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flection on the education of Confucian classics

유교경전교육(儒敎經典敎育)을 위한 반성적(反省的) 고찰(考察)

  • Received : 2009.02.09
  • Accepted : 2009.03.07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is papers focuses on the Confucian classics for the correct orientation of education as a basic task of the Confucian classics will as a necessary whether the need for education, to identify the natural history study will attempt to have. In East Asia means that classics, the classicalization process of looking at Chinese culture, classicalization of review of the cultural meaning. And this papers focuses o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education, and education in China and Korea in the modern world the meaning of the Confucian classics education about and looked at two dilemmas. And outside the scope of Confucian five ethical thoughts as main moral to find new values and new interpretations about the legitimacy and philosophical thinking of the meaning of the Confucian classics Educat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to the new Confucian classics on the subject of three applies to the existing approach and to propose a new type of comparison?Review. As primitive Confucian classics is not determined by a priori, the modern understanding of the Confucian classics also thorough review process of reflection and understanding the new system will have to be reconfigured. Furthermore, in the richness of modern society as the training method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relevant content for the modern society that values education's development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this respect, should not be overlooked here is not about education, the effect of Confucian classics is concerned about the review. To this, first of all the Confucian classics need education about the content and strict screen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ability to function in modern society, modern reinterpreted and the need to find a new educational element is. Because we did not give a realistic benefits and future view and any history or civilization, is always disappear in history. This series of problems will be a reason of require that philosophical thinking of Confucian classics education.

본고는 유교경전교육의 올바른 방향설정을 위한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유교경전교육의 필요성이 과연 당위적인 것인가, 혹은 자연적인 것인가를 규명하기 위해 역사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즉 동아시아에서 경전(經典)의 의미, 중국문화의 경전화(經典化) 과정을 살펴보고, 경전화(經典化)의 문화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또한 한국 유교경전교육의 역사적 전개과정 및 현대사회에서 유교경전교육의 의미와 두 가지 딜레마에 관해 살펴보았다. 끝으로 유교의 핵심윤리인 오륜(五倫)의 범위를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발굴해야 하는 정당성 및 유교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의의, 그리고 유교경전교육의 반성적 고찰의 의미에 관해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새로운 유교경전교육 컨텐츠 개발을 위해 세 가지 주제에 관한 기존의 접근 방법과 새로운 적용 방안을 제언형식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최초의 유교경전이 선험적(先驗的)으로 결정되지 않았듯이 현대의 유교경전에 대한 이해 역시 철저한 검토 종합 반성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체계로 이해 및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현대사회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서 관련 컨텐츠의 개발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에 맞는 가치들을 발굴 계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여기에서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이 바로 유교경전교육에 대한 유용성[효과]에 대한 면밀한 검토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유교경전교육 컨텐츠에 대한 엄정한 선별작업이 필요하며, 아울러 이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과 현대사회에서 기능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적 요소들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현실적 효용과 미래적 전망을 내놓지 못한 어떠한 사상이나 문명은 언제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기 때문이다. 바로 이러한 일련의 문제들이 현대 유교경전교육의 반성적 고찰이 필요한 이유가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