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ection of Wiches' broom (Taphrina weisneri) to the Prunus yedoensis along the 5.16 Road in Jeju Island

제주도 5.16도로 주변 왕벚나무 빗자루병 발병 실태

  • Kim, Chang-Jo (Faculty of Bio-Science and Industry, Cheju Nat'l. Univ.) ;
  • So, In-Sup (Faculty of Bio-Science and Industry, Cheju Nat'l. Univ.) ;
  • Huh, Moo-Ryong (Dept. of Applied Life Science, Gyeongsang Nat'l. Univ.)
  • 김창조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
  • 소인섭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
  • 허무룡 (경상대학교 농생명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09.05.04
  • Accepted : 2009.06.20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measure the extent of damage for Witches' broom of cherry trees planted as street trees along the 5.16 road around the Halla Mounta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effective measures to prevent the infection of witches' broom. Among the cherry trees examined, almost all the trees of 40 years or over were severely infected. Those around 30 years old were infected as well, though they showing medium level of disease symptoms. However, cherry trees of less than 23 years were observed to be healthy without showing any symptoms. Cherry trees spontaneously growing within 30m width of the 5.16 road in the section from Sanchondan to Kyunwolak were less severely infected by Witches' broom (Taphrima waesneri), 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by tree age.

빗자루병에 의하여 심각하게 이병된 제주도 5.16도로의 왕벚나무 가로수들에 대하여 피해 상황과 이병 발병 원인을 생태적으로 밝히고 그에 따른 방제 대책을 마련키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왕벚나무 가로수 중 45년생 이상의 노거수들은 거의 모두가 심각한 정도의 빗자루병에 감염되었으며, 30년생 역시 모든 나무들이 감염되었으나 중간 정도의 발병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수령이 23년생 미만의 왕벚나무들은 병징을 찾아볼 수 없는 건전주로 생장하고 있었다. 3년 주기로 전정 작업을 실시한 제주대학교 입구에 식재된 왕벚나무에서는 도로변 남쪽면의 나무들이 북쪽면에 비해 병 발생이 심하고 생육 또한 저조하였다. 병 발생이 심각한 산천단으로부터 견월악까지의 횡단로 좌우 인근 30m내에 자생하는 벚나무들은 수령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병 발생이 경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Bailey, L. H. and E. Z. Bailey. 1976. Prunus L. A concise dictionary of plants cultivated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Macmillan Pub. Co, New York 918-921.
  2. Cronquist, A. 1981. An inter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126-153
  3. Hotta M., K. Dgata, A. Nitta, K. Hosikawa, M. Yanagi, and K. Yamazaki. 1989. Prunus L. Useful plant of the world. Heibonsha Ltd. Pub. 854-867
  4. Mabberly, D. J. 1987. Prunus L. The plant-book, A portable dictionary of the higher plant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478-479.
  5. Ohashi, N., M. Nomobe, K. Itoh, and M. Yasue. 1984. Extracties of Prunus yedoensis affected with witchs' broom disease. Kitaku Univ., Agticultural Research 49: 109-117.
  6. Park, M. K. 1965. A histologica servey on the Prunus yedoensis in Korea. Kor. J. Bot. 8: 12-15.
  7. 김경희. 2002. 벚나무 빗자루병. 한국산림과학연구원 산림과학정보 200: 18-19.
  8. 김영하. 2008. 벚나무 빗자루병 감염목대거발견. 이슈 제주 4월14일 AM 13: 01-30.
  9. 김찬수. 1997.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왕벚나무. http//:blog.naver.com/hoony603/ 110040381680.
  10. 나용준, 이덕재. 1984. 빗자루병에 감염된 대추나무 조직내의 마이코플라스마 분포. 한국임학회지 67: 28-30.
  11. 나용준, 신현동. 1980. 옥시테트라사이클린에 의한 오동나무 빗자루병 방제. 한국임학회지 49: 6-10.
  12. 박병익, 김영호. 1984. 붉나무 빗자루병에 관한 연구 (II)-녹지접에 의한 전염. 전북대 농대논문집 15:33-35.
  13. 박원철, 나용준. 1993. 옥시테트라싸이클린의 수확 후 수간 주입에 의한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 한국임학회지 82: 12-16.
  14. 한상헌, 이태순, 임태헌. 2007. 소나무 빗자루병 발생 및 접목에 의한 전염. 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 38: 2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