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riticism about Neo-Confucianism and progressive Thought of Fu-Shan(傅山)

부산(傅山)의 리학(理學)비판과 개혁사상

  • 황병기 (연세대 강진다산실학연구원)
  • Received : 2009.11.30
  • Accepted : 2009.12.18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Fu-Shan(傅山, 1607~1684) was a progressive actualist between the late Ming(明) dynasty and the early Qing(淸) dynasty. He regards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as scarecrows leaned on the empty and exaggerative moral philosophy which the neo-confucian of Song(宋) dynasty established. He thinks that the neo-confucian discussion cause harmful side effects, disregarding the utility side and the variety of the actual world. His thought becomes known all in political thought and literature. He asserts that the neo-confucian ideas provides the logical frame which regulates the actual world and creates a kind of absolute moral ideology. Therefore he insists that the Saint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consequently is the social reformer and revolutionist who exposes the irrational elements of society. He insists that literature also must be able to express vividness of the actual world. He thinks that genuine literature must have creative contents and find one's own free wild way. He asserts that old literary style from the mimicry is the act which goes against human natural. He thinks that the writing must be able to express the actual world.

부산(傅山, 1607~1684)은 명말청초에 매우 현실참여적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부산이 바라보는 당대의 지식인들은 정주(程朱)의 빈껍데기에 의지하여 도학선생이라고 허풍을 떨면서 자리만 지키고 있는 허수아비들이었다. 그는 리(理)와 기(氣), 성(性)과 정(情) 등만을 논의하는 것은 현실세계의 활발한 실용적 측면을 도외시한 채 추상적 사유에만 머물게 하여 현실 세계의 다양성을 무시하는 부작용을 낳는다고 보았다. 부산의 이러한 사유는 정치사상이나 문학론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그는 기적 세계보다 먼저 그것을 규제하고 통제하는 리가 존재한다는 송명 리학(理學)의 주장은 일종의 도덕적 이데올로기를 창출하여 봉건적 전제주의를 이론적으로 합리화하는 논리 틀을 제공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부산에게 있어 성인은 이러한 사회의 불합리한 요소를 척결하는 사회 개변가이며 혁명가였다. 부산은 문학도 활발발한 기의 세계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자유분방한 광(狂)의 경지, 창조적인 경지가 진정한 문학이라고 보았다. 옛 문체나 흉내내면서 고답적인 작문을 하는 것은 천기(天機)의 자연스러움을 거스르는 행위였다. 글은 변화무상한 활발발한 세계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