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Materials and Composition of Mang-geon Excavated from Ikjeong Yi's Tomb

이익정 묘 출토 망건의 소재 및 구성법에 관한 연구

  • Chae, Ok-Ja (Seok Ju-seon Memorial Museum, Dankook University) ;
  • Ryu, Hyo-Seon (Dept. of CLothing & Textiles/FTC center,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채옥자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 유효선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생활과학연구소 패션기술센터)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structure and material of Mang-geon from excavated tomb of Yi-ikjung in 1700', Seoul,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The Mang-geon was worn by Yi-ikjung when it is found. Until now, it is know that Mang-geon is made of horsehair, but it find out to be made of silk threads. This result verified the presence of 'sa-kyul Mang-geon' which been estimated to used only for document records. This proves Mang-geon has been produced in the silk threads as well as horsehair and human hair. The front and back of the Mang-geon was made of intertwisted silk threads by using simple linking method. Dang is constructed of looped linking method. The size of Dang is wider, which give greater flexibility to wrap top of head.

Keywords

References

  1. 內閣記錄局官報課 제214호 '國服이身에在니衣冠은國 服期限前에仍舊야白色 을用홈 - 網巾은廢止홈 - 衣服制度外國制採用야도無妨홈'
  2. 유희경, 김문자 (2001).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p.225
  3. 三才圖會, 天下改易胡風. 乃以絲結網. 以束其髮. 名曰 網巾
  4. 蚓菴瑣語: 網巾之制. 創自明太祖. 微行神樂觀. 見道士以繭絲結小網. 問以何爲. 曰. 用以約髮. 網口以帛作邊. 多邊字. 邊字兩幅稍後. 綴二小圈. 用金玉或銅錫爲之
  5. 앞의 책, 網巾. 初以繭絲. 至萬曆間. 始以落髮馬鬃代絲. 我東亦從其制. 而今不可考. 究其本則卽古縱制也
  6. 朝鮮王朝實錄 世宗 2年 (1420년), 贈使臣鍍金小象佛二 軀、鍮鉢二雙、鍮筯四十二雙、鍮匙二、茶匙二、馬尾網 巾二
  7. 朝鮮王朝實錄 成宗 22年 (1491년). 內出曾御網巾, 令尙衣院修補, 多有破處. 御衣白領亦垢汚, 儉素類此
  8. 朝鮮王朝實錄 仁祖 21年 (1643년). 宮僚諫之不從, 遂令徵求白蠟, 網巾於濟州, 至是, 上始知之, 有此敎
  9. 喪禮諺解. 국립중앙도서관, 古5213-138
  10. 靑莊館全書: 案東國亦應隨中國用絲用鬃. 而不可攷. 今只用馬尾. 屍用黑緞代網. 喪人以布代之. 凡馬尾網. 兩端係處及着圈處. 用黑緞半. 寸寸縺餙. 有重服者. 以白易
  11. 五禮儀 代用皀羅
  12. 四禮便覽 喪禮
  13. 四禮便覽 士冠禮
  14. 國朝喪禮補編. 用鴉靑無紋紗爲之下 端兩角安冒緞繫上 端 襞積穿孔用紫甲絲紉 以縮之用泥銀畫雙圈
  15. 정말숙 (2005). 조선시대 왕의 염습의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4-40
  16. 경기도박물관 (2001). 전주이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p. 69
  17. 대전시청 (2007). 대전 목달동 출토 조선초중기 연산송씨 출토복식, p. 251
  18. 경기도박물관 (2008). 출토복식명품선, p. 185
  19.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2005). 17세기 문관 옷 이야기, p. 105
  20.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06). 최원립장군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무관의 차림새, pp. 136-138
  21. 박성실 (1996). 화성 구포리 출토 복식 소고. 한국복식, 14, p. 68
  22. 국립민속박물과 (2004). 남오성 묘 축토복식, pp. 130-131
  23. 석주선 (1983). 조선시대 출토복식의 실태. 한국복식, 1, p. 28
  24. 박성실 (2004). 서울 상암동 출토 전주이씨 밀창군 복식 고찰. 한국복식, 22, p. 94
  25. 고부자 (2001). 상암동 출토 전주이씨 익정(1699~1782) 유물 고찰. 한국복식, 19, p. 125
  26. 박성실 (1994). 천안출토 풍산홍씨 유물소고. 한국복식, 12, p. 124
  27. 고부자. 앞의 책, p. 125
  28. 경기도박물관 (2008). 경기도박물관 출토복식 명품선, p. 85
  29. 국립중앙박물관 (1988). 韓國의 美, p. 139
  30. 國朝喪禮補編
  31. 장경희 (2004). 조선시대 관모공예사 연구. 경인문화사, p. 69
  32. 禹範植 (1972). 織物組織學. 文運堂, p. 2
  33. Annemarie Seiler-Baldinger (1994). TEXTILES-A CLASSIFICATION OF TECHNIQUE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p. 11
  34. Pat Earnshaw (2006). NEEDLELACE. Smithsonian, p. 18
  35. 장경희. 앞의 책, p. 73
  36.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된 약 18C~20C의 전세 망건 유물로 총 16점을 대상으로 조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