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zation of inorganic materials in industrial waste and RDF using SEM-EDS

SEM-EDS를 이용한 산업단지폐기물과 고형연료의 무기 성분 규명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Recently,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the new recyclable energy becomes urgent because of the depletion of fossil fuel and strengthening the environmental regulation. To recovery from the waste out of the many new recyclable energies has been proved as the most favorable when the potential value of energy source is compared. The RDF from the waste has been approved as the most economical method out of the other methods. However, the toxic gases (HCl, Dioxin etc) and heavy metals generated during the burning of the industrial wastes have been pointed out as problems. The PVC, alkali metal chloride, and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 are major materials for emitting the chlorine and chlorine compounds have the problem such as the erosion on the heat collection device.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heavy metal components containing in the industrial waste, and the concentration of Cl and S in the industrial waste generated in B industrial complex are slightly high than that of the A industrial complex. The results can be used to discuss the origin of inorganic components in industrial waste and utilized as a base data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RDF as fuel.

최근 화석에너지 고갈과 환경규제 강화로 신 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이 시급해지고 있다. 여러 가지 신재생 에너지 중 폐기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에너지원의 잠재적 가치를 비교하였을 때 가장 유망한 에너지원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폐기물을 고체연료로 가공하는 고형연료가 현실적이고 가장 경제적인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산업폐기물의 종류별 연소 시 발생되는 유해가스(HCl, Dioxin 등)와 중금속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PVC, alkali metal chloride,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 등은 Cl을 발생시키는 대표적 물질이며, Cl는 열회수 장치의 부식과 같은 문제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는 두지역의 산업단지에서 고형연료의 재료가 되는 산업폐기물에 미량 존재하는 중금속 성분을 분석하였으며, Cl과 S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B산업단지의 농도가 A산업단지의 농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폐기물의 발생원과 연료로서의 RDF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동수, 이종석, 곽현, 배성렬, "폐기물 고형연료(RDF)의 연소 특성", J.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22, No. 1, 101-112, 2005.
  2. 배성근, "특집 최신 소각기술의 현황과 전망(1), 도시 쓰레기와 하수슬러지의 혼합소각기술, Journal of Korea Solid Wastes Engineering Society, Vol. 18, No. 3, 3948, 2001.
  3. 손병현, 이주호, 정문헌, 김민철, 고주현, 박흥석, 이강우,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폐 유기성 슬러지의 열적 특성-제지업 및 음식료업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9권, 제5호, pp.1359-1367, 10월, 2008. https://doi.org/10.5762/KAIS.2008.9.5.1359
  4. 이강우, 김민철, 이재정, 이만식, 김지원, 박흥석, 손병현, "울산지역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슬러지의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9권, 제6호, pp.779-786, 12월 2008.
  5. H.J. Ollila, A. Moilanen, M.S. Tiainen, R.S. Laitinen. "SEM-EDS characterization of inorganic material in refuse-derived fuels.", FUEL 85, 2586-2592. 2006.
  6. Vera Susanne Rotter, Thomas Kost, Joerg Winkler, Bernd Bilitewski. "Material flow analysis of RDF-production processes.", Waste Management 24, 1005-1021. 2004. https://doi.org/10.1016/j.wasman.2004.07.015
  7. Risto Oikari, Martti Aho, Rolf Hernberg, "Demonstration of a New On-line Analyzer for the Measurement of Vaporized Toxic Metal Compounds in a Fluidized Bed Combustor.", Energy & Fuels, 17, 87-94. 2003. https://doi.org/10.1021/ef020021+
  8. Minna Tiainen, Jouni Daavitsainen, Risto S. Laitinen. "The Role of Amorphous Material in Ash on the Agglomeration Problems in FB Boilers. A Powder XRD and SEM-EDS Study.", Energy & Fuels, 12, 871-877.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