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원/엔 실질 환율과 주가와의 관계 분석 - 한국의 자유변동환율제도 실시 이후를 중심으로 -

Interrelationships between KRW/JPY Real Exchange Rate and Stock Prices in Korea and Japan - Focus on Since Korea's Freely Flexible Exchange Rate System -

  • 김종구 (청주대학교 경상대학 경제통상학부)
  • Kim, Joung-Gu (Division of Economics and International Commerce, Cheongju University)
  • 투고 : 2009.05.08
  • 심사 : 2009.06.10
  • 발행 : 2009.06.30

초록

이 논문은 외환위기 이후 1998년 1월 ~ 2008년 7월 까지의 한 일 주가와 KRW/JPY 실질 환율간의 장 단기 균형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월별자료를 사용하여 계절조정에서 오는 편의(bias)를 극복하기 위하여 자료를 계절조정하지 않고 계절성을 모형에 반영하여 단위근 검정과 VEC모델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한일 주가와 환율간 장기균형관계에 대한 강한 증거를 발견하였다. 이는 한 일 양국간 어느 한 국가에 대한 시장예측은 다른 국가 시장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효율시장가설이 위배됨을 의미한다. 한국의 주가와 KRW/JPY 실질 환율 간 장기 음(-)의 부호를 나타내 국내통화의 절하는 국내기업을 더 경쟁적으로 만들어 수출의 증가를 이끌기 때문에 주가를 상승시키며, 주가와 환율간 음(negative)의 상관관계를 의미한다는 전통적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a long-run and short-run equilibrium relationships for exchange rate and stock prices in Korea and Japan from January 1998 to July 2008. Because using monthly data in my study, analyzes unit root test and VEC model including seasonality to overcome bias that happen in seasonal adjustment. The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at exists strong evidence supporting the long-run cointegration relationships between exchange rates and stock prices of the Korea and Japan. This implies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one market from another for both countries, which seems to violate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In the long-run a negative relationship running from the KRW/JPY real exchange rate to the stock prices of Korea strongly argues for the traditional approac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