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auropod Tracks and Trackways from the Cretaceous Kyokpori Formation, Buangun, Jeollabukdo

전라북도 부안군 백악기 격포리층에서 산출된 용각류 발자국 화석과 보행열

  • Kim, Kyung Soo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Jeong Yul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ong, Dal Yo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김경수 (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 김정률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공달용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08.12.01
  • Accepted : 2009.04.01
  • Published : 2009.05.29

Abstract

Total 57 sauropod tracks are found from the Cretaceous Kyokpori Formation in the Buangun, Jeollabukdo, Korea. Six sauropod trackways in second stratigraphic level of three stratigraphic levels were recognized and described. The type of sauropod trackways is a wide-gauge trackway which has been generally in Cretaceous sauropod trackways. On the basis of foot length, trackway orientations, and preservation, all of the tracks are thought to have been made by small sauropods moving not only towards and away from the shoreline but also along the shoreline of lacustrine environment.

전라북도 부안군 격포 지역에 분포하는 중생대 백악기 격포리층에서 총 57개 이상의 용각류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다. 용각류 화석이 발견되는 층준은 모두 3개이며, 그 중 제2층준에서 6개의 보행렬을 기재하였다. 용각류 보행렬은 중생대 백악기에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좌우 발자국 간격이 넓은 wide-gauge trackway에 해당한다. 발자국 화석의 길이, 이동 방향 및 보존 상태를 근거로 할 때, 모두 소형 용각류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서로 다른 시기에 과거의 호수를 오가는 것 뿐만 아니라 호숫가를 따라 거닐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