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Gruel Intake and Preference of Cheongju Area Adults and Gruel Development according to Age

연령에 따른 청주지역 성인의 죽 섭취실태, 선호도 및 개발에 관한 연구

  • Yun, Mi-Ja (Dept. of Food and Nutrition, Hannam University) ;
  • Lee, Mee-Sook (Dept. of Food and Nutrition, Hannam University) ;
  • Choi, Mee-Sook (Dept. of Diet and Health, Chung cheong University)
  • 윤미자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미숙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최미숙 (충청대학 다이어트건강관리과)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gruel intake, preference and opinions about gruel development to produce new products for breakfa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7 adults in Chungju city. People who favored gruels were 212(69.5%) and 50.2% of the subjects liked the gruel because of good digestion and absorption. They liked midium thick or thin gruel and also liked grain granules with some stuff as contents. The gruels often taken were abalone gruel(45.9%), pumpkin gruel(41.7%), chicken gruel(34.9%), vegetable gruel(33.6%), beef and mushroom gruel(30.3%) etc. in order. The frequency of gruel intake was 1-2 times/year and 59.6% of subjects got gruels from the special gruel restaurant. People who need gruels most were patients, indigestible person, the elderly, weaning babies, workers and students missing breakfast in order. Sesame taste obtained the highest score of all, that of bitter tas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ver fifty year old people (p<0.05), and hot tast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30-40 year old people (p<0.01). The gruels preferred most were abalone gruel, pumpkin gruel, chicken gruel, beef and mushroom gruel, vegetable gruel, red bean gruel, pine nut gruel, egg gruel, sesame gruel, plain grain gruel etc. in order. Fifty seven percent of subjects wanted to develope new gruels fortified nutrients. In conclusion, when the substitute gruel for breakfast is developed, it is better to use food materials to be easy to digest, to have grain granules with some stuff inside and to be sesame taste.

Keywords

References

  1. 강금지.최성숙.한혜경.황윤희(2005) 서울지역 중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 상태.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 논문집 11, 199-215.
  2. 강인희(1988) 한국의 맛.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3.
  3. 김갑영(1989) 충청지역의 죽류 이용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음식문화연구원논문집 2, 371-387.
  4. 김기남.김애정.박은숙.우미경.이보경.현태선(2000) 식생활관련 설문 문항집. 서울: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83-134.
  5. 김성환.김나영.여인섭(2005) 대전지역 일부 성인남녀의 비만도에 따른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실태. 동아시아 식생활학회지 15(2), 152-157.
  6. 대한비만학회(1995) 임상비만학. 서울: 고려의학출판 178.
  7. 박지은(2008) 청주시 중.고등학생의 죽에 대한 선호도 조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백수경.최경숙.김복희.윤혜영.모수미.김인숙.강성구.김종락(1990) 충북 벽촌지역 초등학교아동의 식생태에 관한 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5(2), 217-228.
  9. 보건복지부(2006)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보건복지부.
  10. 성선화.유옥경.손희숙.차연수(2007) 전주지역 중학생의 성별 및 비만판정에 따른 식행동 비교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6(8), 995-1009.
  11. 양인선.황춘선(1990) 제주도 향토음식에 관한 대학생의 인지도 및 기호도 조사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5(3), 317-330.
  12. 유나희.김미정.한지숙(2007) 부산지역 당류편식 중학생의 식습관, 식품섭취실태 및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6(6), 735-744.
  13. 이난숙.임양순.김복란(1997) 초등학교 아동의 식습관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영양학회지 2(2), 187-196.
  14. 이성숙.오승호(1997) 광주지역 초등학생의 비만실태 및 식습관에 관한 조사 연구. 지역사회영양학회지 2(4), 486-495.
  15. 이영남.신민자.김복남(1991) 전통음식의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6(1), 71-81.
  16. 이지은.김정현.안윤진.박찬.정인경(2006). 한국 성인의 비만도에 따른 식습관 및 음식기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10), 67-76.
  17. 이효지.심정수(1999) 중년기 성인의 식습관과 영양 및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4), 17-27.
  18. 장명숙(1985) 강원도 지역 남녀 중학생의 식습관 및 식품기호에 관한 조사. 관동대학교 관대논문집 13(3), 9-38.
  19. 장은주.이윤경.이효지(1996) 전통음식에 대한 의식과 식생활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1(2), 179-206.
  20. 장현숙(2004) 고등학생의 식습관, 영양지식 및 편의식품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사법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 52(1), 453-468.
  21. 전정희.윤재영.김희섭(1998) 죽의 기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3(5), 497-507.
  22. 전정희.윤재영.김희섭(1998) 건강, 성격, 연령, 성별에 따른 죽에 대한 견해.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5(6), 565-578.
  23. 정은희(2002) 경기일부지역 고등학생의 흡연실태와 식습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3), 39-41.
  24. 정은희(2004) 충청일부지역 중학생의 음주실태, 음주행동과 식습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5(2), 73-82.
  25. 최미숙.박진홍(2008) 진천군 건강증진사업 용역 결과보고서. 청원: 충청대학 136.
  26. 최정숙.전혜경.정금주.남희정(2003) 고등학생의 식습관과 학업성취도, 주관적 건강상태 및 체격과의 관계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4), 627-635.
  27. 최정숙.지선미.백희영.홍순명(2003) 도시지역 성인의 식습관 및 식생활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7), 1132-1146.
  28. 한경희.김기남.김영남.정은희.최미숙.현태선(2000) 충북지역 아동들의 영양상태 및 건강실태. 청주시: 충청북도 용역보고서 22.
  29. 한명주.조현아(2000) 서울지역 고등학생의 식습관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6(1), 84-90.
  30. 허혜경.박소미.김춘배.안정숙.송희영.김기경(2003) 강원도 원주지역 초.중.고등학생의 식습관 및 섭식행동에 관한 단면연구.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1), 159-172.
  31. 황혜성(1988) 한국의 전통음식. 서울: 교문사 2.
  32. Pollitt E, Leibel RL, Freenfield D(1981) Brief fasting, stress and cognition in children. Am J Clin Nutr 34, 1526-1533.
  33. Simeon DT, McGregor SG(1989) Effects of missing breakfast on the cognitive functions of school children of differing nutrition status. Am J Clin Nutr 49, 645-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