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관광종사원의 인턴십 평가가 취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Internship Evaluation Factors on the Employment Competitiveness

  • 발행 : 2009.10.31

초록

현재 현장에서 종사하고 있는 정규직 종사자들의 입장에서 인턴십 평가를 통한 인턴십 과정생들이 얻을 수 있는 잠재적 편익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교육자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인턴십 교육방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서는 본 연구가 각각의 이해집단에게 인턴십 교육의 운용을 마케팅적 사고로 전환하여 교육 소비자 즉, 학생과 산업체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교육체계로 변신함으로써 급변하는 교육환경속에서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첫째, 인턴십 평가요인으로 규율성, 적극성, 기술력, 업무수행능력, 과제물, 탐구력, 지식성, 협조성, 이해력 등으로 평가요인임을 규명하였다. 둘째, 인턴십 평가요인은 인턴십 교육효과(적극성, 탐구력, 규율성) 및 취업경쟁력(규율성, 적극성, 협조성)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산업체에서는 학습능력보다는 조직과 융화할 수 있는 인재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circumstances of the regular employees in th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intern employees improve the competitiveness in getting jobs. Therefore, it aims to provide basic direction on the education of intern employees.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the new education system for intern employees in which the opinions of both students and industry are reflected. Additionally, we hope to help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ravel industry under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like the followings; First, evaluation factors of internship include self-discipline, positiveness, technology, the capability to conduct the given job, reports, the intensity of inquiry, knowledge, cooperation and the understanding. Second, evaluation factors of internship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internship education(positiveness, the intensity of inquiry, discipline) and the decision making of job finding(discipline, positiveness, coope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다원, "관광관련부문의 산학협동 현장실습 활성화 방안", 제주관광대학논문집, 6권, pp.437-455, 2000.
  2. 권학만, "기업의 재용패턴 변화에 따른 취업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3. 김순남, "예술경영교육기관의 인턴십프로그램 운영방안", 석사학위논문,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2.
  4. 김형옥, "학급 홈페이지를 이용한 현장실습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5. 박정민, 이규식, "현장실습교육 효율성 제고 방안 연구", 경북전문대학논문집, 제25권, pp.73-94, 2007.
  6. 서채원. "비서학과 현장실습교육에 관한 연구: 인턴십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7. 이봉석, "전문대학 관광과 현장실습 운영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경주전문대학논문집, 제6권, pp.29-54, 1993.
  8. 이용철, 윤기열, 채예병, "호텔 외식사업부 인턴십 교육프로그램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제관광산업연구, 1권 2호, pp.171-191, 2009.
  9. 최경숙, "박물관 미술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정규교과 과정과 인턴십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10. 최종인, "현장실습을 통한 취업률 제고 방안", 삼척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제6집, pp.63-74, 2000.
  11. 최종태, 인사관리, 박영사, 1998.
  12. Forrest. A, Knapp, J. E. & Pendergrass, J., "Tools and Methods of Evaluation", In M. T. Keeton(Ed.). Experiential Education. San Francisco: Jossy-Bass, 1977.
  13. Johnston, W. B., & Packer, A. H., "Workforce 2000: Work And Workers for The 21St Centur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90887. Indianapolis: Hudson Institute,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