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국제지역연구)
- Volume 13 Issue 3
- /
- Pages.287-308
- /
- 2009
- /
- 1226-6000(pISSN)
An Empi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ock Returns in Chinese Stock Market -Focusing on the period of 1995 to 2007 -
중국 주식시장의 수익률 특성에 관한 실증연구 - 1995년부터 2007년 기간을 중심으로 -
- Kim, Kyung Won (KyongGi University) ;
- Choi, Joon Hwan (Korea E-Trade Researcher, Chung-Ang University)
- Received : 2009.11.08
- Accepted : 2009.12.12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turn of Chinese stock market indices. The majority of previous empirical researches have tended to focus upon the simple stock market index.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the four indices which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ock market index. The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turns of the four chinese indices are not normally distributed at conventional levels. The Ljimg-Box -statistics indicate the returns of the index of A shares are not serially autocorrelated. However, the returns of the index of B shares are serially autocorrelated. The empirical findings also indicate returns of the four chinese indices are not serially autocorrelated. The statistics of Regression Specification Error Test and ARCH indicate the returns of all four indices are not serially linear.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E- GARCH model is the most fittest model for the returns of the four chinese indices and the forecast error can be reduced by using student t distribution rather normal distribution.
본 연구에서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중국 주식시장에 대한 실증연구의 모형설정과 검정에 기본이 되는 중국 주가지수의 수익률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단순한 종합주가지수를 이용한 분석이 아닌 중국 주식시장의 주요한 특징인 시장분리 현상을 반영하여 중국의 4개 주가지수를 이용하여 수익률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발견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성 검정을 그래프와 검정 통계량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한 결과 4개 주가지수 모두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가지수의 시계열상관에 대하여 LJung-Box Q 통계량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A주 주가지수에서는 시계열상관이 나타나지 않으나 B주 주가지수에서는 시계열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익률을 제곱한 시계열에서는 4개의 주가지수에서 모두 시계열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개 주가지수 평균과 분산의 비선형성 검정 결과 모두 비선형으로 나타났다. 넷째, GARCH류의 모델 중 어느 모형이 가장 적합한지를 검정 해 본 결과 EGARCH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측오차의 분포를 Student - t분포를 이용하여 분석한 모형이 정규분포를 이용한 모형보다 적합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