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Malting Barley Variety, "Daho" with High Yielding and BaYMV Resistance

맥주보리 호위축병저항성 및 다수성 "다호"

  • 현종내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김미정 (국립식량과학원 전작과) ;
  • 김양길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이미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최재성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김현태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한상익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고종민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임시규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박종철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김정곤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서세정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 작물센터) ;
  • 김대호 (경남농업기술원) ;
  • 강성주 (전남농업기술원) ;
  • 김성택 (제주농업기술원)
  • Received : 2009.08.31
  • Published : 20090900

Abstract

A new malting barley variety, "Daho",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Milyang85 and Suwon335" at the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DRWCC) NICS, in 2007. An elite line, YMB2064-B-8-2-4-1-1, was selected in 2004 and designated as "Milyang134". It showed good agronomic performance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RYT) from 2005 to 2007 and was released with the name of "Daho", having high yielding and BaYMV resistance. The average heading and maturing dates of "Daho" were April 19 and May 27, which were 2 days later and 1 day earlier than those of "Jinyang", leading variety, at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RYT), respectively. "Daho" had longer culm length (84 cm), more spikes per $m^2$ (915) and higher 1,000 grain weight (39.2 g) than those of "Jinyang" in paddy field condition. "Daho" was showed resistance to BaYMV at the regions of Naju, Jinju, and Milyang but moderately resistance at Iksan. However, the response of "Daho" to other environmental stresses was similar to "Jinyang". The yields of "Daho" at upland and paddy fields were about 5.20 MT/ha, 4.81 MT/ha, respectively, which is about 38%, 25% higher than those of "Jinyang"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RYT), respectively. It has higher grain assortment, germination capacity, water sensitivity and Kolback index but lower malt extract, diastatic power and filtration speed than those of "Jinyang".

"다호"은 맥주보리 고품질 내재해성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1997년에 작물과학원에서 대립이면서 색택이 양호한 밀양 85호를 모본으로 하고 바이러스저항성인 수원 335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1 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2007년 12월에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 위원회에서 "다호"이라 명명하여 맥주보리 호위축병저항성 중간모본으로 국가품종보호출원 하고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다호는 2조형 맥주보리로서 출수기와 성숙기가 빠른 중생종이며 호위축병은 진주, 나주, 밀양에서는 저항성이며 익산에서는 중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다호는 천립중과 정립율이 무거운 대립종이며 발아세(율)이 높으며 수량성은 제주에서 ha당 5.20톤으로 진양보리 대비 38%증수하였고 익산, 진주, 나주의 3개 답리작 지역 평균에서는 ha당 4.81톤으로 진양보리 대비 25% 증수한 다수성 품종이었으며 단백질 함량이 낮고 발아세가 높고, 맥아수율, 신장도, 가용성 단백질, 콜박지수는 높았고 여과시간은 짧았으며 Friability, 당도, 추출율, 효소력가는 낮았다.

Keywords

References

  1. Bauer, E. J. Weyen, A. Schiemann, A. Graner and F. Ordon. 1997. Molecular mapping of novel resistance genes against Barley Mild Mosaic Virus (BaMMV). Theor Appl Genet 95:1263-1269 https://doi.org/10.1007/s001220050691
  2. So, I. Y., Lee, K. J. and Cheong, S. S. 1988. Identification of barley yellow mosaic virus and physio-ecological consideration on its vector. Res. Rept. RDA 31:117-126
  3. 서세정, 최창휴, 김정곤, 이종호, 정정호, 박희주, 남창조, 김대호, 이은섭, 박문웅, 하용웅. 1994. 맥주 보리 조숙, 양질, 다수성 신품종 '진양보리'. 한국육종학회지 26권 4호:458-458p
  4. 박종철, 서재환, 김양길, 김정곤. 2005. Occurrence of Viral Diseases in Barley Fields and Responses of Resistant Genes to BaYMV-Ik and BaMMV). 한작지 제50권3호, pp. 197-204
  5. 신품종 개발 공동연구 보고서. 2005. 농촌진흥청. pp. 65-79
  6. 신품종 개발 공동연구 보고서. 2006. 농촌진흥청. pp. 5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