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횡성 지역의 식물상

Flora of Wonju-Hoengseong Area

  • 고성철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손동찬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김현종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황희숙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신영화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Ko, Sung-Chul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no Technology, Hannam University) ;
  • Son, Dong-Cha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no Technology, Hannam University) ;
  • Kim, Hyun-Jong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no Technology, Hannam University) ;
  • Hwang, Hee-Suk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no Technology, Hannam University) ;
  • Shin, Young-Hwa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no Technology, Hannam University)
  • 발행 : 2009.10.31

초록

강원도 서남부에 위치하고 있는 원주시와 횡성군에 소재하고 있는 치악산(1,288 m), 태기산(1,261.4 m), 오봉산(1,126.2 m), 응봉산(1,094.9 m), 어답산(789.4 m), 덕고산(521.2 m), 덕가산(700.5 m), 성지봉(791 m)의 관속식물상을 2008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총 23회에 걸쳐 조사하였고, 이전 조사에서 증거표본이 제시되어 있는 발교산(998.4 m), 오음산(930.4 m), 백운산(1,037.1 m), 치악산(1,288 m)의 자료를 전체 소산식물목록에 포함시켰다. 본 조사에서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의 총 분류군 수는 97과 383속 680종 1아종 111변종 12품종으로 총 804분류군이었으며, 문헌상 증거표본이 있는 경우의 자료를 추가하면 총 105과 418속 818종 1아종 138변종 16품종으로 총 973분류군으로 한반도 전체관속식물종의 21.14%에 해당된다. 조사지 전반의 식생은 소나무와 낙엽활엽수의 혼효림이며, 식생이 비교적 우수한 지역은 치악산의 구룡사로 부터 세렴폭포를 거쳐 비로봉에 이르는 계곡, 및 태기산의 큰성골계곡과 태기분교터에서 낙수대에 이르는 능선의 동사면 지역이다. 비교적 많은 분류군이 채집된 10개 과는 국화과, 벼과, 장미과, 미나리아재비과, 콩과, 사초과, 백합과, 범의귀과, 산형과, 꿀풀과의 순이며 전체 생육분류군의 49.12%이다. 조사지에서 생육이 확인된 특산식물은 금강초롱꽃, 모데미풀, Pyrus ussuriensis var. diamanti-ca Uyeki(금강산돌배)를 포함하는 38분류군이고, 산림청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금강초롱꽃, 왕제비꽃, Viola diamantica Nakai(금강제비꽃), 금마타리를 포함하는 24분류군이며, 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은 총 88분류군으로서 Ⅴ등급에 속하는 식물은 좀가물고사리, 금강초롱꽃, 물쇠뜨기, 노랑붓꽃, 솔나리, 큰연영초, 목련(식재), 천마, 좀미역고사리, 승마, 모데미풀, 왕제비꽃의 12분류군이다. 또한 귀화식물은 47분류군으로서 전체식물의 4.83%, 유용식물은 총 609분류군으로서 식용식물 334분류군, 약용식물 269분류군, 관상용식물 127분류군, 사료식물 332분류군, 산업용식물 3분류군, 목재용식물 31분류군, 섬유용식물 13분류군으로 각각 구분되고, 이는 전체식물의 13.23%에 해당한다.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ountains located at Wonju-si and Hoengseong-gun areas such as Chiak-san(1,288m), Taegi-san(1,261.4m), Obong-san(1,126.2m), Eungbong-san(1,094.9m), Eodab-san(789.4m), Deokgo-san(521.2m), Deokga-san(700.5m) and Seongji-bong(791m) was investigated from April, 2008 to May, 2009, and results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in which voucher specimens had been presented from Balgyo-san(998.4m), Oeum-san(930.4m), Baekun-san(1,037.1m) and Chiak-san(1,288m) were included in the list of vascular plants from these areas. This investigations resulted in 804 taxa consisted of 680 species, 1 subspecies, 111 varieties, and 12 forms of 383 genera under 97 families, and totally in 973 taxa (21.14% of all vascular plants in Korea) of 818 species, 1 subspecies, 138 varieties and 16 forms of 418 genera under 105 families on addition of voucher specimens in the previous researches. Forests of the investigated areas were generally mixed of Pinus densiflora and deciduous trees. The areas with comparatively excellent vegetation were valley from Guryong-sa (temple) to Biro-bong (summit) via Seryeom-pokpo (fall) in Mt. Chiak-san, and Keunseong-gol (valley) and eastern slope from Taegibungyo-teo to Naksu-dae (fall) in Mt. Taegi-san. 10 families with abundantly collected species were Compositae, Graminae, Rosaceae, Ranunculaceae, Leguminosae, Cyperaceae, Liliaceae, Saxifragaceae, Umbelliferae and Labiatae in order, and they occuied 49.12% of all collected taxa. Endemic plants found in these areas were 38 taxa including Hanabusaya asiatica, Megaleranthis saniculifolia, and Pyrus ussuriensis var. diamantica, and rare and endangered ones were 24 taxa including Hanabusaya asiatica, Viola websteri, Viola diamantica, and Patrina saniculaefolia.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88 taxa including 12 taxa of 5th degree such as Woodsia intermedia, Hanabusaya asiatica, Equisetum pratense, Iris koreana, Lilium cernum, Trillium tschonoskii, Magnolia kobus(cultivated), Gastrodia elata, Polypodium virginianum, Cimicifuga heracleifolia, Megaleranthis saniculifolia and Viola websteri. 47 taxa of alien plants were found. As to 609 taxa (13.23% of all vascular plants in Korea) of useful plants, 334 taxa for the edible, 269 taxa for the medicinal, 127 taxa for the ornamental, 332 taxa for the forage, 3 taxa for the industrial raw material, 31 taxa for the timber and 13 taxa for the fiber were classified, resp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oretum 1: 1-137
  2. Tippo, O. 1942. A modern classification of the plant kingdom. Chron. Bot. 7: 203-206
  3. 강원도. 2005. 강원도지. Pp. 1710
  4. 고성철, 태경환, 이흥수, 김완태. 1992. 봉복산의 식물상. 한남대학교 논문집(자연) 22: 45-71
  5. 고의장, 고호석. 1998. 홍천.횡성 지역의 지형경관.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pp. 3-50
  6. 기상청. 2008. 기상청 홈페이지 (http://www.kma.go.kr)
  7. 김기중, 이혜림. 2003. 백운산(1,087m)의 식물상.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pp. 43-73
  8. 김영기. 1987. 태기산(강원)의 식물상 조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6
  9. 김태욱. 1989. 89자연생태계 전국조사(I-1)-2. 원주시, 강릉시, 속초시, 원주군, 양양군, 명주군. 환경부. pp. 61-90
  10. 도상학. 1986. 치악산의 약용식물자원 조사연구. 동대농총. 16(1): 391-409
  11.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국립수목원.임업연구원. pp. 184
  12. 산림청. 1997.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도감. 산림청. Pp. 255
  13. 송홍선, 조우. 2007. 치악산국립공원의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4): 356-365
  14. 오병운, 조동광, 김규식, 장창기, 2005. 한반도 특산관속식물. 국립수목원. Pp. 205
  15. 원종욱, 신현국, 정병헌. 1991. 강원의 자연: 식물편-V. 치악산의 식물상. 강원도교육청. pp. 113-122
  16. 원주시. 2007. 원주시통계연보. pp. 47-48
  17. 유기억, 장수길, 이혜정. 2006. 치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국립공원관리공단. pp. 81-94
  18. 이우철. 1976. 치악산의 식물조사 보고. 강원대학교 연구논문집. 10: 259-275
  19. 이우철, 백원기. 1998. 회령봉(홍천.평창)과 인근산지의 식물상.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pp. 39-149
  20.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 1-33
  21. 이웅빈, 전유미. 2002. 오음산(횡성.홍천)과 인근산지의 식물상.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pp. 46-71
  22. 이은복, 서정수. 1999. 치악산(원주.횡성)과 인근산지의 식물상.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pp. 67-96
  23. 이호준. 1996. 치악산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IV-식물생태계. 국립공원관리공단. pp. 31-104
  24. 정창호. 1997. 원주의 역사와 문화유적-원주의 지리적 환경. 강원도, 원주시, 강원향토문화연구회. pp. 41-66
  25.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교논문집. 10: 329-366
  26. 조무연, 이우철, 박만규, 배병호. 1976. 치악산의 관속식물. 치악산지역종합학술보고서. 한국자연보존협회. 9: 41-63
  27. 환경부. 2006.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환경부. Pp. 298
  28. 홍석표, 오일찬. 1998. 발교산(홍천.횡성)과 인근산지의 식물상.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pp. 1-73
  29. 홍선기, 문정숙. 1998. 홍천.평창 지역의 식생.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환경부. pp. 151-181
  30. 횡성군. 2007. 통계연보. 횡성군. pp. 2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