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Simulacre Expression in Fashion Illustrations, Using Lenticular Technique

렌티큘러 기법을 활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시뮬라크르적 표현 연구

  • Lee, Jee-Hyu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이지연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expression of Fashion Illustration using Lenticular imaging process. In the 2-dimensional pictures, Lenticular imaging process can be effective to make multiple, virtual and variable images, which are assum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 Fashion Illustration. For this stud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digital based fashion trend and Fashion Illustration were analyz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digital based fashion were 'Interaction, Variableness, Virtuality, Multiples and Hyper-text' which were related with Simulacre think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 Fashion Illustration were 'Virtuality and Multiples'. The image of 'Variableness' was an important factor in digital based fashion, but it was restricted within Fashion Illustration because of the 2-dimensional picture. Therefore, the Lenticular imaging process was proposed as an effective method to expand 2-dimensional limit, giving an effect of 'Variableness' in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this study, 5 illustration works were proposed. The Lenticular imaging process was applied in making the images of 'Virtuality, Multiples and Variableness' in 5 work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 basic material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Fashion Illustration as a meaningful sub-culture, and diverse expressions corresponding with the phases of the times.

Keywords

References

  1. 발터 벤야민 (1983).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반성완 옮김. 서울: 민음사, p. 294
  2. 진중권 (2007). 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숭고와 시뮬라크르의 이중주. 서울: 아트북스, pp. 262-263
  3. 권정숙 (2004).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나는 들뢰즈의 포스트구조주의적 특성 연구. 복식, 54(5), pp. 84-85
  4. 정세희 (2008). 현대 패션에 나타난 탈중심화 현상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33-144
  5. 유영선, 박민여 (2001). 1980년대 이후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적 이미지 표현방법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6(1), pp. 181-192
  6. 성광숙 (2004). 90년대 이후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4(1), pp. 109-123
  7. 최정화. 유영선 (2004). 시각이미지 전달을 위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구도 표현방법.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4(1), pp. 101-114
  8. 권지영. 유영선 (2004).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포토몽타주 표현방법과 효과. 복식, 54(8). pp. 49-58
  9. 이민정 (2003). 현대 패션에 나타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문화의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88-135
  10. 김미현 (2005). 융합화 문화변화에 따른 패션 패러다임 특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48-159
  11. 전지현 (2007).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디지털 이미지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세희. 앞의 책. pp. 133-144
  13. 이승영 (2001).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의 이미지 프로 세상에 관한 연구. 일러스트레이션학연구, 8(1). pp. 67-81
  14. 유영선, 박민여 (2002). 1980년대 이후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적 이미지 표현방법 분석(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6(2), pp. 181-192
  15. 권정숙, 앞의 책. pp. 84-85
  16. 이지현 (2009). 현대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다중공간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4), pp. 644-654
  17. 김정환 (2002). 입체영상의 과학적 재현방법과 영화에서의 예술적 적용. 영화연구, 20(1), pp. 93-116
  18. 박진희 (2008). 입체영상에서 지각공간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7
  19. 진필훈 (2005).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된 렌티큘러 이미지의 프레임 변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사진학회지, 12, pp. 83-85
  20. 한동환 외(2003).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이용한 3차원 입체사진 제작에 대한 연구. 한국사진학회지, 10, pp. 93-104
  21. http://www.win-fame.com/eng/top_3d_three_dimensional_printing_lenticular_effects_motion.html
  22. 이주헌 (2004). 생각하는 그림들 오늘. 서울: 예담, pp. 163-166
  23. http://www.artfaets.net/index.php/pageType/exhibitionlnfo/exhibition/15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