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school resilience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adolescent through mediation effect of protective factor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통한 조손가족 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에 관한 연구

  • 송유미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윤형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9.04.30
  • Accepted : 2009.06.20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adolescents(GGFAs) need to be well discussed because they ten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negative surroundings than ordinary family adolescents. Over the past few years, several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isk factor, the protective factor and the school resilience of GGFAs, but these studies have the limit to explain the only correlation between the one factor and the school resilienc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ot only the direct effect between the risk factor and the protective factor, but also the parametric path and effect that the one factor has influence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other factor and the school resilience of GGFAs. We investigated the 328 GGFAs in Korea, and the analytic method used wa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paper. It was found that the model adaptability had a considerable validity by inspecting the SEM, which showed not only the direct effect between the risk factor, protective factor and the school resilience of GGFAs, but also the mediation effect by the protective factor. The risk factors - the indifference of teacher, the negative attachment relationship, melancholy, uneasiness etc -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chool resilience of GGFAs. The protective factors - the supporss etteacher, self-esteem etc -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chool resilience of GGFAs. The protective factors were found to reduce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school resilience of GGFAs.

조손가족 청소년들은 일반 가족의 청소년들에 비해 부정적인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심리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조손가족 청소년의 위험요인, 보호요인과 학교 적응유연성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청소년의 위험요인, 보호요인과 학교 적응유연성 간의 단편적인 관계를 설명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손가족 청소년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간, 그리고 이들과 학교 적응유연성 간의 매개적인 경로와 인과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국 단위의 조손가족 청소년 32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분석방법은 SEM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손가족 청소년의 위험요인, 보호요인과 학교적응유연성 간의 직접효과와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회귀모형을 검증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타당하게 나타났다. 위험요인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교사의 무관심, 부정적 애착관계, 우울불안 순), 보호요인은 학교 적응유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교사의 지지, 자아존중감 순). 또 보호요인은 위험요인이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매개하여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