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Grotesquery Aesthetic Reflected Interculturalism in Stage Costume - The Case of Oh, Tae-seok's -

문화상호주의가 반영된 공연 예술 의상의 그로테스크적 특성 연구 - 오태석의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를 중심으로 -

  • Yang, Yong (Dept. of Beauty Art, Honam University)
  • 양용 (호남대학교 뷰티미용학과)
  • Published : 2009.10.30

Abstract

Since the end of 1960s, an era of internationalization, Interculturalism has been reflected in intercultural plays which borrow concepts of foreign-cultural aesthetics for the performance and create a new stage language. Among many writers and performers, Oh, Tae-seok created his own unique aesthetic performances through experimental and avant-garde methodologies connected with various areas of art. His plays are worth studying since they suggest us a point of view which helps us to get out of the ordinary, fixed thought and try to see variety of reality. Therefore, our study categorized Oh, Tae-seok's play into four areas according to grotesquery interculturalism : Evil sprit, Abhorrence, Exaggeration and distort, and Heterogeneity. Based on this category, we analyzed plastic artistic characteristics of his plays' stage costume, for example, shapes, materials, and color, and tried to enhance the aesthetic value of his plays. We made a conclusion that the play showed grotesquery features in stage costume, which represented death, tragedy, evil sprit of human negligence, surprising and grotesquery abhorrence by deformity of the body, exaggeration and distortion, ridiculousness, and heterogeneity, the mixture of abnormality and unstableness. Our study could help produce adequate stage costume matching the features of the performance, and be the cornerstone of grotesquery aesthetic interculturalism study reflected in stage costume.

Keywords

References

  1. 김미도 (2001). 21세기 한국연극의 길 찾기. 서울: 연극과 인간.
  2. 김선영 (2008). “알렉산더 맥퀸 작품의 그로테스크적 특성.” 복식 58권 8호.
  3. 김은향 (2007). “ 아리안느 므누스킨의 연극작업에 나타난 문화상호주의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형기 (2003). 탈식민지 관점에서 본 문화상호주의 연극, 탈식민주의와 연극-이론과 실제. 서울: 연극과 인간.
  5. 남미현, 박명희 (2004). “현대패션의 그로테스크적 특성 연구-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복식 54권 8호.
  6. 명인서 (2001). “연극에서 문화상호주의적 접근방식의 문제점.” 한국연극학 16권 1호.
  7. 미하일 바흐찐, 이덕형, 최건영 역 (2001).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서울: 아카넷.
  8. 박은경 (2003). “패션에 표현된 그로테스크 이미지의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포스트모던 그로테스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권 10호.
  9. 박재현 (1999). “프리드리히 뒤레마트의 소설 ‘고장’에 나오는 카니발적 그로테스크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혜린 (2005). “오태석 희곡의 등장인물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문창어문논집 42집.
  11. 서승미 (2003).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이미지.” 의류산업학회지 5권 2호.
  12. 성수미 (2007). “리차드 셰크너의 환경연극과 한국적 수용에 관한 연구 -서울변방연극제 출품작, 열혈예술청년단의〈Grunge Style 로미오와 줄리엣 in Daehangno〉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창규 (1995). “뒤렌마트 희극의 근본구조로서의 그로테스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신현숙 (1998), “연극에서의 문화상호주의에 관한 소고(I).” 인문과학연구 4권.
  15. 신현숙 (2007). “번역극연출에 나타난 김정옥의 연극미학연구.” 인문과학연구 11권.
  16. 안상혁 (2007). “영화 <황금시대>에 나타나는 탈승화적 그로테스크의 표현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8권 1호.
  17. 우보경 (2008). “1990년대 이후 한국연극의 무대의상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경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유인경 (2002). “오태석 연극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한국극예술연구 16권.
  19. 이미원 (2001). 포스트모던시대와 한국연극. 서울: 연극과 인간.
  20. 이미원 (2007). 탈 중심 연극의 모색. 서울: 연극과 인간.
  21. 이지선 (2004). “장갑의 상징적 의미와 조형성 고찰에 의한 디자인 개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진아 (2008). “탈식민적 상황에서의 한국연극의 자기 재현.” 현대문학의 연구 34권.
  23. 전영운, 류신 (2001). “그로테스크의 형식․내용․수용: Wolfgang Kayser와 Anold Heidsieck의 이론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인문학연구 31권.
  24. 정수연 (2005). “1990년대 이윤택의 ‘대중극’ 전략연구.” 한국연극학 27호.
  25. 조규화, 이희승 (2004). 패션미학. 서울: 수학사.
  26. 최재오 (2005). “글로벌시대의 문화상호주의 연극담론 연구-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 논쟁에 대한 해체적 관점.” 한국연극학 25권.
  27. 최정화, 유영선 (1998). “현대패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복식 40권.
  28. 필립 톰슨, 김영무 역 (1986). 그로테스크. 서울: 서울대출판부.
  29. 하지수 (1994). “현대패션에 표현되는 유희성.” 복식 22권.
  30. 한글학회 (1981). 우리말큰사전. 서울: 어문각.
  31. 홍진희 (2007). “영화의 복식과 색채이미지 연구-여자주인공 복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Fisher-Lichte, Erika (1996). Interculturalism in Contemporary Theatre. The Intercultural Performance Reader, ed. Patrice Pavis, Routledge
  33. Riedel, Ingrid, 정여주 역 (2004). 색의 신비. 서울: 학지사.
  34. Steele, Valerie (1985). Fashion & Erotic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5. http://www.aroong.com
  36. http://www.ntok.go.kr.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