알 수 있다. 형성층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나무의 활력을 판정하고자 할 때는 판정하고자 하는 것과 같은 수종을 적어도 수 십 그루 이상 미리 조사하여 표준식(standard equation)을 만들어 두어야 한다. 나무의 전기저항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들은 모두 포함하여야 하며, 특히 수종과 나무의 크기, 온도 요인들은 필수적이다. 현재 우리가 보호하여야 할 노거수의 수종들에 대한 표준식을 만들어 놓는다면 필요할 때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특정 나무의 형성층 전기저항치를 정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조사하면 누적된 조사치들과 비교하여 나무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부후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목질부 전기저항 측정에서는 표준식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수종별로 건전한 목질부 전기전도도를 확인해 두어야 하며, 줄기의 굵기가 굵을 때는 초음파 측정기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Nondestructive methods to check the vitality of trees and to find out internal decay of old-giant trees include the use of electrical resistance, ultrasound transmission time, microdrilling, and infrared thermography etc. Among these, ultrasound transmission offers some advantages compared to others such as it is an entirely nondestructive detection method and it can be applied to very big trees. However, the ultrasound equipment is comparatively expensive and not broadly spread yet. On the other hand, Shigometer is versatile to be applied to check vitality of the tree and find out internal decay. Electrical conductivity of plant tissues is a very useful characteristics to determine the vitality and internal decay of trees. Electrical resistance of cambial area tells about the vitality of a tree and electrical resistance of heartwood reveals discoloration or decay of it. For determination of the vitality of the tree, the standard equation for calibration of measured electrical resistances should be developed by measuring and analyzing electrical resistance from at least 30-40 trees of the same species with that tree. All the factors, especially tree species, diameter of the stem, and temperature, which can altered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re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equation. If the standard equation is developed for old-giant trees that we should conserve, it will be very useful. In addition, periodical and continued measuring of a certain tree will help to determine the condition of the tree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with accumulated data of the tree. Measuring electrical resistance of wood might not require the standard equation. But it also needs to check electrical resistance of sound wood of the same tree species. If the stems that should be examined is thicker than 40cm, it is better to use the ultrasound measurement combined to Shigomet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