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eliminary Study on the Psychopathological protocols of the Vietnam War Agent Orange Patients and Korean Civil War Wound Soldier -Focus on Rorschach Tests-

베트남 참전 고엽제 환자와 한국전쟁 참전 상이군인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예비 연구 -로샤 반응을 중심으로-

  • Chang, Mun-Seon (Dept of Psych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Yeol (Dept of Health Science, YeungNam Technology Science College)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to examine overall psychopathological patterns of the Vietnam Civil War Veterans(Agent Orange patients)and Korean Civil War veterans(wounded soldier) using Rorschach tests. Test protocols of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wenty Vietnam Civil War Veterans group and twenty-one Korean Civil War veterans. Rorschach protocols were administrated, scored, analysed according to the Exner's comprehensive system. Specifically, each Rorschach variable was divided into 3 clusters(e.g., core section, response determinants, and several special indices. The results of t-tests between the Vietnam Civil War Veterans group and the Korean Civil War veterans showed that Vietnam Civil War Veterans group were characterized as 1)cognitive rigidity, 2) ineffective problem solving, 3)emotional represion, 4)hypervigilance, 5)anxiety and 6) depressive tendency. These patterns suggest that still Vietnam Civil War Veterans experience the past trauma and lasting psychological seguela. O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전 참전 군인 중 고엽제 후유(의)증 환자와 한국전쟁 참전 상이군인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로샤 검사를 실시하고 반응결과를 한국전 참전 재향 군인 집단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베트남 참전 군인 중 고엽제 후유의증 환자 20명과 한국전쟁 참전 재향군인 21명을 대상으로 개별적으로 로샤 검사를 실시했다. 각각의 변인들을 Exner 종합체계(2006)의 구조적 요약의 대표적 군집들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즉 핵심영역, 반응결정인, 결정적 특수지표에서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베트남 참전 집단은 6.25 참전집단에 비해 (1)인지적 경직성 (2) 문제해결에 있어서의 비효율성, (3)정서억압 (4)과잉경계 (5)불안 (6)우울 등의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베트남전쟁 참전 재향군인에서 과거 전쟁 경험에서의 정신적 외상과 관련된 후유증이 지속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ough, M. Dioxin, agent orange: The facts. New York: Plenum Press. 1986.
  2. 임현술, 등. 파월국군장병들의 고엽제 위해증에 대한 예비적 역학조사 결과보고서. 1-84. 서울: 한국보훈병원. 1993.
  3. Buckinham, W. A. The air force and herbicides in southeast asia. New York: Office of Air Force History. 1982.
  4. 국가보훈처, 고엽제 환자 통계 현황, 국가보훈처 의료지원과 2009.
  5. 국가보훈처, 군복무 관련 질환자 의료지원 확대 방안 연구, 국가보훈처 정책연구과제. 2007.
  6. Needham, L. L. US army chemical corps vietnam veterans health study: Preliminary results. Chemosphere 43(4): 943-949. 2001. https://doi.org/10.1016/S0045-6535(00)00455-0
  7. Kayajanian, G. M. Southeast asia, promotability and dioxin relationship to cancer incidence in operation ranch hand veterans.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46(2): 125-129. 2000. https://doi.org/10.1006/eesa.1999.1900
  8. Chamie, K, et. al. Agent Orange exposure, Vietnam war veterans, and the risk of prostate cancer cancer 113(9); 464-2470, 2008125(2): 23-33. 2002. https://doi.org/10.1002/cncr.23695
  9. 임현술. 미국퇴역군인과 건강장해에 관한 역학조사. 한국역학회지 23(1): 23-35. 2001.
  10. 김정순, 등. 베트남 참전 제대 군인의 범주화된 에이전트 오렌지 개인 폭로량과 혈청 다이옥신 측정치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34(1): 80-88. 2001.
  11. 계운봉, 베트남전 한국군 고엽제 살포와 역학조사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2. Sulker PB, Allain AN, Winstead DK : Psychopathology and psychiatric diagnoses of World War II pacific theater prisoner of war survivors and combat veterans. Am J Psychiatry 150 : 240-245, 1993. https://doi.org/10.1176/ajp.150.2.240
  13. Bullman, T. A., and H. K. Ka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isk of traumatic deaths among vietnam veteran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2(11): 604-610. 1994. https://doi.org/10.1097/00005053-199411000-00002
  14. 정문용, 참전재향군인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유병상태와 관련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96.
  15. 김성애, 베트남전 참전자의 고엽제 폭로와 관련 특성과 불안, 우울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16. 김태열, 고엽제 후유의증 환자의 우울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17.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Vietnam experience study. Health study of Vietnam veterans: I. Psychosocial charact eristics. JAMA 259(18):2701-2707, 1988. https://doi.org/10.1001/jama.259.18.2701
  18. Toole BI ,etal The Australian Vietnam veterans health study: II. Self-reported health of veterans compared with the Australian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5(2):319-330 1996. https://doi.org/10.1093/ije/25.2.319
  19. 김정원 베트남전 참전군인의 고엽제 노출에 의한 심리학적, 신경행동학적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20. 심은지, 민성길, 이창호, 김주영, 송원영,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들의 로샤 반응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1), 169-187. 2004
  21. Exner, J. E. A Rorschach workbook for the comprehensive system(5th ed.), Rorschach Workshops. 2006.
  22. 김중술, 홍강의, 조수철, 신민섭, 왜 진단적 심리검사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가: Rorschach와 MMPI의 경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393-407. 2000.
  23. Weiner, I. B. Principles of Rorschach interpretation. New Jersey: awrence erbaum associates, publishers. 1998.
  24. Exner, J. E. The Rorschach: A comprehensive system, Volume 1, 3rd Edition, New York: John willy & sons. 1993.
  25. Krystal, H. Psychoanalitic views on human emotional damages,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Sequelae. Edited by Van der Kolk BA,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pp 1-28. 1984.
  26. Krystal, H. Integration and Self-Healing: Affect, Trauma, Alexithymia. Hillsdale, NJ, Analytic Press. 1988.
  27. 김태열, 장문선 한국전쟁 참전 재향군인의 심리적 특성 인문학논총: 14(2) 199-218, 2009.

Cited by

  1. Review of Public Health Aspects of Exposure to Agent Orange vol.38, pp.3, 2012, https://doi.org/10.5668/JEHS.2012.38.3.175