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 of moral leadership in the Great Learning

『대학(大學)』의 수신적(修身的) 지도자론(指導者論)

  • Received : 2009.03.11
  • Accepted : 2009.03.14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theory of moral leadership in the Great Learning. There are two fundamental contents in the elements of moral leadership's human nature in the Great learning. These are meaning of general principle(綱領指趣) - studying, self cultivation and social authority from rectifying name, and category of concrete learning(學問綱目) - the scheme of manifesting original nature (明德之方) and the scheme of loving the people(親民之方). In this, there are two principles. One is the principle of stage. In the theory of moral leadership of the Great learning, there are stages from self-cultivation to making the world tranquil. The other is the principle of stop at the highest good in manifesting nature and loving the people. In the meaning of general principle, moral leader must have good nature that he or she preforms his or her original nature and accomplishes self-cultivation. For this he or she must learn and study, and endeavors self-polishing. In the category of concrete learning, at first, in the scheme of manifesting original nature, there are investigation things-extending knowledge and making the will sincere-rectifying the mind as the pre conditions of the self-cultivation, and moral leader must carry out harmonization peoples and accomplishing public morals as the result of self-cultivation. The harmonization people means that everyone has equal position and lives with each other in harmony In the scheme of loving the people, there are the connected ethics of self cultivation-regulating the family(修身齊家) and the connected ethics of regulating the family-ordering the state(齊家治國) by effect of self-cultivation.

"대학(大學)"에서는 오늘날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수신적(修身的)[도덕적(道德的)] 리더쉽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먼저 강령(綱領)의 지취(指趣)로써 도덕적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인성(人性)으로 두 가지를 들고 있는데, 그것은 첫째, 본성을 완성하고 자수(自修)를 완성한 사람이어야 한다. 두 번째는 사회의 구성원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각자 맡은바 일을 하면서 정명(正名)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권위체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대학(大學)"의 수신적 지도자론에서는 단계와 연계 윤리가 있다. 그것은 수신으로부터 평천하의 단계적 발전이 있고, 또한 제가를 수신하듯이 하는 수신제가의 연계 윤리, 치국을 제가하듯이 하는 제가치국의 연계 윤리 등이 성립한다. 둘째로, 지어지선(止於至善)의 원칙이 있다. 그것은 명명덕(明明德)과 친민(親民)을 최고의 선에까지 이르게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대학(大學)"에서 말하는 도덕적 지도자가 이러한 인성을 갖추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수행해야 할 두 가지의 학문강목(學問綱目)이 있는데, 그것은 크게 명덕지방(明德之方)과 친민지방(親民之方)의 두 단계의 공부라 볼 수 있다. 명덕지방(明德之方)에는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의 수기(修己)의 전제조건이 있는데, 격물치지(格物致知)란 도덕적 지식을 극에 이르게 하는 것이고, 성의정심(誠意正心)이란 자겸과 위선거악의 공부가 말할 수 있다. 명덕지방에는 또한 수신의 결과라 볼 수 있는 화민성속(化民成俗)의 평천하(平天下)가 있다. 화민(化民)은 사회 구성원 간의 화합과 평등, 정의의 실현을 말하고, 성속(成俗)은 혈구(?矩)의 도(道)로써 백성을 사랑할 것, 민심을 얻을 것, 덕(德)을 갖출 것, 충신을 실천하는 선인(善人)이 될 것, 생재(生財)의 도(道)를 이룰 것, 인(仁)을 실천할 것 등의 내용이 있다. 다음으로 다른 하나의 학문강목(學問綱目)은 친민지방(親民之方)이다. 친민지방은 수신의 공효로 나타나는 것으로, 여기에는 효제자(孝弟慈)의 수신제가(修身齊家) 연계 윤리와 충경치(忠敬治)의 제가치국(齊家治國)의 연계 윤리가 그 주된 내용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